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미술치료에대한이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족미술치료에대한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가족미술치료에 대한 이해
1. 가족미술치료의 개념
2. 가족치료의 목표
3. 가족미술치료의 성장과 발달
4. 가족치료에 있어서 미술작업의 치료적 가치
5. 랜드가튼(Landgarten)의 이론
6. 가족 미술치료사의 역할
7. 가족의 삶을 주기로 본 발달이론
8.가족의 삶의 주기에 따른 발달단계에서의 과업
9-1. 가족화 기법

본문내용

아내-어머니-할머니
남편-아버지-할아버지
결혼관계 다시 확립
나이든 세대와 젊은 세대와 친족관계 유지
8. 노년기
아내-어머니-할머니
남편-아버지-할아버지배우자사별
사별과 혼자 사는 것 적응
가정을 종료하거나 노령에 적응
퇴직 적응
9. 가족화
 가족그림은 대인상호관계를 알아볼 때 시작하는 필연적인 곳이다. 그림을 그려가는 과정, 그림의 내용, 위치, 가족의 크기를 통해 가족역동에 대한 정보를 알려준다고 보고되어 왔다
가족그림은 치료적인 의사소통의 방법인 동시에 평가의 일부로도 자주 사용되어져 왔다.
가족그림에 부모나 형제에 대한 감정과 가정 내의 가족의 역동을 투사한다(Hulse, 1952).
9-1. 가족화 기법
가. 동적 가족화(Kinetic Family Drawing: KFD)
1) KFD의 특성
-가족그림을 통해서 아동이 언어로 표현하는 것 보다
 더 쉽게 자기의 생각이나 감정, 지각(인식)을 표현할 수 있다.
-아동의 관점에서 가족역동성을 파악
-가족체계 내의 자기-발달(self-development)에 대한 시각적 기록
-다른 투사그림처럼 KFD도 타당성에 비판이 제기되어왔다(김동연 외 2인 역, 2001).
나. 합동가족미술치료(Combination Family Drawing: CFD, Bing, 1970)
가족전원이 상담과 함께 둥근 테이블에 앉아 누가 어떤 부분을 그렸는가를 분석하기 위하여 각자 다른 색의 재료를 사용한 한 장의 가족화를 그리게 하는 방법이다.
다. 부부미술치료(Wadeson, 1971)
부부에게 서로의 그림을 수정하여 서로 어울리게 하는 기법이다.
다. 동그라미 중심 가족그림(Family Centered-Circle Drawing: FCCD, Burns, 1991)
부, 모, 자신을 각각 중심에 두고, 원의 주변에 시각적인 자유 연상을 통하여 그린 상징을 배치하면 동그라미 가족그림이 된다.
"부, 모, 자신을 각각 그리고 원의 주변에는 그려진 인물에 대해 자유 연상을 하고 그려 주세요. 인물상은 만화나 막대기상이 아닌 전신상을 그리세요."
동그라미 중심 가족 그림법은 투사적 그림으로써, 사람들 속에 내재되어 있는 부모와 자신과의 접촉을 시도한다. 부모에 대해 그리고 자신의 어린 시절에 대한 얘기를 프로이드나 융의 자유연상법을 통해 그림으로 얘기하는 것이다.
라. 동그라미 중심 부모와 자기그림(Parents Self Centered Drawings: PSCD)
자신과 부모상을 함께 그리고, 주변에 자유연상을 그리면 된다. PSCD에서는 부모상을 현실에서의 부모가 아니라 심리적 부모로 보고 있다.
“원의 한가운데 부모와 자기의 모습을 그리세요. 막대기나 만화같이 그리지 말고 몸 전체를 그려주세요. 그리고 동그라미 주변에 자기가 그리고 싶은 것을 무엇이든지 그려주세요.”
해석기준은 중심에 오는 인물상이 중요하며, 자기상의 상대적 크기와 부모상을 비교한다. 누가 자기상에 가까운가? 얼굴표정은 어떠한가? 인물상에서 무엇이 생략되어 있는가? 무엇이 강조되어 있는가? (권기덕 외 2인, 2000)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2.08
  • 저작시기201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09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