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L
( - )
( - )
검사항목
결과
정상치
감마 - GTP
17
1 ~ 30
BUN
10.9
4.7~23.3
Creatinine
0.7
0.6~1.5
Uric acid
4.5
2.4~5.7
Triglyceride
61
40~160
Na
144
136~148
K
4.1
3.5~5.1
S - Amylase
64
1~96
Ⅲ 간호과정
1. 불안정한 정서와 관련된 불안
2. 올바르지 못한 식이 생활과 관련된 영양부족
간호과정
간호사정
- “아무것도 먹고 싶지 않아.”
- “간호사 선생님, 소화제 좀 주세요.”
- “머리숱이 많이 적어졌어...”
- “날씬하고 이뻐야만 남들이 날 깔보지 않아.”
- 원래 환자의 몸무게 : 54kg → 현 40kg
- 늦잠을 잠(불규칙적인 수면 생활로 인해 아침식사시간에는 거의 자고 있음)
- 식사 시에 밥 2숟가락 정도만 식사하고 나머지는 버림, 국물만 마심
- 물로 입을 계속 헹구거나 침을 계속 뱉는 행동을 보임
- 폭식과 거식 증세를 반복함
- 힘이 없어 보임
간호진단
올바르지 못한 식이 생활과 관련된 영양부족
간호목표
장기목표 : 대상자는 올바른 식이 생활을 할 수 있다.
단기목표 : 대상자는 7일안에 2kg이상 체중이 증가 할 것이다.
간호계획
1-1. 대상자에게 식사와 관련된 자기의 생각을 표현하게 한다.
1-2. 대상자에게 하루에 규칙적으로 식사시간을 지키게 하며 일정하게 식사량을 증가 시킨다.
간호수행
1-1. 대상자가 가지고 있는 생각에 대해 표현하게 하여 특정한 믿음을 지지하거나 논박하는 증거로써 다시 질문을 하거나 이야기를 이끌 어 나가면서 생각의 전환을 가져오게 도와준다.
1-2. 대상자는 게으른 생활로 인해 식이를 미루는 일이 많았다. 규칙적 으로 생활하게 하여 식이의욕을 증진시키며 일정양을 정해서 점차 늘려 나가서 거부감이 없고 자연스럽게 식이의 양 변화에 적응하 도록 한다.
간호평가
1. 대상자는 7일안에 2kg이상 체중이 증가 할 것이다.
→ 치료적 방법이나 식사의 량은 4~5숟가락으로 늘었지만 체중의 증가는 1.5kg 밖에 증가되지 못하였으므로 “부분적 달성”
\
간호사정
- “뭐 때문인지 몰라도 초초하고 불안해요.”
- “이 불안한 마음은 엄마를 때려야만 해소될 수 있어요.”
- “머리가 아파요, 입이 마르고 짜증만 나요.”
- “밥맛도 없고 화장실만 자주 가게 되요.”
- “약 좀 주세요. 왜 약을 안주는 거죠?”
- 한자리에 장시간 앉아 있지 못하고 복도를 계속 서성거림
- 수면시간 6시간 (수면제가 없으면 잠을 이룰 수 없음)
- 간이 정신 진단 검사 중 ‘혼자서 집을 나가기 두렵다.’에 4 선택
- 간이 정신 진단 검사 중 ‘누구를 때리거나 해치고 싶은 충동이 있다.’에 4 선택
- 별 이유 없이 깜짝깜짝 놀램
- 간단한 이야기나 질문을 하였을 때 집중하지 못하고 그 전이야기를 다시 되물어 봄
- 불안 척도 사정 하였을 때 8/10 선택
- 이야기를 나눌 때 목소리가 떨리거나 손이 떨리는 모습을 보임
- 눈빛을 피하거나 이야기 할 때 다른 곳을 보면서 (아래) 이야기 함
간호진단
불안정한 정서와 관련된 불안
간호목표
장기목표 : 대상자는 스스로 불안이 해소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단기목표
1. 대상자는 10일 이내에 불안에 대한 적절한 표현방법을 1가지 이상 실천할 수 있다.
