목차
A. 4대강 살리기란?
B. 4대강 살리기의 목표 및 기대효과
C. 4대강 살리기의 필요성
D. 4대강 유역별 문제
E. 4대강 사업과 기후변화
F. 4대강과 생물다양성
G. 4대강과 환경파괴
B. 4대강 살리기의 목표 및 기대효과
C. 4대강 살리기의 필요성
D. 4대강 유역별 문제
E. 4대강 사업과 기후변화
F. 4대강과 생물다양성
G. 4대강과 환경파괴
본문내용
수 있었지만, 홍의덕 국회의원과 윤순진 교수의 지적처럼 정확한 관측이 이루어지지 않은채 진행되는 사업이며, 기후변화를 대비하기 위한 목표와는 상반되게, 그 목적에 맞지 않으며, 오히려 기후변화에 악영향을 가져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강홍수통제소장은 또한 남한강의 보가 홍수방어 기능이 없다고 하며, 일본 최고의 하천토목공학 전문가인 이마모토 히로타케 교토대 명예교수는 댐 건설은 긍정적 효과보다는 환경파괴 등 부정적 효과가 크다며, 4대강 사업으로 홍수예방 수질개선 수자원 확보를 할 수 있다는 한국정부의 주장은 현실성이 없다고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을 하고 있다.
이처럼 4대강 사업은 다양한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지만, 정부에서는 많은 예산을 부어 4대강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들은 고려하고 있지 않다. 4대강 살리기는 누구를 위한 사업인가? 국민들을 위해 진행해야 할 4대강 사업. 어느순간 변질되어 버린, 본래의 목적을 찾지 못하는 4대강 살리기 프로젝트. 이득과 손해를 면밀히 따져보고, 국민들과 토론하는 시간을 가져 나아갈 방향을 정해야 할 것이다.
4. 참고문헌
국토해양부 "4대강 살리기 마스터플랜 보고서"
윤병만 (명지대 토목환경공학과 교수) "4대강 살리기, 꼭 필요한 이유와 네가지 원칙"
윤순진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4대강과 기후변화"
홍의덕 (민주노동당 국회의원) "기후변화에 더 위험한 4대강 사업"
한국습지NGO네트워크 "한국NGO보고서"
4대강 삽질에 절단나는 우리 국토 (http://ricardo1.blog.me/30085914985)
이처럼 4대강 사업은 다양한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지만, 정부에서는 많은 예산을 부어 4대강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들은 고려하고 있지 않다. 4대강 살리기는 누구를 위한 사업인가? 국민들을 위해 진행해야 할 4대강 사업. 어느순간 변질되어 버린, 본래의 목적을 찾지 못하는 4대강 살리기 프로젝트. 이득과 손해를 면밀히 따져보고, 국민들과 토론하는 시간을 가져 나아갈 방향을 정해야 할 것이다.
4. 참고문헌
국토해양부 "4대강 살리기 마스터플랜 보고서"
윤병만 (명지대 토목환경공학과 교수) "4대강 살리기, 꼭 필요한 이유와 네가지 원칙"
윤순진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4대강과 기후변화"
홍의덕 (민주노동당 국회의원) "기후변화에 더 위험한 4대강 사업"
한국습지NGO네트워크 "한국NGO보고서"
4대강 삽질에 절단나는 우리 국토 (http://ricardo1.blog.me/30085914985)
추천자료
지구의 기후변화
기후변화보고서
기후변화 협약과 바이오 디젤
기후변화협약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목표에 관한 의정서와 우리나라의 입장
환경문제-기후변화
세계 기후변화협약과 우리나라의 대응 방향
기후변화에 대처하는 자세
교토의정서-기후변화에 따른 주요 회담과 그 후
기후변화의 환경위험과 신재생에너지의 가능성
기후변화와 산림과의 관계
C40기후정상회의를 통한 기후변화의 개념과 특징 영향 조사분석
녹색기후기금(GCF), 지국온난화, 유엔기후변화협약 및 탄소배출권
생명과학 기후변화 생태계의 변화
[기후변화모델링] 대기와 대기권의 에너지 - 기상과 기후, 대기권의 구분, 태양과 지구복사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