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보고서 - 천은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천은사와의 만남
2. 천은사 속의 미술
3. 천은사가 안겨준 느낌과 개인적인 견해

본문내용

는데 이번 탐방으로 인해 알게 되었고 천은사의 성보물를 알게
되었다. 그 중 가장 기억에 남는 건 역시 실제로 봤던 아미타후불탱화와 극락보전, 삼장탱화
이다. 극락보전 처마에 있는 용은 극단으로 인도하는 방편으로 쓰였다하는 것을 보니 용이 두려움과 공포의 대상이 아닌 신성스러운 존재로 여겨지는 듯 하다. 극락보전의 내부를 봤을 때 공간적으로 넓은 편은 아니였지만 뭔가 웅장함을 느꼈었다. 지금 생각해보면 정면의 아미타후불탱화와 우측의 삼장탱화 그리고 좌측의 신중탱화가 자리 잡고 있었기 때문인 듯
하다. 이 세 탱화는 적색과 녹색을 주로 색이 들어간 공통점이 있지만 아미타후불탱화는 좀 어두운감이 있어서인지 아미타불의 위엄을 과시하는 듯한 느낌을 받았으며 삼장탱화인 경우는 밝은 채색이여서 그런지 자비로움을 느꼈다. 신중탱화는 짚은 녹색과 적색을 사용
하고 부분적으로 흑색과 황색이 곁들어졌으나 채색의 조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은 듯 보였고 확실히 느낌상 심란해보였었다. 이러한 적색, 녹색을 주로 들어간 탱화들이지만 각기 틀린 느낌
을 받아서인지 극락보전의 내부는 한편으로는 위화감마저 느껴졌었다.
이러한 단순하게 보이는 건축물 및 그림에도 여러 의미를 부여하며 살아갔던 우리 선조들을 느낄 수 있었고, 그 분들의 사상을 엿볼 수 있었다. 그리고 채색의 차이로 인해 다르게 표현되는 탱화들이 신기하기도 했고, 이러한 것들에 의해 인간이 깨닫는 무언가가 있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이러한 건축물 및 그림에 의미를 부여하여 사상을 깨우치는 데
에는 이러한 훌륭한 채색 및 기법 등의 조화가 이루어 졌기 때문이라는 생각을 해본다.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01.17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86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