2. 대상자는 10일 이내에 불안에 대한 적절한 해소 방법을 실천하고 설명할 수 있다.
간호계획
1-1. 대상자에게 펜과 종이를 주어 불안한 것을 자유롭게 적도록 한다.
1-2. 대상자에게 하루의 일과를 매일 일정시간에 양에 상관없이 서술하도록 한다.
2-1. 대상자에게 스트레스 해소 기법에 대해 설명해준다.
2-3. 대상자에게 이완운동을 교육하고 따라 하도록 한다.
간호수행
1-2 무언가를 쓰는 것은 생각과 감정을 기록함으로써 대인관계나 불안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반복해서 검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환자나 의료의 지속성을 확인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되며 환자 스스로가 인식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
2-1. 대상자는 모를 때리는 것을 최상의 불안해소 기법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대체할 수 있는 다른 스트레스 해소 기법을 설명해주어 긍정적인 불안해소를 꾀할 수 있다.
2-3. 대상자가 갑작스러운 변화에 또 다른 저항요소를 만들거나 더욱더 억압되는 심리적 상태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시행하도록 한다.
간호평가
1. 대상자는 10일 이내에 불안에 대한 적절한 표현방법을 1가지 이상 실천할 수 있다.
→ 대상자 스스로 펜과 종이를 달라고 하여 생각이나 하루의 일과를 적어 내려가는 모습이 보였으므로 “달성”
2. 대상자는 10일 이내에 불안에 대한 적절한 해소 방법을 실천하고 설명할 수 있다.
→ 달성
3. 종합 평가
2주간의 정신병원 실습으로 다른 병동을 실습할 때와는 많이 다른 느낌이었다. 두려움이 가장 많이 앞섰지만 실습이 끝나가는 지금은 두려움보다는 환자들과의 관계에 대한 서운함과 뿌듯함만이 남아있다. 보통 정상인과는 다를 것이라는 선입견 때문에 우리는 정신질환자들에 대해 곱지 않은 시선으로 바라보았다. 하지만 내가 겪어본 결과 정신질환자들은 마음으로부터 생겨난 병이라 그런지 한번 마음을 열면 정말 따뜻하고 좋은 사람들이라는 것을 느꼈다. 정말 질병으로 환자를 대하기보다 진심으로 환자에게 다가가 서로 대화를 나누고 정을 나누다 보면 그 환자에 대해 많은 것을 알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그래서 이번 정신병원 실습을 통해 많은 것을 배우는 계기가 되었다. 환자의 호소를 중심으로 사례연구를 진행하다 보니 어려운 점도 많았고 시시각각 변하는 환자의 태도 때문에 자료를 얻는 데에도 힘든 점이 있었다. 하지만 이내 마음을 열고 정을 나누다 보니 벌써 이렇게 헤어지는 게 아쉬운 사이가 되어 버렸다. 이분의 정신질환이 당장은 아니지만 꾸준한 약물치료와 다를 요법치료로 인해 빨리 어디서든 밝은 웃음을 지으시며 행복하셨으면 좋겠다.
● 참고문헌
이광자 외(2006), 정신간호총론, 수문사
.전시자 외(2005), 성인간호학(하), 현문사
염영희 외(2004), 간호중재분류, 현문사
간호진단 분류 가이드, 현문사
( - )
( - )
검사항목
결과
정상치
감마 - GTP
17
1 ~ 30
BUN
10.9
4.7~23.3
Creatinine
0.7
0.6~1.5
Uric acid
4.5
2.4~5.7
Triglyceride
61
40~160
Na
144
136~148
K
4.1
3.5~5.1
S - Amylase
64
1~96
Ⅲ 간호과정
1. 불안정한 정서와 관련된 불안
2. 올바르지 못한 식이 생활과 관련된 영양부족
간호과정
간호사정
- “아무것도 먹고 싶지 않아.”
