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시에 대한 보고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안양시에 대한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사회자원의 불평등 배분에 기인한다고 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초래한 원인으로 낮은 개인적 성취(low personal), 집단적인 기회결여(deficiencies in collective), 인구이동패턴(patterns of inward and outward migration) 측면에서 설명하고 있다. 그래서 도심지역의 문제요인은 교육적 경제적 성취도가 낮은 개인 및 기구의 집중, 기술적 경제적 낙후와 물리적 시설의 노후화에 따른 집단적 쇠락화, 이민자와 소수인종의 유입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상호 연관되어 있고 순환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도시심재생의 화두 (이한석, 2006) 대영문화사
都心再生의 定議
도심재생의 의미는 그 범위와 초점에 따라 다의적으로 정의되고 지역과 학자에 따라 견해를 달리하고 있다. 도심재생을 광의로 해석할 때 도시의 낙후된 지역을 물리적 환경의 개선에 초점을 맞춤과 동시에 저소득층이나 사회소외계층에 대한 사회적 프로그램도 병행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협의적인 개념으로 해석하면 도심이라는 장소적 조건을 가진 건축 혹은 도시 설계적 사업을 의미한다. 도시재생과 경관 만들기 (이정형, 2003)
일반적으로 도심재생은 도심지역에 수행되었던 도심기능의 회복으로 해석 할 수도 있다. 도심재생의 대상이 되는 구도심이란 과거에 도시의 중심기능을 수행하던 지역이 여건변화에 따라 도시기능의 이전 등에 의하여 물리적으로 쇠퇴하고 기능적으로 중심기능이 상실되어 과거 중심지역으로서의 매력을 상실한 지역을 의미한다. 이런 도심지역의 기능을 되살려 도시지역의 외연적인 확산을 억제하고 도심쇠퇴 현상을 방지하며 도심지역의 기능회복을 도모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경제성장과 환경보전이 조화를 이루는 도시개발을 추진하는 모든 노력이라고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都心再生의 必要性
外婦成의 解消
도심쇠퇴는 도심지역에서 경제적 쇠퇴뿐만 아니라 다양한 외부성을 파생시키고 있다. 즉, 도심에서 중산층이 떠나고 저소득층의 주거지가 형성됨에 따라 불량주택이 밀집하고 편의시설이 확충되지 않는 등의 사회적 불이익이 집중되고 다양한 도시문제들을 파생시키고 있다. 또한 도심지역의 쇠퇴는 과도한 교외화를 촉발시켜 통근거리의 연장을 초래함으로써 에너지 소비의 증가와 더불어 도시의 혼잡을 가중시키고 있다. 그리고 도시의 개발면적 확대에 따른 자연환경의 파괴를 가속시키고 있다.
따라서 도심재생을 통해 도시문제의 해소는 물론 혼잡비용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볼 수 있으며, 도심지역에서 주거기능의 회복으로 통근거리를 단축시켜 도시의 혼잡비용의 감축 및 자연환경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볼 수 있다.
都市의 晶體成 確保
도심은 오랜 기간에 걸쳐 형성되면서 도시의 문화와 전통이 집적된 곳으로 축제 이벤트 상호교류의 장을 마련해 주고 있다. 도시의 역사와 문화는 지역의 특성을 살펴 정체성을 형성시켜 준다. 이러한 도시의 정체성은 다른 도시와 다른 특성을 보여 주며, 시민들에게는 심리적인 유대감과 일체감을 형성시켜 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도시의 정체성 확보는 다른 지역으로부터 사람을 끌어당기는 요소로 작용하며, 도시의 경쟁력을 제고시키는 중요한 요인이다.
都市의 效率成 增大
도심에는 오랜 시간에 걸쳐 도로, 고층건축물, 상하수도 등 도시의 하부구조(infrastructure)가 갖추어져 있다. 도시 외곽지역에 대한 정책적 관심으로 인해 도심지역의 인프라를 갱신하는데 소액투자를 소홀히 하면 동일한 기능의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많은 비용을 투자할 수 밖에 없어 경제적 비효율성이 증가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부문별하게 진행된 팽창적 개발로 인해 도심의 경제적 침체와 공간구조의 왜곡 등 많은 도시문제를 파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낭비를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도심재생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結 論
앞에서 우리는 안양시의 도시화 과정에 대해 살펴 보고 도시화된 안양의 산업, 인구, 교통, 환경 등을 자세히 분석 함으로써 도시문제에 대해 알아 보았다.
주택문제는 여러 요인에 의하여 발생된다. 급격한 도시화 ·산업화에 따른 대도시로의 유입인구의 증가추세, 주택공급의 부족 및 자연감소, 불량주택의 발생, 임대주택의 부족, 주택금융의 비현실성, 택지난, 지가(地價)의 앙등 등의 요인에 의하여 도시의 주택은 수요에 비하여 공급이 뒤따르지 못하는 데서 발생된다. 한국은 1962년 경제개발 5개년계획을 추진하면서부터 도시화가 급격히 진행되었다. 그 결과 도시는 대도시화로 인하여 점차 과밀화(過密化)되고 있는 반면, 농촌은 급격한 이농현상으로 인하여 과소화(過疎化)되고 있으므로, 주택문제라고 하면 곧 도시의 주택문제를 의미하게 되었다. 5차에 걸친 경제개발 5개년계획을 통해서 본 GNP(국민총생산) 대비 주택투자율은 연평균 3.1 %로 주택부분에 대한 투자가 낮은 편이어서 앞으로 도시화가 둔화되지 않는 한 도시의 주택문제는 해결되기 어려운 실정에 있다.
주택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을 다루는 기관으로는 건설교통부 ·대한주택공사 ·한국토지개발공사 ·주택은행 ·재정경제원 ·지방자치단체 등이 있다. 이를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법률로는 ‘특정지역 종합개발촉진에 관한 특별조치법’ ‘택지개발촉진법’ 등이 마련되어 있지만, 서울 주변의 대단위 택지는 이미 동난 상태여서, 80년대 후반부터 불량주택지구의 재개발, 위성도시 건설에 주력하고 있으며, 이에 부수하여 전철권 광역화도 추진하고 있다.
최근 안양천 살리기를 시작으로 안양의 생태 환경 개선에 많은 투자를 해왔고 점차 도시의 큰 문제점으로 지적 되었던 주거 환경개선과 자연환경 조성등에 있어 점차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이 제도의 원활한 뒷받침과 성장된 시민의식과 함께 산재한 도시문제들은 해결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參考文獻
안양시청 http://anyang.go.kr/anyang.jsp
안양시, 생태복원-자연형 하천 안양천 살리기 종합계획, 2001
손옥주, “친환경 하천정비계획 지침”
조형욱, 「한국 도시화의 문제점과 방안, 2003
최일홍, 「도시와 도시화에 관한 연구」, 2003
한덕영,「안양 무엇이 문제와 해법」, 2003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112페이지
  • 등록일2011.02.17
  • 저작시기201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15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