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3) 카테터를 고정시키고 혈전형성률이 낮으므로 감염을 예방하고, 6개월이상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어 가정간호 대상자와 장기입원 환자에게 사용하기가 좋다.
4) 완전매립형(이식) 포트
(1) 반복적인 정맥천자나 정맥접근도가 높은 대상자에게 전신 또는 국소마취 후 형광투시검사로 위치를 확인하면서 피하에 터널을 만들어 약물저장고인 포트를 피하에 이식시킨 후 봉합하는 것
(2) 포트는 외관상 밖으로 노출되지 않고 피하에 매립되어 있다.
(3) 피부표면에서 포트를 촉지하여 위치를 확인한 다음 주사기를 포트의 중심부위에 꽂아서 수액이나 약물 또는 혈액 등을 공급하거나 채혈을 할 수 있다.
(4) 포트는 실리콘 재질로 되어 있어 혈전형성률이 낮아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5) 피하에 매립되어 있어 외관상 보기가 좋으며 관리를 특별히 하지 않아도 된다.
(6)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월 1회정도 헤파린 관류를 해주면 막히지도 않는다.
5) 정리
비터널카테터
터널카테터
PICC
이식형 포트
관강(lumens)
single
multilumen
single
multilumen
single
dual
single
dual
삽입기간
단기간
장기간
장기간
장기간
특성
-유지기간이 짧다.
-멸균드레싱교환
-매일헤파린관류 필요
-활동이 제한된다.
-손상될 가능성 있다.
-길이:6~30cm
크기:14~27G
-dacron cuff에 의해 안전하다.
-완전치유되면 clean
dressing한다.
-매일 헤파린 관류 필요(proshong 예외)
-손상시에 repair가 가능하다.
-외과적 제거
-드레싱교환(매일~일주일)
-길이:55~90cm
크기:2.7~19.2Fr
-비용이 절약된다.
-멸균드레싱 교환
-카테터 손상 가능성이 있다.
-외과적절차필요없다.
-작은 PICC인 경우 채혈이 부적당하다.
-매일헤파린관류 필요
-삽입시 손상이 제일 적다.
-길이:33.5~60프
크기:14~25G
-외과적 절차로 인해 비용이 많이 든다.
-needle access가 요구됨(huber needle)
-월1회의 헤파린 관류
-신체상에 영향주지
않는다.
-활동제한이 없다.
-Height/base
-9.8~17mm/
24~50mm
10. 중심정맥주사 삽입후 합병증
1) 감염
2) 조직침윤 또는 혈관의 유출
3) 정맥염
4) 혈종형성
5) 급속한 쇼크
6) 색전증
7) 패혈증
8) 기흉
(1) 쇄골하정맥 접근시에 바늘이 늑막에 천자되는 것
(2) 늑막강에 공기가 들어가 폐가 허탈상태가 되는 것
(3) 중심정맥 카테터를 주입하는 동안에 환자의 약 5%에 있어 기흉이 발생한다. 이는 카테터가 흉막을 반대로 천자낼때 발생한다.
(4) 증상 : 가슴 또는 어깨통증, 갑작스러운 호흡곤란, 기침, 빠른 심장, 그리고 호흡부재
(5) 증상없이 방사선사진으로 확인될 수도 있다.
→ 흉부방사선은 모든 중심정맥카테터 주입 후에 카테터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용액이나 약물의 주입하기 전에 흉부방사선 사진을 꼭 찍어야 한다.
(6) 카테터의 삽입중 쇄골하 정맥이나 주변정맥이 손상받거나 관통되었을 때 혈흉이 생기며 정맥수액이 흉곽 내로 스며들면 수흉이 발생한다. 혈흉과 수흉의 증상과 치료는 기흉과 같다.
9) 공기색전
(1) 카테터 삽입 중 또는 교환시에 공기색전이 발생할 수 있다.
(2) 증상과 징후 : 흉통, 호흡곤란, 저산증, 무호흡, 빈맥, 저혈압, 심장잡음
(3) 삽입중에는 대상자의 자세를 Trendelenburg position으로 취해 주어 중심정맥압을 올려준다.
(4) 대상자가 협조할 수 있다면 발사바수기를 통해 중심정맥압을 올릴 수 있다.
(5) 대사자가 숨을 들이쉴 때 카테터를 분리하면 공기색전의 위험이 커진다. 수액세트를 교환할 때에도 똑같은 주의를 해야 한다.
(6) 카테터 제거시에도 공기색전을 주의해야 한다. 이때에도 발살바수기를 시행하도록한다.
(7) 즉각적인 처치는 다리를 올리고 왼쪽 옆으로 눕게 함으로써 공기를 우심방에 가두어 놓고 이를 흉강내 바늘(intracardiac needle)로 흡인한다.
10) 카테터 색전
(1) Inside-the-needle(INC)종류의 카테터를 삽입할 때 혹은 카테터를 그 자리에 그대로 남겨두는 경우 카테터 색전증의 위험이 크다.
(2) 삽입 중에는 절대로 바늘을 통해 카테터를 뒤로 빼지 말아야 한다.