- “간호사 선생님, 소화제 좀 주세요.”
- “머리숱이 많이 적어졌어...”
- “날씬하고 이뻐야만 남들이 날 깔보지 않아.”
- 원래 환자의 몸무게 : 54kg → 현 40kg
- 늦잠을 잠(불규칙적인 수면 생활로 인해 아침식사시간에는 거의 자고 있음)
- 식사 시에 밥 2숟가락 정도만 식사하고 나머지는 버림, 국물만 마심
- 물로 입을 계속 헹구거나 침을 계속 뱉는 행동을 보임
- 폭식과 거식 증세를 반복함
- 힘이 없어 보임
간호진단
올바르지 못한 식이 생활과 관련된 영양부족
간호목표
장기목표 : 대상자는 올바른 식이 생활을 할 수 있다.
단기목표 : 대상자는 7일안에 2kg이상 체중이 증가 할 것이다.
간호계획
1-1. 대상자에게 식사와 관련된 자기의 생각을 표현하게 한다.
1-2. 대상자에게 하루에 규칙적으로 식사시간을 지키게 하며 일정하게 식사량을 증가 시킨다.
간호수행
1-1. 대상자가 가지고 있는 생각에 대해 표현하게 하여 특정한 믿음을 지지하거나 논박하는 증거로써 다시 질문을 하거나 이야기를 이끌 어 나가면서 생각의 전환을 가져오게 도와준다.
1-2. 대상자는 게으른 생활로 인해 식이를 미루는 일이 많았다. 규칙적 으로 생활하게 하여 식이의욕을 증진시키며 일정양을 정해서 점차 늘려 나가서 거부감이 없고 자연스럽게 식이의 양 변화에 적응하 도록 한다.
간호평가
1. 대상자는 7일안에 2kg이상 체중이 증가 할 것이다.
→ 치료적 방법이나 식사의 량은 4~5숟가락으로 늘었지만 체중의 증가는 1.5kg 밖에 증가되지 못하였으므로 “부분적 달성”
\
간호사정
- “뭐 때문인지 몰라도 초초하고 불안해요.”
- “이 불안한 마음은 엄마를 때려야만 해소될 수 있어요.”
- “머리가 아파요, 입이 마르고 짜증만 나요.”
- “밥맛도 없고 화장실만 자주 가게 되요.”
- “약 좀 주세요. 왜 약을 안주는 거죠?”
- 한자리에 장시간 앉아 있지 못하고 복도를 계속 서성거림
- 수면시간 6시간 (수면제가 없으면 잠을 이룰 수 없음)
- 간이 정신 진단 검사 중 ‘혼자서 집을 나가기 두렵다.’에 4 선택
- 간이 정신 진단 검사 중 ‘누구를 때리거나 해치고 싶은 충동이 있다.’에 4 선택
- 별 이유 없이 깜짝깜짝 놀램
- 간단한 이야기나 질문을 하였을 때 집중하지 못하고 그 전이야기를 다시 되물어 봄
- 불안 척도 사정 하였을 때 8/10 선택
- 이야기를 나눌 때 목소리가 떨리거나 손이 떨리는 모습을 보임
- 눈빛을 피하거나 이야기 할 때 다른 곳을 보면서 (아래) 이야기 함
간호진단
불안정한 정서와 관련된 불안
간호목표
장기목표 : 대상자는 스스로 불안이 해소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단기목표
1. 대상자는 10일 이내에 불안에 대한 적절한 표현방법을 1가지 이상 실천할 수 있다.
2. 대상자는 10일 이내에 불안에 대한 적절한 해소 방법을 실천하고 설명할 수 있다.
간호계획
1-1. 대상자에게 펜과 종이를 주어 불안한 것을 자유롭게 적도록 한다.
