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A. 서론
B. 본론
1. 북한 종교정책의 양면성
2. 북한사람들의 종교에 대한 인식
3. 북한에 진짜 종교가 있다는 근거
4. 종교를 억제했을 때 나타나는 증상
C. 결 론
B. 본론
1. 북한 종교정책의 양면성
2. 북한사람들의 종교에 대한 인식
3. 북한에 진짜 종교가 있다는 근거
4. 종교를 억제했을 때 나타나는 증상
C. 결 론
본문내용
인권을 지키는 시민연합 - 기관잡지 14페지)
4. 종교를 억제했을 때 나타나는 증상
가장 가까이에서 함께 살아 보았던 분을 선택해야 인간의 내면 세계를 잘 알 수 있기에 우리 아버지의 경우를 든다.
우리 아버지 만큼 철저한 무신론자, 공산주의를 신봉한 사람은 없을 정도이다.
공산당 초창기부터 입당하여 지하투쟁을 시작했고 감옥에도 세차례 갇힐 정도로 실천적인 혁명가였다. 또한 공산대학을 수석으로 졸업할 만큼 이론을 갖추셨고 연설도 비범했다. 북한사람들이 "신앙"처럼 좋아하는 술, 담배, 장기나 주패(카드)놀이도 하지 않으셨다, 어찌보면 마음풀이의 대상은 오직 공산주의 혁명사상 밖에 없었다.
그래서인지 인간 개개의 성격특성이라고만 볼 수 없는 뭔가 쌓인 것이 있는지 돌발적인 신경질을 잘 내셨다. 더욱히 인생말년 가까이에 이르면서 심각한 심경변화를 보이 셨다. 인생말년에 명예도 그 무엇도 필요 없었다. 한편 한 목숨, 한 생을 바쳐 바랬던 공산주의 이상사회는 너무나 반대되는 현실이라는 것을 돌이 킬수 없는 한생으로 느끼면서 그 허무감은 무엇으로서 해소 할 수가 없으셨다. 육십이 되셔도 상한 이발 하나 없을 정도로 건강하셨지만 마음의 자살로 갑작이 세상을 뜨셨다. 공산주의 사상은 죽음에 이른 마음에 생명을 열어주지 못하였던 것이다. 이것은 아버지에 한하기 보다는 무신론과 공산주의 사상에 가까운 사람 일 수록 나타나는 보편적인 현상인 것 같다.
C. 결 론
북한만큼 종교를 철저히 탄압억제하고 대신 수령(인간)우상화와 혁명사상으로 일색화한 나라는 없다. 따라서 종교라면 무슨 소리냐고 펄쩍뛰며, 절대 상관없이 살고 있는 듯 하다. 그러나 위에서 보듯이 북한의 유일신인 김일성부자의 가족까지, 그 측근과 말단 당간부, 백성에 이르기까지 종교를 완전히 배제하고 살지 못하고 있다.
이것은 소위 혁명사상, 과학적 공산주의는 인간의 마음 전반을 어루만져주고 다독여주고 영생을 주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끝으로 강조하고 싶은 것은 죽음을 무릅쓰고 신앙을 견지하고 있는 지하교인들을 잊지 말고 그들을 돕는 대책을 세워야 한다.
더욱이는 발각 되여 정치범수용소에 끌려가 시시각각 죽어가고 있는 지하교인들과 영혼들을 살려내기 위한 국내적 세계적 운동을 시급히 벌려 나가야 한다.
또한 북한의 영혼(주민)들을 구원하기 위한 대책을 준비 있게 갖추며 당면하게는 영육 구원이 용이한 북한을 탈출한 자유북한인들을 위해 나서야 한다.
4. 종교를 억제했을 때 나타나는 증상
가장 가까이에서 함께 살아 보았던 분을 선택해야 인간의 내면 세계를 잘 알 수 있기에 우리 아버지의 경우를 든다.
우리 아버지 만큼 철저한 무신론자, 공산주의를 신봉한 사람은 없을 정도이다.
