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17차 선정동기
2.17차 소개
2. 본론
1.중국 茶 시장 현황
2. 경쟁사 분석
3. STP
4. SWOT
5. 4P
1.17차 선정동기
2.17차 소개
2. 본론
1.중국 茶 시장 현황
2. 경쟁사 분석
3. STP
4. SWOT
5. 4P
본문내용
사(社)를 설립.
홍차의 대중화에 기여한 대표적인 홍차 브랜드이다. 영국의 식료품점을 운영하던 T.J. 립턴이 1889년 이후 홍차를 취급하면서 원가절감을 위해 스리랑카의 다원을 사들여 직접 찻잎을 생산한 것이 립턴 홍차의 시작이었다. 그는 폐허가 된 다원을 싸게 사들여 양질의 아삼종을 이식하는데 성공하였고, 영국으로 홍차를 운반해서 판매함으로써 저렴한 가격에 서민들에게 홍차를 공급할 수 있었다. 당시 립턴사가 내건 "다원의 홍차를 직접 가정의 티포트로(Direct from the Tea Gardens to the Tea Pot)"라는 슬로건을 실현시킨 것이다. 그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들여온 홍차를 찻잎의 무게를 달아 팔지 않고, 규격화된 포장을 하여 값싸게 판매함으로써 홍차의 대중화에 이바지 하였다. 이어 1898년 이후에는 인도·실론·미국에 다원과 농원을 갖춘 립턴사를 설립하고 현지에서 홍차를 생산 및 가공함으로써 더욱 싼 가격에 공급할 수 있게되자 세계적으로 유명한 홍차회사가 되었다. 그 명성에 힘입어 지금은 유닐레버사(社)에 의해 재편성되었다. 특히, 1910년에 출시한 옐로 라벨(Yellow Label) 티백은 케냐와 스리랑카산의 찻잎을 블렌딩했으며 전세계적으로 대중적인 차로 자리잡고 있다.
⑶ STP
◎segmentation
-위의 그림은 중국의 연령별 분포를 나타낸 그림이다. 우리는 여러 가지 시장세분화 방법 중 인구통계적 방법의 연령변수를 이용하여 중국 시장의 세분화를 하려고 한다.
0~14세, 15세~39세, 40세~54세, 55세~69세, 70세~80세까지 연령별 세분화를 실시하였다.
◎targeting
-우리가 중국 시장으로 진출하려는 17茶는 한국에서 젊은 소비자들의 구매량이 많은 제품이다. 그렇기 때문에 중국에서도 젊은 소비자층인 15세~39세의 약 566만명의 인구를 표적시장으로 선정하였다.
◎positioning
-
17茶는 10대 후반부터 30대 후반까지의 젊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제품이기 때문에
맛은 높이고 가격은 내린다. 그리고 제품에 포함되어 있는 17가지의 약재의 효과를 설명하여 맛도 좋고, 저렴한 가격의 제품이 건강에도 좋다는 이미지를 소비자들이 갖을 수 있도록 한다.
⑷ SWOT 분석
⑸ 4P`s 전략
1) 제품(Product)
“17茶”는 17가지 원료로 만든 차로 녹차, 산수유, 메밀, 현미, 옥수수, 둥굴레, 결명자, 구기자, 율무, 귤피 , 영지, 치커리, 차가 등 17가지 재료에서 기능성 성분만을 추출해 만들었다. 몸에 좋다는 차를 사용함으로써 웰빙음료의 이미지를 각인시켜 웰빙족들의 관심을 유도하였다. 최근 소비자들의 선호가 콜라, 사이다 등 강한 맛에서 부드럽고 건강지향적인 제품으로 바뀌고 있는데 이런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해준다. 이 음료에는 L-카르니틴과 카테킨이 들어 있어 지방을 연소시키고 체중조절에 도움을 주어 다이어트에 효과적이다. 다이어트에 관심이 많은 젊은 여성들에게 어필하고자 하였다. 몸에 좋은 성분들이 함유된 음료이면서도 원료들을 잘 조화시켜 맛이 부드러우면서 새로운 맛을 느끼게 하여 떫은 맛 때문에 꺼리는 소비층이 많았던 기존의 녹차 음료와 달리, 부드러운 맛의 조화를 이뤄내 수요층을 확대하고 있다. 또 無칼로리이어서 물대신, 물보다 가볍게 마실 수 있다는 점을 부각시킨다. 병 디자인 들고 다니며 음용할 수 있도록 340㎖와 500㎖ 페트 타입을 고루 선보였다. 포장용기는 차잎을 배경으로 한 초록색 포장을 사용하여 맑고 깨끗한 느낌을 주었다. “몸이 가벼워지는 시간”이라는 문구를 삽입함으로써 컨셉을 드러낸다. 또 17가지 차 종류와 효능을 상세하게 설명해놓아 소비자에게 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2) 가격(Price)
가격은 다른 음료와 비슷하고 선택의 폭을 넓게 하기위해 다양한 크기와 가격을 제시한다. 가격은 340㎖ 페트 4.5위안(한화 600원), 500㎖ 페트 5.6위안(한화 800원) 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쟁제품인 WAHAHA의 빙홍차(氷紅茶)가 500㎖가 3위안(한화 500원)점을 감안한다면 다소 고가이다. 일반적으로 녹차 시장 등의 차음료 시장은 특별히 선호하는 제품이 없을 정도로 가격과 품질면에서 비슷하다. 그러나 17茶는 제품에서 차별화 전략을 사용하였지만 가격은 비슷하게 설정하여 고객으로 하여금 거부감없이 선택하고 부담없이 즐기도록 하고 있다. 소비자들은 비쌀 것이라고 예상하지만 제품에 비해 저렴한 가격에 주저없이 17茶를 선택할 수 있다.