1-2. 대상자에게 하루의 일과를 매일 일정시간에 양에 상관없이 서술하도록 한다.
2-1. 대상자에게 스트레스 해소 기법에 대해 설명해준다.
2-3. 대상자에게 이완운동을 교육하고 따라 하도록 한다.
간호수행
1-2 무언가를 쓰는 것은 생각과 감정을 기록함으로써 대인관계나 불안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반복해서 검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환자나 의료의 지속성을 확인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되며 환자 스스로가 인식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
2-1. 대상자는 모를 때리는 것을 최상의 불안해소 기법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대체할 수 있는 다른 스트레스 해소 기법을 설명해주어 긍정적인 불안해소를 꾀할 수 있다.
2-3. 대상자가 갑작스러운 변화에 또 다른 저항요소를 만들거나 더욱더 억압되는 심리적 상태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시행하도록 한다.
간호평가
1. 대상자는 10일 이내에 불안에 대한 적절한 표현방법을 1가지 이상 실천할 수 있다.
→ 대상자 스스로 펜과 종이를 달라고 하여 생각이나 하루의 일과를 적어 내려가는 모습이 보였으므로 “달성”
2. 대상자는 10일 이내에 불안에 대한 적절한 해소 방법을 실천하고 설명할 수 있다.
→ 달성
3. 종합 평가
2주간의 정신병원 실습으로 다른 병동을 실습할 때와는 많이 다른 느낌이었다. 두려움이 가장 많이 앞섰지만 실습이 끝나가는 지금은 두려움보다는 환자들과의 관계에 대한 서운함과 뿌듯함만이 남아있다. 보통 정상인과는 다를 것이라는 선입견 때문에 우리는 정신질환자들에 대해 곱지 않은 시선으로 바라보았다. 하지만 내가 겪어본 결과 정신질환자들은 마음으로부터 생겨난 병이라 그런지 한번 마음을 열면 정말 따뜻하고 좋은 사람들이라는 것을 느꼈다. 정말 질병으로 환자를 대하기보다 진심으로 환자에게 다가가 서로 대화를 나누고 정을 나누다 보면 그 환자에 대해 많은 것을 알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그래서 이번 정신병원 실습을 통해 많은 것을 배우는 계기가 되었다. 환자의 호소를 중심으로 사례연구를 진행하다 보니 어려운 점도 많았고 시시각각 변하는 환자의 태도 때문에 자료를 얻는 데에도 힘든 점이 있었다. 하지만 이내 마음을 열고 정을 나누다 보니 벌써 이렇게 헤어지는 게 아쉬운 사이가 되어 버렸다. 이분의 정신질환이 당장은 아니지만 꾸준한 약물치료와 다를 요법치료로 인해 빨리 어디서든 밝은 웃음을 지으시며 행복하셨으면 좋겠다.
● 참고문헌
이광자 외(2006), 정신간호총론, 수문사
.전시자 외(2005), 성인간호학(하), 현문사
염영희 외(2004), 간호중재분류, 현문사
간호진단 분류 가이드, 현문사
추천자료
정신병동케이스스터디[경계성인격장애&정신분열증]
이상심리,심리장애의 정의, 유형, 분류, 원인,특성, 문제점, 치료방안 (2007년 추천 우수 레...
기질적 인지장애- 간호과 국시대비
주의 집중 장애(ADHD)의 기본 알기
인터넷 중독장애
성기능 장애와 성병
정신간호학] 불안장애 간호
ADHD(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ADHD의 개념과 특징, 현황, 원인, 진단 및 평가, 치료방법, A...
[정서 행동장애아 교육 발표][ADHD 교육]
간호 의학 기분장애 report
[정신간호학] 불안장애
정신건강간호학) 알코올장애_간호과정A+
반사회성 인격 장애 등 정신건강에 문제가 있는 사람들은 이를 고려해 범죄를 저질렀을 경우 ...
[간호학] 인격장애 및 Order sheet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