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황달(Jaundice)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거즈로 닦아주고 우유가 고인 곳은 없는지 확인하고 건조한 지를 수시로 확인하였다.
11/22~11/25
피부가 계속 젖어 있으면 짖무르는 등의 피부손상이 발생하므로 수유시 턱받이를 이용하여 우유가 주름진 곳으로 흐르지 않게하고, 거즈로 수시로 닦아주고, 피부를 건조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피부는 건조하게 유지되었으며 수유장애로 인한 피부손상은 없었다.
11/25
피부염이 완화될 것이다.
피부염 부위에 완화를 위해 연고를 도포한다.
피부염 부위를 건조하게 유지한다.
피부염으로 인해 발적된 부위에 연고를 발라주었다.(간호사선생님 수행함)
피부염 부위의 건조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하였다.
11/23~11/25
피부염증 부위를 건조하게 유지하고 연고를 발라주어 확산을 예방한다.
피부염이 완화되지 않았다.11/25
2. 간호진단 : Sensory or perceptual alteration ; Visual(감각지각의 변화 ; 시각 )related to phototherapy
객관적 자료
주관적 자료
phototherapy에 대해 눈의 보호를 위해 안대를 하고 있다.11/21
광선요법을 계속 유지함에 따라서 안대를 항상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눈을 뜨려고 하면서 짜증내듯이 운다.
NONE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아기의 감각지각의 요구를 만족시킨다.
수유시 광선을 끈다.
수유시 안대를 벗긴다.
엄마, 아빠 면회시 안대를 벗겨 시각을 자극한다.
아기에게 sensory
stimulation을 제공한다.
(tactile, auditory)
수유시 광선을 꺼서 수유동안 광선으로 인한 불편감이 없도록 했다.
11/22~11/25
수유시 안대를 제거하였다.
11/22~11/25
엄마, 아빠 면회시 안대를 제거해주어 아기가 엄마 아빠를 볼 수 있게 하였다.
11/22
광선치료를 받고 있는 환아에게 주위의 소음은 최소화하고 동요를 불러주고, 이야기를 해 주었다.
11/22~ 11/25
복위일 때 등을 마사지 하였다.
11/22~11/25
수유시 광선을 끄고 안대를 제거함으로써 시각을 자극하고 감각지각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면회시 안대를 제거해주어 아기가 엄마 아빠를 볼 수 있게 하여 시각적 자극을 제공하고, 정서적 유대를 증진시킬 수 있다.
Nonvisual sensory
stimulation은 환아의 시각감각 저하에 대한 적응을 돕는다.
아기가 눈을 뜨려고 하면 짜증내며 울던 모습이 줄어들었다. 11/25
아기가 편안하게 잘 논다.
11/25
지각의 병리적 손상은 없을 것이다.
시각을 하루에 한번 씩 주기적으로 사정한다.
수유시 동공의 크기, 움직임 등을 사정하였다.11/22~11/25
체계적인 사정이 불가능 하지만 하루 한번 시각을 사정함으로써 이상 증상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고 그로인한 영구적인 병리적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시각적 이상소견이 없었다.11/25
3. 간호진단 : Family process alteration(가족과정 장애) related to admission
객관적 자료
주관적 자료
출생후 5일만에 admission한 후 일주일 경과함
엄마 아빠가 매일 올 수 없는 상황
면회시간은 낮과 저녁 2회에 걸쳐 각 20분 이다.
가족이 아기의 입원에 대한 걱정을 표현했다.
NONE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가족은 아기의 입원에 대해 감정을 표현한다.
아기의 입원에 대한 가족의 느낌을 사정한다.
엄마, 아빠 면회시 아기의 상태에 대해 설명하고 정서적 지지를 제공한다.
면회시간에 아기의 상태와 앞으로의 치료 계획에 대해 설명했다.
11/23
아기의 입원에 대한 느낌을 말로 표현하도록 격려하고 긍정적으로 얘기하여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였다. 11/23
아픈 가족구성원(환자)에
대한 정보제공은 걱정을 감 소시키고 가족 구성원간의 대화를 증진시킨다.
정서적 지지는 가족 구성원의 느낌환기(ventlate feel-
ings)와 질문하기, 결정을 돕는다.
“선생님이 잘해주시니까 아기걱정이 덜하네요.”라고 엄마가 말했다. 11/23
R/O :
1. 체액부족 위험성 related to phototherapy
2. Hyperthemia related to 인큐베이터의 온도가 높음
3. 감각지각 변화 위험성 : 청각
4. 감염 위험성 realted to 병원내 감염(다른환아의 MRSA)
Ⅲ. 결론
case study를 하면서 이론으로만 배웠던 신생아의 특성이나 환아가 갖고 있는 병에 대해서 실제적으로 학습할 수 있었다. 처음엔 그 작고 주사바늘도 찌를데 없는 아기가 너무 가엽고 불쌍했는데 며칠 지나니까 그런 안쓰러운 마음만 가져서는 아기의 질환을 완화시키고 아기의 안녕을 위해 아무 일도 할 수 없다는 것을 알았다. 아기를 대할 때, 물론 신비감과 안쓰러워 하는 마음을 가져야 하지만 그보다도 아기의 질환을, 고통을 완화시켜 줄 수 있도록 나부터 치료적 입장이 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했다. 아기가 운다고 무조건 안아주고 얼러주는 것이 아니라 아기가 왜 울고, 무엇이 불편한지를 파악하여 그것을 완화시켜 주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실습을 하면서 나의 케이스인 아기가 상태가 점점 호전되고 우유도 잘 먹고 하는 것을 보고 내가 아기의 병을 낫게 한 것은 아니지만 굉장히 뿌듯했고, 실습중에 아기가 태어나는 이벤트까지 있어서 신기하고 기뻤다. 그 순수하고 맑은 아기들을 보면서 나중에 간호사가 되어서 대상자의 안녕에 해로운 짓은 절대 하지 말아야 겠다는 생각을 했다.
[참고문헌]
1. 김미예 권인수 김수옥 김은경 등 공저/ 최신 아동건강간호학(총론)/ 2004년/ 수문사/ p.263-p.272, p.286-p.307
2. 약물치료학/ 신일상사/ 신완균
3. 오송자, 민순 편저/ 검사와 간호편람/p.11-p.12, p. 17-18, p.40-41, p.43-44,
p.65-p.66, p.75-p.77
4. 배종우, 김민희 공저/그림과 표로보는 신생아학/2004년/ 한국의학사
/p.127-p.137
5. 조결자 외/가족중심의 아동간호학Ⅰ/2000년/현문사/p.889~p.892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1.01.21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96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