3)유통(Place)
현재 중국의 청도와 상해에 있는 남양유업 분유 판매소에서 17茶를 같이 팔도록 한다.
4) 촉진(Promotion)
17茶는 몸을 시원하고, 가볍고, 건강하게 해준다는 컨셉트로 구매력이 높은 베이징과 상해에서 젊은 층의 소비자를 타깃으로 마케팅 활동을 한다.
먼저 17茶의 제품 인지도를 형성을 위해 제품에 대한 정보와 이미지를 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잘 알려지지 않은 신인모델을 사용함으로써 신선하고 깨끗함을 강조한다. 그 후 시장에서 제품의 반응이 좋아지면 현지에서 인기가 높은 연예인 장나라를 모델로 기용해 제품의 이미지를 고급스러우면서도 젊은 느낌을 주도록 한다. 또 날씬하고 균형 있는 몸매의 대표적인 모델을 사용함으로써 소비자로 하여금 음료를 마시면 날씬해질 것만 같은 느낌이 들도록 하였다. 또 광고시간을 20~30대 여성들이 즐겨보는 장르의 영화나 드라마 사이에 집중시켜 타겟 소비자에게 자주 노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반복적인 자극을 통해 소비자들의 인식에서 제품의 이미지를 확고하게 하는데 도움을 주도록 한다. 또한 제품의 출시가 얼마 되지 않은 만큼 소비자들에게 홍보를 목적으로 한 시음회를 곳곳에서 개최하여 17茶에 대해 모르는 소비자들에게 제품을 알리고 직접 제품을 마실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현재 중국에서 유통업의 중요한 업태로 부상하고 있는 슈퍼마켓에서 음료를 나눠주는 등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 판촉행사를 시행하여 고객들에게 좀 더 편안하고 거부감 없이 제품을 사용하도록 체험마케팅을 실시한다. 이러한 판촉행사는 고객들의 호기심을 자극하여 자신 있게 제품의 사용을 권한다.
홍차의 대중화에 기여한 대표적인 홍차 브랜드이다. 영국의 식료품점을 운영하던 T.J. 립턴이 1889년 이후 홍차를 취급하면서 원가절감을 위해 스리랑카의 다원을 사들여 직접 찻잎을 생산한 것이 립턴 홍차의 시작이었다. 그는 폐허가 된 다원을 싸게 사들여 양질의 아삼종을 이식하는데 성공하였고, 영국으로 홍차를 운반해서 판매함으로써 저렴한 가격에 서민들에게 홍차를 공급할 수 있었다. 당시 립턴사가 내건 "다원의 홍차를 직접 가정의 티포트로(Direct from the Tea Gardens to the Tea Pot)"라는 슬로건을 실현시킨 것이다. 그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들여온 홍차를 찻잎의 무게를 달아 팔지 않고, 규격화된 포장을 하여 값싸게 판매함으로써 홍차의 대중화에 이바지 하였다. 이어 1898년 이후에는 인도·실론·미국에 다원과 농원을 갖춘 립턴사를 설립하고 현지에서 홍차를 생산 및 가공함으로써 더욱 싼 가격에 공급할 수 있게되자 세계적으로 유명한 홍차회사가 되었다. 그 명성에 힘입어 지금은 유닐레버사(社)에 의해 재편성되었다. 특히, 1910년에 출시한 옐로 라벨(Yellow Label) 티백은 케냐와 스리랑카산의 찻잎을 블렌딩했으며 전세계적으로 대중적인 차로 자리잡고 있다.
⑶ STP
◎segmentation
-위의 그림은 중국의 연령별 분포를 나타낸 그림이다. 우리는 여러 가지 시장세분화 방법 중 인구통계적 방법의 연령변수를 이용하여 중국 시장의 세분화를 하려고 한다.
0~14세, 15세~39세, 40세~54세, 55세~69세, 70세~80세까지 연령별 세분화를 실시하였다.
◎targeting
-우리가 중국 시장으로 진출하려는 17茶는 한국에서 젊은 소비자들의 구매량이 많은 제품이다. 그렇기 때문에 중국에서도 젊은 소비자층인 15세~39세의 약 566만명의 인구를 표적시장으로 선정하였다.