공산당 초창기부터 입당하여 지하투쟁을 시작했고 감옥에도 세차례 갇힐 정도로 실천적인 혁명가였다. 또한 공산대학을 수석으로 졸업할 만큼 이론을 갖추셨고 연설도 비범했다. 북한사람들이 "신앙"처럼 좋아하는 술, 담배, 장기나 주패(카드)놀이도 하지 않으셨다, 어찌보면 마음풀이의 대상은 오직 공산주의 혁명사상 밖에 없었다.
그래서인지 인간 개개의 성격특성이라고만 볼 수 없는 뭔가 쌓인 것이 있는지 돌발적인 신경질을 잘 내셨다. 더욱히 인생말년 가까이에 이르면서 심각한 심경변화를 보이 셨다. 인생말년에 명예도 그 무엇도 필요 없었다. 한편 한 목숨, 한 생을 바쳐 바랬던 공산주의 이상사회는 너무나 반대되는 현실이라는 것을 돌이 킬수 없는 한생으로 느끼면서 그 허무감은 무엇으로서 해소 할 수가 없으셨다. 육십이 되셔도 상한 이발 하나 없을 정도로 건강하셨지만 마음의 자살로 갑작이 세상을 뜨셨다. 공산주의 사상은 죽음에 이른 마음에 생명을 열어주지 못하였던 것이다. 이것은 아버지에 한하기 보다는 무신론과 공산주의 사상에 가까운 사람 일 수록 나타나는 보편적인 현상인 것 같다.
C. 결 론
북한만큼 종교를 철저히 탄압억제하고 대신 수령(인간)우상화와 혁명사상으로 일색화한 나라는 없다. 따라서 종교라면 무슨 소리냐고 펄쩍뛰며, 절대 상관없이 살고 있는 듯 하다. 그러나 위에서 보듯이 북한의 유일신인 김일성부자의 가족까지, 그 측근과 말단 당간부, 백성에 이르기까지 종교를 완전히 배제하고 살지 못하고 있다.
이것은 소위 혁명사상, 과학적 공산주의는 인간의 마음 전반을 어루만져주고 다독여주고 영생을 주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끝으로 강조하고 싶은 것은 죽음을 무릅쓰고 신앙을 견지하고 있는 지하교인들을 잊지 말고 그들을 돕는 대책을 세워야 한다.
더욱이는 발각 되여 정치범수용소에 끌려가 시시각각 죽어가고 있는 지하교인들과 영혼들을 살려내기 위한 국내적 세계적 운동을 시급히 벌려 나가야 한다.
또한 북한의 영혼(주민)들을 구원하기 위한 대책을 준비 있게 갖추며 당면하게는 영육 구원이 용이한 북한을 탈출한 자유북한인들을 위해 나서야 한다.
추천자료
세계선교 동향과 한국에 대한 선교정책
선교사열전(선교사들에대해자세히)
[선교사][알렌][네비우스][남장로교 선교][북한 선교]최초 선교사 알렌과 네비우스, 남장로교...
선교의 성경적 기초(선교학개론)
[선교 설교][인터넷을 이용한 선교][선교][설교][인터넷][교회][목회][성경]선교 설교와 인터...
[선교][중국][일본][캐나다][미국][한국 선교][북한 선교]중국, 일본, 캐나다, 미국의 한국 ...
[사도행전][선교설교][일본 조합교회의 선교][남감리교 선교]사도행전의 선교설교와 일본 조...
선교사가그린선교사바울의생애서평
선교의 성경적 배경 역사와 문화 및 선교 전략
성육신적선교사-선교상담학
R. Paul Stevens, <21세기를 위한 평신도 신학> 서평
선교의 자유와 초기 선교활동
시가서 79편 연구 (원문 번역 및 본문 비평, 양식 및 구조와 주석, 시편 79편의 최종형태 구...
선교사들의 선교활동 [의료선교, 아펜젤러 선교활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