(3) INC가 들어가 있는 경우는 안전한 덮개(tip cover)로 바늘 끝을 보호해야 한다.
(4) 카테터가 끊어지면 심도자술을 시행하여 색전을 제거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11) 카테터 폐색
(1) 카테터를 제거하는 가장 큰 이유는 혈전으로 인한 카테터 폐색이다.
(2) 카테터가 혈관에 들어가면서 혹은 카테터 끝이 혈관을 자극하여 내막이 손상받게 되면 피브린막을 형성하게 된다. 1~7일이 경과하면 비조직적이고 상피조직이 없는 소매자락 같은 피브린막이 정맥조영에 나타나게 된다. 이때는 역류폐색(withdrawal occlusion)만 나타난다.
(3) 혈액을 뽑아내는 것은 안되지만 수액주입에는 문제가 없다.
(4) 주입흐름이 적거나 거의 없는 경우는 혈전용해제(urokinase 혹은 streptokinase)를 이용하여 흐름을 재개할 수 있다.
12) 동맥천자
(1) 쇄골하 정맥으로 삽입할 때 흔히 일어나는 합병증
(2) 초기에 발견하면 큰 문제는 안된다.
(3) 동맥이 천자되면 즉시 손가락으로 최소한 5분동안 누른다.
(4) 응고이상이 있을 때에는 출혈이 멈출 때까지 손가락으로 누르도록 한다.
(5) 동맥천자가 초기에 발견되어 처치되지 못하면 커다란 혈종이 형성되어 기관압박이나 호흡부전이 초래될 수 있다.
13) 상대정맥 증후군(superior vena cava syndrome)
(1) 상대정맥의 폐쇄로 오며 흔하지는 않지만 높은 사망률을 가져온다.
(2) 급성으로 일어날 때 치명적인 뇌부종과 성대부종을 일으킨다.
(3) 주로 종양의 합병증이지만 중심정맥관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4) 증상 : 정맥압 상승으로 중추신경계 교란, 결막 부종, 연하곤란, 호흡곤란, 상지목얼굴 부종, 가슴목팔의 표피혈관이 확장
(5) 스트렙토키나제나 유로키나제 등의 혈전용해제로 치료
(3) 카테터를 고정시키고 혈전형성률이 낮으므로 감염을 예방하고, 6개월이상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어 가정간호 대상자와 장기입원 환자에게 사용하기가 좋다.
4) 완전매립형(이식) 포트
(1) 반복적인 정맥천자나 정맥접근도가 높은 대상자에게 전신 또는 국소마취 후 형광투시검사로 위치를 확인하면서 피하에 터널을 만들어 약물저장고인 포트를 피하에 이식시킨 후 봉합하는 것
(2) 포트는 외관상 밖으로 노출되지 않고 피하에 매립되어 있다.
(3) 피부표면에서 포트를 촉지하여 위치를 확인한 다음 주사기를 포트의 중심부위에 꽂아서 수액이나 약물 또는 혈액 등을 공급하거나 채혈을 할 수 있다.
(4) 포트는 실리콘 재질로 되어 있어 혈전형성률이 낮아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5) 피하에 매립되어 있어 외관상 보기가 좋으며 관리를 특별히 하지 않아도 된다.
(6)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월 1회정도 헤파린 관류를 해주면 막히지도 않는다.
5) 정리
비터널카테터
터널카테터
PICC
이식형 포트
관강(lumens)
single
multilumen
single
multilumen
single
dual
single
dual
삽입기간
단기간
장기간
장기간
장기간
특성
-유지기간이 짧다.
-멸균드레싱교환
-매일헤파린관류 필요
-활동이 제한된다.
-손상될 가능성 있다.
-길이:6~30cm
크기:14~27G
-dacron cuff에 의해 안전하다.
-완전치유되면 clean
dressing한다.
-매일 헤파린 관류 필요(proshong 예외)
-손상시에 repair가 가능하다.
-외과적 제거
-드레싱교환(매일~일주일)
-길이:55~90cm
크기:2.7~19.2Fr
-비용이 절약된다.
-멸균드레싱 교환
-카테터 손상 가능성이 있다.
-외과적절차필요없다.
-작은 PICC인 경우 채혈이 부적당하다.
-매일헤파린관류 필요
-삽입시 손상이 제일 적다.
-길이:33.5~60프
크기:14~25G
-외과적 절차로 인해 비용이 많이 든다.
-needle access가 요구됨(huber needle)
-월1회의 헤파린 관류
-신체상에 영향주지
않는다.
-활동제한이 없다.
-Height/base
-9.8~17mm/
24~50mm
10. 중심정맥주사 삽입후 합병증
1) 감염
2) 조직침윤 또는 혈관의 유출
3) 정맥염
4) 혈종형성
5) 급속한 쇼크
6) 색전증
7) 패혈증
8) 기흉
(1) 쇄골하정맥 접근시에 바늘이 늑막에 천자되는 것
(2) 늑막강에 공기가 들어가 폐가 허탈상태가 되는 것
(3) 중심정맥 카테터를 주입하는 동안에 환자의 약 5%에 있어 기흉이 발생한다. 이는 카테터가 흉막을 반대로 천자낼때 발생한다.