◎positioning
-
17茶는 10대 후반부터 30대 후반까지의 젊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제품이기 때문에
맛은 높이고 가격은 내린다. 그리고 제품에 포함되어 있는 17가지의 약재의 효과를 설명하여 맛도 좋고, 저렴한 가격의 제품이 건강에도 좋다는 이미지를 소비자들이 갖을 수 있도록 한다.
⑷ SWOT 분석
⑸ 4P`s 전략
1) 제품(Product)
“17茶”는 17가지 원료로 만든 차로 녹차, 산수유, 메밀, 현미, 옥수수, 둥굴레, 결명자, 구기자, 율무, 귤피 , 영지, 치커리, 차가 등 17가지 재료에서 기능성 성분만을 추출해 만들었다. 몸에 좋다는 차를 사용함으로써 웰빙음료의 이미지를 각인시켜 웰빙족들의 관심을 유도하였다. 최근 소비자들의 선호가 콜라, 사이다 등 강한 맛에서 부드럽고 건강지향적인 제품으로 바뀌고 있는데 이런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해준다. 이 음료에는 L-카르니틴과 카테킨이 들어 있어 지방을 연소시키고 체중조절에 도움을 주어 다이어트에 효과적이다. 다이어트에 관심이 많은 젊은 여성들에게 어필하고자 하였다. 몸에 좋은 성분들이 함유된 음료이면서도 원료들을 잘 조화시켜 맛이 부드러우면서 새로운 맛을 느끼게 하여 떫은 맛 때문에 꺼리는 소비층이 많았던 기존의 녹차 음료와 달리, 부드러운 맛의 조화를 이뤄내 수요층을 확대하고 있다. 또 無칼로리이어서 물대신, 물보다 가볍게 마실 수 있다는 점을 부각시킨다. 병 디자인 들고 다니며 음용할 수 있도록 340㎖와 500㎖ 페트 타입을 고루 선보였다. 포장용기는 차잎을 배경으로 한 초록색 포장을 사용하여 맑고 깨끗한 느낌을 주었다. “몸이 가벼워지는 시간”이라는 문구를 삽입함으로써 컨셉을 드러낸다. 또 17가지 차 종류와 효능을 상세하게 설명해놓아 소비자에게 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2) 가격(Price)
가격은 다른 음료와 비슷하고 선택의 폭을 넓게 하기위해 다양한 크기와 가격을 제시한다. 가격은 340㎖ 페트 4.5위안(한화 600원), 500㎖ 페트 5.6위안(한화 800원) 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쟁제품인 WAHAHA의 빙홍차(氷紅茶)가 500㎖가 3위안(한화 500원)점을 감안한다면 다소 고가이다. 일반적으로 녹차 시장 등의 차음료 시장은 특별히 선호하는 제품이 없을 정도로 가격과 품질면에서 비슷하다. 그러나 17茶는 제품에서 차별화 전략을 사용하였지만 가격은 비슷하게 설정하여 고객으로 하여금 거부감없이 선택하고 부담없이 즐기도록 하고 있다. 소비자들은 비쌀 것이라고 예상하지만 제품에 비해 저렴한 가격에 주저없이 17茶를 선택할 수 있다.
3)유통(Place)
현재 중국의 청도와 상해에 있는 남양유업 분유 판매소에서 17茶를 같이 팔도록 한다.
4) 촉진(Promotion)
17茶는 몸을 시원하고, 가볍고, 건강하게 해준다는 컨셉트로 구매력이 높은 베이징과 상해에서 젊은 층의 소비자를 타깃으로 마케팅 활동을 한다.
먼저 17茶의 제품 인지도를 형성을 위해 제품에 대한 정보와 이미지를 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잘 알려지지 않은 신인모델을 사용함으로써 신선하고 깨끗함을 강조한다. 그 후 시장에서 제품의 반응이 좋아지면 현지에서 인기가 높은 연예인 장나라를 모델로 기용해 제품의 이미지를 고급스러우면서도 젊은 느낌을 주도록 한다. 또 날씬하고 균형 있는 몸매의 대표적인 모델을 사용함으로써 소비자로 하여금 음료를 마시면 날씬해질 것만 같은 느낌이 들도록 하였다. 또 광고시간을 20~30대 여성들이 즐겨보는 장르의 영화나 드라마 사이에 집중시켜 타겟 소비자에게 자주 노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반복적인 자극을 통해 소비자들의 인식에서 제품의 이미지를 확고하게 하는데 도움을 주도록 한다. 또한 제품의 출시가 얼마 되지 않은 만큼 소비자들에게 홍보를 목적으로 한 시음회를 곳곳에서 개최하여 17茶에 대해 모르는 소비자들에게 제품을 알리고 직접 제품을 마실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현재 중국에서 유통업의 중요한 업태로 부상하고 있는 슈퍼마켓에서 음료를 나눠주는 등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 판촉행사를 시행하여 고객들에게 좀 더 편안하고 거부감 없이 제품을 사용하도록 체험마케팅을 실시한다. 이러한 판촉행사는 고객들의 호기심을 자극하여 자신 있게 제품의 사용을 권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