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구제역 파급영향 분석 및 시사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010년 구제역 파급영향 분석 및 시사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구제역의 개념
3. 구제역 발생경과 및 동향
4. 방역 및 대처현황
5. 한육우와 돼지 시장동향
6. 파급영향 분석 및 전망
7. 시사점
8. 참고 자료

본문내용

중적으로 홍보하는등 소비위축 방지를 위한 사전대책 강구가 필요하다.
현재 위험지역 방역추진 애로사항은 살처분 작업에 소요되는 인력이 부족하고 인력확보가 어려운 상태에서 계속 발생이 증가할 경우 인력난 가중이 우려된다.
향후 구제역 피해규모는 파장속도와 발생범위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구제역이 장기화 되지 않도록 농가간 교류 자제를 유도하고 살처분 보상을 보다 명확히 해야한다.
구제역이 발생한 현 상태에 추가로 AI가 전국에 확산될 경우, 소비자가 국내산 축산물을 외면하는등 막대한 피해가 우려되므로 보다 철저하고 확실한 확산방지대책 강구가 시급하다. 또한 장기적으로 가축전염병을 근절하고 원천을 차단할 방역체계
구축을 위한 환경대책 재정비와 개선이 필요하다.
8. 참고 자료
구제역(FMD) 관련 문답집, 농림수산식품부, 2010.1.7
강영배, 해외악성가축전염병 최근발생동향과 대응연구 전략. 전국수의임상강습회 특강교재. 대한수의사회. 1993.
육종룡 등,『韓牛.肉牛.乳牛의 飼養管理』, 先進文化社, 1987
강영배, 해외가축전염병. `96 농촌지도공무원 전문교육 교재 <가축위생>. pp 113~125. 농 촌진흥청. 1996.
  • 가격1,5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1.01.12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79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