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1. 커뮤니케이션의 정의
2. 커뮤니케이션의 구조
3. 커뮤니케이션의 형태
4. 커뮤니케이션의 매체
5. 매스 커뮤니케이션의 기능
Ⅱ. 현대 커뮤니케이션 구조와 질서
1. 세계적 논쟁
3. 바람직한 커뮤니케이션 질서
4.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질서를 위한 전제
5. 커뮤니케이션의 새 질서
Ⅲ. 기독교와 커뮤니케이션
1. 커뮤니케이션의 성서적 모델
2. 성육신의 커뮤니케이션
3. 교회와 커뮤니케이션
4. 커뮤니케이션을 보는 교회의 시각
5. 커뮤니케이션의 기독교적 원칙
1. 커뮤니케이션의 정의
2. 커뮤니케이션의 구조
3. 커뮤니케이션의 형태
4. 커뮤니케이션의 매체
5. 매스 커뮤니케이션의 기능
Ⅱ. 현대 커뮤니케이션 구조와 질서
1. 세계적 논쟁
3. 바람직한 커뮤니케이션 질서
4.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질서를 위한 전제
5. 커뮤니케이션의 새 질서
Ⅲ. 기독교와 커뮤니케이션
1. 커뮤니케이션의 성서적 모델
2. 성육신의 커뮤니케이션
3. 교회와 커뮤니케이션
4. 커뮤니케이션을 보는 교회의 시각
5. 커뮤니케이션의 기독교적 원칙
본문내용
커뮤니케이션의 기독교적 원칙 : 1)커뮤니케이션은 공동체를 창조한다 ; 갈등 소외 분열을 넘어 개방적이고 포용적이어야 한다. 인종, 성, 계급, 민족, 권력, 부와 같은 장애요인을 제거하여 만민의 권리와 정의가 실현되는 공동체를 촉진한다. 2)커뮤니케이션은 참여적이다 ; 접근 참여 및 쌍방향의 과정으로 민중이 주체가 되며, 표현의 자유는 물론 정보의 추구 수용 전달의 자유와 권리를 보장하고, 권력과 전문가의 지배 구조에 도전한다. 3)커뮤니케이션은 해방시킨다 ; 정치 경제 사회적 권력의 지배 체계로부터 사람들을 자유케 하여, 보다 정의롭고 평등하며 인권을 신장하는 사회구조를 구현한다. 4)커뮤니케이션은 문화를 지원하고 발전시킨다 ; 다양한 집단의 문화적 정체성을 존중하고 민족문화의 자주성을 옹호한다. 행락산업과 오락 매체를 경계하고 서구적 문화 제국주의를 견제한다. 종교적 문화적 가치들을 수호하며 문화의 다양성을 고무한다. 5)커뮤니케이션은 예언자적인 것이다 ; 말과 행동으로 스스로를 표현하고 권력에 도전하여 희생을 감수한다. 허위에 도전하고 진리에 봉사한다. 영원한 가치 표준과 저널리스트의 윤리가 요청되고 대안 커뮤니케이션의 개발도 고려되어야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