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콘크리트란?
콘크리트 압축강도란?
시험개요
시험목적
시험장비
시험방법
결과분석
오차분석
결론및토의
콘크리트 압축강도란?
시험개요
시험목적
시험장비
시험방법
결과분석
오차분석
결론및토의
본문내용
: 3일, 7일, 28일 강도구분 (28일 강도 최종강도에 근접)
4. 좋은재료 : 불순물 첨가시 강도가 낮아짐
5. 다짐의 정도 : 다짐 중 다짐막대를 사용하며 25회에 걸쳐 다짐을 함
6. 운반시간 : 표면의 노출이 오래될수록 압축강도 낮아짐
7. 재하속도 : 재하속도가 클수록 강도 높아짐
오차 분석
w/c 비율
일반적으로 시멘트가 완전하게 수화반응을 하기 위한 물의 양은 시멘트의 약 25% 정도이며, 시멘트 수화물 Gel 공극의 약 15% 정도 포함되어 있다. 수화에 필요한 이상의 물의 양은 증발되어 콘크리트 내의 공극으로 남아있기 때문에 W/C의 값이 증가할수록 콘크리트 강도는 감소한다.
골재의 수분상태에 따른 압축강도의 변화
눈이 오는 습한 날씨
1.1배의 물 보정 값 보다 조금 더 넣음
다짐의 문제
시멘트 반죽의 수화반응의 피해, 사용재료의 분리, 공극의 혼입 등으로 강도가 약해짐.
공극이 많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강도가 줄어듦을 의미하며, 힘을 분산시킴으로 강도를 충분히 발현시킬 수 없게 만든다.
표면다짐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단면적 A의 손실이 발생.
많은 다짐횟수로 인하여 굵은 골재가 아래로 쏠림.
다짐정도에 따른 콘크리트 압축강도비
양생 온도
보통 18~24°c 의 수조, 습사 또는 포화 습기 중에서 실시하여야 하는데 실제 양생기간동안 온도는 이것보도 현저히 낮았다.
온도에 따른 압축강도 발현
재하속도의 문제
이론상으로 보면 재하 속도는 매초2~3㎏f/㎠정도로 가한다고 나와 있다. 하지만 압축 실험 기계의 정밀도와 하중을 수작업으로 함으로써 정밀도에 대한 신뢰가 감 소된다. 또한 가력하중의 상하작용은 콘크리트에 피로를 줌으로써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배합 문제
기술자의 능력부족으로 인한 불균일한 배합이 원인이며, 1.1배의 보정 값을 사용 하였지만 배합통에 부착된 잔골재 때문에 굵은 골재의 비율이 높아짐.
결론 및 토의
일반적으로 양생기간이 길어질수록 압축강도는 강해진다는 것을 알고 실험한 결과 실제 28일째 압축강도>7일째 압축강도>3일째 압축강도 순의 데이터가 도출 되었 다.
실험이 비록 성공적이지는 못하였으나, 콘크리트에 대해서, 그리고 콘크리트의 배합 과 그에 따른 압축강도를 이해하는 좋은 경험이었다.
실제로 공학인으로 배합설계는 가장 안정적이고 이상적인 배합을 찾는 것으로 원가 절감을 하고 그럼에도 강도는 이상적으로 나오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4. 좋은재료 : 불순물 첨가시 강도가 낮아짐
5. 다짐의 정도 : 다짐 중 다짐막대를 사용하며 25회에 걸쳐 다짐을 함
6. 운반시간 : 표면의 노출이 오래될수록 압축강도 낮아짐
7. 재하속도 : 재하속도가 클수록 강도 높아짐
오차 분석
w/c 비율
일반적으로 시멘트가 완전하게 수화반응을 하기 위한 물의 양은 시멘트의 약 25% 정도이며, 시멘트 수화물 Gel 공극의 약 15% 정도 포함되어 있다. 수화에 필요한 이상의 물의 양은 증발되어 콘크리트 내의 공극으로 남아있기 때문에 W/C의 값이 증가할수록 콘크리트 강도는 감소한다.
골재의 수분상태에 따른 압축강도의 변화
눈이 오는 습한 날씨
1.1배의 물 보정 값 보다 조금 더 넣음
다짐의 문제
시멘트 반죽의 수화반응의 피해, 사용재료의 분리, 공극의 혼입 등으로 강도가 약해짐.
공극이 많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강도가 줄어듦을 의미하며, 힘을 분산시킴으로 강도를 충분히 발현시킬 수 없게 만든다.
표면다짐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단면적 A의 손실이 발생.
많은 다짐횟수로 인하여 굵은 골재가 아래로 쏠림.
다짐정도에 따른 콘크리트 압축강도비
양생 온도
보통 18~24°c 의 수조, 습사 또는 포화 습기 중에서 실시하여야 하는데 실제 양생기간동안 온도는 이것보도 현저히 낮았다.
온도에 따른 압축강도 발현
재하속도의 문제
이론상으로 보면 재하 속도는 매초2~3㎏f/㎠정도로 가한다고 나와 있다. 하지만 압축 실험 기계의 정밀도와 하중을 수작업으로 함으로써 정밀도에 대한 신뢰가 감 소된다. 또한 가력하중의 상하작용은 콘크리트에 피로를 줌으로써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배합 문제
기술자의 능력부족으로 인한 불균일한 배합이 원인이며, 1.1배의 보정 값을 사용 하였지만 배합통에 부착된 잔골재 때문에 굵은 골재의 비율이 높아짐.
결론 및 토의
일반적으로 양생기간이 길어질수록 압축강도는 강해진다는 것을 알고 실험한 결과 실제 28일째 압축강도>7일째 압축강도>3일째 압축강도 순의 데이터가 도출 되었 다.
실험이 비록 성공적이지는 못하였으나, 콘크리트에 대해서, 그리고 콘크리트의 배합 과 그에 따른 압축강도를 이해하는 좋은 경험이었다.
실제로 공학인으로 배합설계는 가장 안정적이고 이상적인 배합을 찾는 것으로 원가 절감을 하고 그럼에도 강도는 이상적으로 나오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추천자료
정역학 실험
동역학 단진자(Simple Pendulum) 실험
(기계공학)기계재료 응용및 실험, 마찰시험, 미끄럼마찰및 구름저항 실험 최신버전!!
재료 인장실험
열역학 실험보고서
전공실험[재료]A++
재료공학실험 인장실험
재료실험 - 경도시험(브리넬, 로커스),인장실험, 충격실험
[건축재료실험] 시멘트 비중실험 (KS L 5110)
고체역학 실험 - 로크웰 경도 시험
[토질역학 실험]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동 국사봉 토질조사 보고서 - 토질역학 레포트입니다...
[재료공학 실험] 기계적 특성 평가 - 인장시험.ppt
재료공학실험 - 인장시험
고체역학 실험 - 충격 실험(Impact Test)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