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물질학 report - 항생물질의 작용기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항생물질학 report - 항생물질의 작용기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2.일반적인 관점
3.연구방법
4세포벽 합성저해제
5.핵산의 복제와 전사 저해제

본문내용

유전정보
핵산 합성의 2단계 : 세포 내 대사과정 중의 중간분자로부터 전구체의 합성, Nucleotides의 효소적 중합반응에 의한 거대분자의 합성.
복제의 단계 : ①이중나선구조는 효소 helicase의 작용에 의해 풀림. ②특정 RNA polymerase인 primase가 측정개시 부위에 상당하는 위치의 각 가닥에 짧은 RNA 조각을 합성함. ③복제성 DNA polymerase는 Okazaki 단편이라고 부르는 작은 DNA 단편들을 RNA의 3′-OH에서부터 합성하고 이들이 primer기능을 하게 됨. ④다른 효소가 RNA단편을 분해함. ⑤동시에 Okazaki eksuvs 사이를 복제. ⑥Ligase가 인접 단편들을 잇음.
원형염색체 복제가 끝나면 자손 DNA 분자는 서로 감김. 다음의 가닥 분리는 또 다른 topoisomerase에 의하여 일어나고 2중나선구조가 갈라져서 또 다른 나선구조가 형성됨.
RNA plymerase의 기능 : ①DNA의 복합체를 형성해서 DNA 가닥을 분리함. ②한 개의 DNA 사닥의 정확한 위치에 첫 번째 nucleotide를 갖다놓음.(개시) ③2번째 nucleotide를 도입하고 2개의 nucleotides 사이에 첫 번째 phosphodiester 결합을 형성함. ④DNA 가닥을 따라서 phosphodiester 결함으로 연결되는 nucleotides도입을 계속함.(연장) ⑤DNA의 특정 염기배열에 도달하면 반응을 종결함(종결)
2)복제와 전사 저해제
복제와 전사 저해제는 2그룹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전구체 합성을 저해하는 것과 핵산중합반응을 저해하는 것임. 후자는 다시 DNA 주형기능 저해제와 gyrase, DNA polymerase, RNA polymerase와 같은 효소의 저해제로 나눌 수 있음.
(1)DNA 주형 기능 저해제
많은 물질들이 비기능적 복합체를 형성하거나 화학구조의 변경에 의한 DNA으 주형 기능을 방해함으로써 복제와 전사반응을 저해함.
⇒이런 항생물질들이 가지는 2개의 특성 :①진핵세포나 원시핵세포 등의 DNA에 무차별적으로 결합하는 성질이 있음. 고로 특이적인 효과를 나타내지 않고 일반적으로 매우 독성이 강함. ②특별한 조건 하에서 어떤 핵산은 우선적으로 저해 당하지만 DNA와 RNA합성은 동시에 저해당함.
DNA를 화학적으로 수식하는 저해제
①Mitomycins : 세포독성을 갖는 이 항생물질은 DNA와 공유결합을 하여 2개의 가닥 사이에 가교를 형성하고 DNA 가닥의 분리를 방해함. DNA와 공유결합을 하기 때문에 그 효과는 비가역적이고 살균적임. 선택성이 없는 관계로 독성이 매우 강하여 항균성 물질로는 사용할 수 없음.
②Bleomycins : 아날로그인 phleomycins와 함께 한 개의 nucleotide유출로 인하여 DNA의 이중나선 또는 단일가닥에 절단이 생기고 그 결과 손상을 일으키는 항생물질임. 활성화에는 O2,Fe2+를 필요로함. 항암항생제로만 사용 기능함.
DNA와 복합체를 형성하는 저해제 : 이 부류에 속하는 항생물질의 대부분은 planar polycyclic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DNA 2중 나선의 염기 사이에 끼어드는 소위 intercalator들임. 합성물질 중에는 phenanthridines와 acridines가 중요한데, 둘다 실험실에서 분자준위의 유전적 현상을 연구하는데 사용되며 임상적으로 항 protozoa물질로 사용됨.
①Actinomycin D : 이 부류 중에서 최초로 분리된 항생물질. 독성이 강해서 임상적으로 몇 가지 암에 대해서만 사용이 허용되고 있음. peptide 환이 DNA 가닥과 측면으로 상호작용함으로써 안정한 복합체를 형성함. DNA와 RNA 합성을 모두 저해하지만 특별한 조건 하에서는 RNA합성을 선별적으로 저해함. 그 이유는 항생물질의 peptide 환이 전사의 종결신호로 작용하여 신생 RNA 가닥을 조기에 유리하도록 하기 때문임.
②Daunorubin과 doxorubicin : Anthracyclines계 항생물질로 가장 효과가 좋은 항암항생물질 중 하나임. 분자는 4개의 육원환이 직선상으로 중합된 평면구조로 되어 있으며 amino sugar가 결합되어 있음. 또 DNA 가닥 중 purine과 pyrimidine이 반복되는 부위에 선택적으로 끼어듬. 이들 anthracyclines계 항생물질은 살균적이고 세포독성 효과를 가지고 있음. 후자의 효과는 단순히 상호개입으로 설명 할 수가 없음.
③Distamycin과 netropsin : 항암 활성과 항 protozoa활성을 갖고 있음. DNA 복합체는 항생물질이 DNA가닥의 염기 사이에 끼어들어 생기는 것이 아니고 이중 나선의 AATT 같은 특저부위의 작음 흠통으로 삽입됨으로써 만들어짐.
<그림출처>
①peptidoglycan 구조 : http://www.microbiologybytes.com/blog/2009/02/10/cell-shape-and-cell-wall-organization-in-gram-negative-bacteria/
②gram 양성균 및 음성균 그림 :http://cms.daegu.ac.kr/sgpark/microbiology/Gram.jpg
③peptidoglycan 생합성 그림 :
http://mips.helmholtz-muenchen.de/genre/proj/uwe25/images/pw_peptidoglycan.gif
④penicillin 구조 그림 : http://www.mfi.ku.dk/ppaulev/chapter33/images/33-1.jpg
⑤chitin 구조 그림 :http://academic.brooklyn.cuny.edu/biology/bio4fv/page/chitin.jpg
DNA 복제과정 : http://encyberimg.encyber.com/updata/photo/200709/12/l_118952469731220.jpg
Actinomycin D 구조 그림 : http://www.beilstein-journals.org/bjoc/content/inline/1860-5397-5-33-i90.png?max-width=550&background=EEEEEE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1.01.17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85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