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없습니다.
본문내용
부지역을 더욱 활성화시키려는 목적일 경우, 자원이 고갈되었을 때 계획 또한 중단될 가능성이 있다. 현재 서부지역은 자원의 무분별한 개발로 환경파괴가 일어나고 있어 장기적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다. 그리고 서부지역의 개발과 한족들의 서부이주는 소수민족의 생계와 정체성에 위협을 줄 것 이라는 인식이 있어 소수민족의 반발은 거세지고 있다.
따라서 중국이 지금과 같은 다민족다문화 국가를 지향하고 있다면 소수민족 연구를 통해 민족식별의 관계를 명확하게 해야 할 것이다. 소수민족의 정체성을 바로잡아 국가의 주변민족이 아닌 주체로서 국가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꾸준한 정책적인 지원을 통해 소수민족 인재를 양성하는 것도 필요하겠다. 그러기 위해서는 소수민족의 교육기관을 설립하고 소수민족 지도자의 자질과 능력을 배양하여 국가정책 수립 시에 소수민족의 의견이 최대한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금희연, 전인영, “중국의 소수민족정책에 관한 연구-서남중국 소수민족의 정치참여와 교육 및 문화정책을 중심으로-”, 세계지역연구논총 제 12집, 1997, p.131~157
공봉진, “중국 ‘민족식별’과 소수민족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국제정치연구 제 7집 1호, 2004, p.185 ~205
박광득, “중국공산당의 소수민족정책 연구”, 대한정치학회보 12집 1호. 2004, p.269~291
신주식, 최용호, “중국경제성장이 중국 소수민족의 민족주의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경제경영연구소 경상논집 제31권 제1호, 2003, p.105~ 147
조정남, “중국의 민족분쟁지역 분석”, 민족연구 9권, 단일호, p.64~73
따라서 중국이 지금과 같은 다민족다문화 국가를 지향하고 있다면 소수민족 연구를 통해 민족식별의 관계를 명확하게 해야 할 것이다. 소수민족의 정체성을 바로잡아 국가의 주변민족이 아닌 주체로서 국가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꾸준한 정책적인 지원을 통해 소수민족 인재를 양성하는 것도 필요하겠다. 그러기 위해서는 소수민족의 교육기관을 설립하고 소수민족 지도자의 자질과 능력을 배양하여 국가정책 수립 시에 소수민족의 의견이 최대한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금희연, 전인영, “중국의 소수민족정책에 관한 연구-서남중국 소수민족의 정치참여와 교육 및 문화정책을 중심으로-”, 세계지역연구논총 제 12집, 1997, p.131~157
공봉진, “중국 ‘민족식별’과 소수민족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국제정치연구 제 7집 1호, 2004, p.185 ~205
박광득, “중국공산당의 소수민족정책 연구”, 대한정치학회보 12집 1호. 2004, p.269~291
신주식, 최용호, “중국경제성장이 중국 소수민족의 민족주의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경제경영연구소 경상논집 제31권 제1호, 2003, p.105~ 147
조정남, “중국의 민족분쟁지역 분석”, 민족연구 9권, 단일호, p.64~73
추천자료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동북공정에 대하여
중국의 전통복식에 대한 고찰
중국의 개혁개방이후 조선족의 자기인식과 재외동포법에 관한 정책적 논의
중국의 동북공정과 우리의 대응방안
중국의 결혼문화에 관한 조사
중국문화의 이해jo
화교와 민족문제( 화교 네트워크와 화교 정책을 중심으로)
극단적 중화민족주의의 파시즘적 성향-베이징올림픽의 사례에 초점을 둔
중국의 민속
사회주의 수용의 지역연쇄 (동아시아로의 사회주의 수용, 동아시아 내의 사회주의 수용, 사회...
중국의 지리 풍토의 영향 전통주택의 다양성 & 주거문화 형성요
(중국문화와산책 A형) 중국문화를 설명할 때 남방-북방을 구분하는 기준에 대해 설명하고,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