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값
[2] 결과 분석
[3] 오차 논의 및 검토
[4] 결론
[2] 결과 분석
[3] 오차 논의 및 검토
[4] 결론
본문내용
연결하는 전선에서도 도선에 의한 자기장이 발생하기 때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전선도 수조에서 최대한 멀리 떨어지게 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4] 결론
이 실험은 전기장이 형성된 수조 안에서 전극의 형태에 따른 등전위선의 모양 및 전기장의 방향을 이해하는 실험이었다.
실험을 통해 전극에 가까워질수록 등전위선의 간격이 좁아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전위를 나타내는 식 이므로 쉽게 이해 할 수 있었다. 그리고 두 전극을 마주보게 했기 때문에 두 전기장 사이에서 중첩이 일어나서 두 전극 사이에는 등전위선은 좁고, 전극 바깥쪽은 간격이 큼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두 실험 결과를 통해 전극모양에 따라 등전위선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전기력선의 방향이 전극의 표면에 수직하므로, 전기력선에 수직인 등전위선이 전극의 모양과 비슷한 모양을 띄는 것은 당연한 결과이다. 또 전기력선은 등전위선에 수직이므로 전기력선의 모양도 어느 정도 파악 할 수 있었다.
마지막 실험에서는 전극사이에 도체를 놓아두면 등전위선의 모양이 바뀜을 알 수 있었다.
이번 실험에서는 쉽게 파악하기 힘든 전기장의 다양한 성질들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었던 실험이다.
[4] 결론
이 실험은 전기장이 형성된 수조 안에서 전극의 형태에 따른 등전위선의 모양 및 전기장의 방향을 이해하는 실험이었다.
실험을 통해 전극에 가까워질수록 등전위선의 간격이 좁아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전위를 나타내는 식 이므로 쉽게 이해 할 수 있었다. 그리고 두 전극을 마주보게 했기 때문에 두 전기장 사이에서 중첩이 일어나서 두 전극 사이에는 등전위선은 좁고, 전극 바깥쪽은 간격이 큼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두 실험 결과를 통해 전극모양에 따라 등전위선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전기력선의 방향이 전극의 표면에 수직하므로, 전기력선에 수직인 등전위선이 전극의 모양과 비슷한 모양을 띄는 것은 당연한 결과이다. 또 전기력선은 등전위선에 수직이므로 전기력선의 모양도 어느 정도 파악 할 수 있었다.
마지막 실험에서는 전극사이에 도체를 놓아두면 등전위선의 모양이 바뀜을 알 수 있었다.
이번 실험에서는 쉽게 파악하기 힘든 전기장의 다양한 성질들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었던 실험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