(4) 증상 : 가슴 또는 어깨통증, 갑작스러운 호흡곤란, 기침, 빠른 심장, 그리고 호흡부재
(5) 증상없이 방사선사진으로 확인될 수도 있다.
→ 흉부방사선은 모든 중심정맥카테터 주입 후에 카테터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용액이나 약물의 주입하기 전에 흉부방사선 사진을 꼭 찍어야 한다.
(6) 카테터의 삽입중 쇄골하 정맥이나 주변정맥이 손상받거나 관통되었을 때 혈흉이 생기며 정맥수액이 흉곽 내로 스며들면 수흉이 발생한다. 혈흉과 수흉의 증상과 치료는 기흉과 같다.
9) 공기색전
(1) 카테터 삽입 중 또는 교환시에 공기색전이 발생할 수 있다.
(2) 증상과 징후 : 흉통, 호흡곤란, 저산증, 무호흡, 빈맥, 저혈압, 심장잡음
(3) 삽입중에는 대상자의 자세를 Trendelenburg position으로 취해 주어 중심정맥압을 올려준다.
(4) 대상자가 협조할 수 있다면 발사바수기를 통해 중심정맥압을 올릴 수 있다.
(5) 대사자가 숨을 들이쉴 때 카테터를 분리하면 공기색전의 위험이 커진다. 수액세트를 교환할 때에도 똑같은 주의를 해야 한다.
(6) 카테터 제거시에도 공기색전을 주의해야 한다. 이때에도 발살바수기를 시행하도록한다.
(7) 즉각적인 처치는 다리를 올리고 왼쪽 옆으로 눕게 함으로써 공기를 우심방에 가두어 놓고 이를 흉강내 바늘(intracardiac needle)로 흡인한다.
10) 카테터 색전
(1) Inside-the-needle(INC)종류의 카테터를 삽입할 때 혹은 카테터를 그 자리에 그대로 남겨두는 경우 카테터 색전증의 위험이 크다.
(2) 삽입 중에는 절대로 바늘을 통해 카테터를 뒤로 빼지 말아야 한다.
(3) INC가 들어가 있는 경우는 안전한 덮개(tip cover)로 바늘 끝을 보호해야 한다.
(4) 카테터가 끊어지면 심도자술을 시행하여 색전을 제거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11) 카테터 폐색
(1) 카테터를 제거하는 가장 큰 이유는 혈전으로 인한 카테터 폐색이다.
(2) 카테터가 혈관에 들어가면서 혹은 카테터 끝이 혈관을 자극하여 내막이 손상받게 되면 피브린막을 형성하게 된다. 1~7일이 경과하면 비조직적이고 상피조직이 없는 소매자락 같은 피브린막이 정맥조영에 나타나게 된다. 이때는 역류폐색(withdrawal occlusion)만 나타난다.
(3) 혈액을 뽑아내는 것은 안되지만 수액주입에는 문제가 없다.
(4) 주입흐름이 적거나 거의 없는 경우는 혈전용해제(urokinase 혹은 streptokinase)를 이용하여 흐름을 재개할 수 있다.
12) 동맥천자
(1) 쇄골하 정맥으로 삽입할 때 흔히 일어나는 합병증
(2) 초기에 발견하면 큰 문제는 안된다.
(3) 동맥이 천자되면 즉시 손가락으로 최소한 5분동안 누른다.
(4) 응고이상이 있을 때에는 출혈이 멈출 때까지 손가락으로 누르도록 한다.
(5) 동맥천자가 초기에 발견되어 처치되지 못하면 커다란 혈종이 형성되어 기관압박이나 호흡부전이 초래될 수 있다.
13) 상대정맥 증후군(superior vena cava syndrome)
(1) 상대정맥의 폐쇄로 오며 흔하지는 않지만 높은 사망률을 가져온다.
(2) 급성으로 일어날 때 치명적인 뇌부종과 성대부종을 일으킨다.
(3) 주로 종양의 합병증이지만 중심정맥관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4) 증상 : 정맥압 상승으로 중추신경계 교란, 결막 부종, 연하곤란, 호흡곤란, 상지목얼굴 부종, 가슴목팔의 표피혈관이 확장
(5) 스트렙토키나제나 유로키나제 등의 혈전용해제로 치료
추천자료
외대 레포트 하드웨어
(식사요법A형)우리나라의 골다공증 발생현황과 원인, 치료 및 영양관리 방법
Slip casting(주입성형)
혈액투석 (Hemodialysis)
모성간호학실습
[골절]골절과 무혈관성 괴사, 골절과 가골, 골절과 일리자로브 사지연장술, 골절의 치료 약물...
혈액투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책을 이용하여 직접 정리한 내용입니다. 많은 도움이 되시길 바...
장루환자의 간호에 대한 사례문제 (방송통신대학교 간호학과)
PPROM Twin PTL 부인과 case study
[성인간호학][안면경련][facial spasm]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혈액투석에 대해..
신경계 병동 사전학습 - 용어 및 약어, 학습 내용, 주요질환
병원 감염
마취간호(전신마취,국소마취, 척추마취, 경막외마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