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위기, 한국과 그리스의 IMF 사례 비교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외환위기, 한국과 그리스의 IMF 사례 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1장

서론

1.선정동기

2.IMF의 이론적 배경

제2장

본론

1.한국의 IMF 사례
1)한국의 IMF 발단 원인
2)한국의 IMF 극복 과정

2. 그리스의 IMF 사례
1)그리스의 IMF 발단 원인
2)그리스의 IMF 현황

3.그리스가 한국으로부터 본받을 점

제3장

결론

1.결론 도출 및 시사점

본문내용


에 숨통을 열어줌으로써 IMF 구조조정 프로그램에 대한 국내 반감을 희석하는 전략을 구
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유로존의 안정을 위해 독일의 리더십이 절실
독일은 유럽통합의 최대 수혜자로서, EU를 통해 東·西獨통일, 수출시장확대 등을 얻었다. 특히 유로체제 출범 후 독일은 사상 최대의 경상수지 흑자를 시현했다. 독일이 유로존의 안정과 유럽통합의 진전을 위해 필요한 비용을 선도적으로 부담하는 것은 독일의 전략적 국가이익과도 합치하다고 볼 수 있다. 그리스 재정위기가 다른 PIGS국가들로 전이될 경우 유로존이 와해되고 유럽통합은 후퇴. 독일이 미국, 중국과 더불어 국제질서의 주축이 되려면 독자적으로는 어렵고, 독일이 주도적 역할을 하는 '유럽합중국(United States ofEurope)'을 건설해야 한다. EU 최대의 경제대국인 독일은 유럽통합에 대한 정치적 리더십을 발휘해 EU 차원의 재정이전장치를 도입하고, EU의 의사결정구조 개선 등 EU 거버넌스 개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필요가 있다.
3. 그리스가 한국으로부터 본받을 점
첫째, 기사회생을 위해 어느 정도의 희생은 피할 수 없다.
그리스에서도 허리띠 졸라매기 캠페인이 필요하다. 10여 년 전 국제통화기금(IMF)으로부터 580억 달러 규모의 구제 금융을 받았던 한국에서는 수많은 사람들이 정부 빚을 갚기 위해 자신의 금반지와 보석 등을 내놓았다. 1997~1998년 이른바 ‘IMF 위기’기간 동안 한국인들은 난방 안 된 사무실에서 두꺼운 모자를 쓴 채 일했고, 수입 커피 대신 국산 차를 마셨으며, 학생들은 교복 물려주기 운동을 펼치기까지 했다는 것. IMF 구제 금융을 둘러싼 많은 논란들이 여전히 존재하지만, 대다수 한국인들은 단합정신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이겨냈다.
둘째, 희생을 해야 한다면 이를 미루지 말아야한다.
그리스가 지금 부채 재조정을 하면, 시장은 향후 2~3년 동안 피할 수 없는 부채 재조정이 언제 일어날지 고민하며 시간을 허비해서는 안 된다. 한국이 IMF로부터 570억 달러의 구제 금융을 받은 이후 헛되이 소모된 시간은 거의 없었다. 부실기업들이 파산되도록 해 일부 은행들이 문을 닫았고 은행 근로자들은 해고 됐다. 정부는 부채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줄여나갔다.
셋째, 구조 조정 등의 조치 등에 비관할 수 있으나 이러한 조치는 향후 경제가 발전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그리스도 이와 같은 개혁이 필요하다. 한국에서는 경제 붕괴가 산업의 구조조정을 강요하고 그 과정에서 정부가 제역할을 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그동안 불가능 했던 일들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경제 붕괴가 전화위복이 되었다.
제3장 결론
1. 결론 및 시사점
외환위기는 한국의 경제역사에 있어서 큰 오점을 남겼다. ‘한강의 기적’이라고 불릴 정도의 엄청난 경제성장을 이룩하였던 한국은 기존의 경제 발전 시스템을 비판을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고집하였고 결국 기존 경제 시스템의 비효율성은 외환위기를 초래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외환위기는 한국경제의 유동성을 상실하게 하였고, 대규모의 외채를 남겼으며 금융기관 및 기업의 대규모 도산 및 부실이라는 결과를 낳았다. 외환위기 이후 구조개혁을 단행하면서 외화유동성이 개선되었고, 기업과 금융기관의 건전성은 선진국수준으로 높아지는 성과를 거두었지만 기존 한국 경제의 최대 장점이었던 역동성을 잃고 산업구조가 붕괴됨으로 인해 성장능력이 크게 훼손되었다. 그래서 이제는 과거와 같은 과오를 되풀이 하지 않고 변화하는 세계 경제 환경에서 우리나라가 살아남기 위해, 투명하고 개방된 시장 질서를 확립하고, 한국을 ‘기업하기 좋은 나라’로 만들어 적극적으로 해외 자본을 유치하며, 국내 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려 노력 중이다.
그리스도 높은 사회복지 지출과 방만한 재정운영, 무리한 유로 단일통화권의 편입, 치중된 산업구조의 불안정으로 국가 경제가 위험경고를 보내도 별 다른 대책 없이 어떻게든 되겠지라는 방만한 태도로 결국 IMF 사태가 발생하였다. 뒤늦게 수습하기 위해 국채발행을 하였지만 결국 큰 대안책이 되지 못하였고, 그리스만의 문제가 아니라 그리스가 속한 유럽연합체의 위험이 되었다. 그리스는 자국뿐만 아니라 자국이 속한 연합체에도 폐를 끼치는 상황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한국이 IMF체제를 벗어나기 위해 했던 것처럼 정부와 국민들이 힘을 합쳐 함께 헤쳐 나가야 할 것이다.
요즘 같이 세계 경제의 흐름이 한 치 앞날을 예상할 수 없을 정도로 불안정한 정세에서 한국과 그리스처럼 모든 국가는 언제든지 국가 경제 위험을 겪을 수 있다. 그렇기에 항상 자국의 경제에 예민하게 집중하여야 한다. 또한 그리스가 속한 유럽연합체 역시 그리스를 남일처럼 바라보지 않고 공생하는 정신으로 함께 해결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어야 할 것이다.
참고 자료
참고 문헌
1997년 한국외환위기의 원인에 관한 연구, 최경호, 경기대학교 대학원
IMF 경제체제의 원인과 대응전략, 이민재 , 慶尙大學校 經營行政大學院
IMF 관리체제 이후의 한국경제: 평가와 과제, 전현중 , 동서대학교 한국지역사회연구소
참고 사이트
국제통화기금 http://www.imf.org/
개인블로그 http://blog.naver.com/areureadyjh
참고 기사
그리스 문제를 IMF가 해결해 줄 수 있을 것인가?
http://blog.naver.com/greennb?Redirect=Log&logNo=60106434260
IMF "그리스 부채 해결 10년 걸린다"
http://asiae.co.kr/market/view.htm?idxno=2010050214320758569
그리스 해결에 IMF가 개입되면?
http://blog.naver.com/e_adventure?Redirect=Log&logNo=140103607489&topReferer=http://cafeblog.search.naver.com&imgsrc=20100322_58/e_adventure_1269234895266fMm3Q_jpg/1_e_adventure.jpg
외환위기 한국에서 배우라.
http://blog.naver.com/ichae77?Redirect=Log&logNo=140065631817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1.01.27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00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