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주제
목적
원리
결과
고찰
숙제
목적
원리
결과
고찰
숙제
본문내용
60
실제 각 sample의 몰수(μmole)
-
25
50
sample 1몰당 소비된 IO4-의 몰수
-
4.8
1.2
9. 고찰
과요오드 산화반응을 통하여서 글리코겐의 1차 구조를 분석할 수 있다. 포름산 적정을 통하여서 글루코오즈의 경우에는 1개의 알데하이드 그룹과 5개의 하이드록실 그룹이 존재하기 때문에 5개의 포름산이 생성될 수 있다. 구한 값은 6.2개로 이론값과 거의 비슷하게 나온 것을 알 수 있다. 글리세롤도 1.2로 나왔는데 이론값 1과 거의 비슷하다.
과요오드 소비량 적정 실험 역시 포름산 적정 실험과 비슷하게 glucose와 glycerol이 몇 개로 나눠지는지를 알아보는 실험이라고 할 수 있다. 포름산 적정 실험은 HCOOH를 생각하고 실험을 한 것이고 과요오드 소비량 적정 실험은 IO4-으로 실험을 한 것이 차이점일 뿐이다.sample 1몰 당 소비된 IO4-는 glucose일 때 4개이고, glycerol일 때 2개나 나온 것을 알 수 있다. 즉 한 분자의 IO4-가 한 분자의 hydroxyl group와 결합하여 한 분자의 포름산과 한 분자의IO3-를 만들게 되는 것이다. 과요오드 소비량 적정에서 나온 glucose일 때 IO4-가 4개 나오고, glycerol일 때 IO4-가 2개 나오는 것은 앞서 실험한 포름산의 4.8개가 나왔는데 거의 비슷함을 알 수 있다.
실험을 하는데 있어서 순간적인 색 변화에 제대로 관찰이 필요했고, 색이 완전히 변하여 유지되는 그 정점을 찾아내는 것이 실험값을 도출해 내는 데에 주의 깊은 것이라고 할 수 있는 실험이었다. 어떠한 실험을 하는데 있어서 단지 한 가지 방법으로만 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하여서 결과 값을 얻어낼 수 있는 점도 알 수 있었다.
10. 참고문헌
한국생화학회 (1999) 실험생화학, 탐구당, 서울
Biochemistry, Stryer 외, Freeman
생화학실험(1) 실험교본
http://ko.wikipedia.org/wiki/%EA%B8%80%EB%A6%AC%EC%BD%94%EA%B2%90
11. 숙제
① 다당류가 요오드와 반응하여 발색하는 원리를 설명하시오.
다당류는 중합체로 작은 분자들이 들어갈 수 있는 나선형의 형태이다. 요오드와 반응을 시키면 요오드 분자들이 나선형의 다당류에 감기게 되고, 감길 때에는 I5-의 형태로 감기게 되는데 여기서 발색이 되는 이유는 I5-가 가시광선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각 sample의 몰수(μmole)
-
25
50
sample 1몰당 소비된 IO4-의 몰수
-
4.8
1.2
9. 고찰
과요오드 산화반응을 통하여서 글리코겐의 1차 구조를 분석할 수 있다. 포름산 적정을 통하여서 글루코오즈의 경우에는 1개의 알데하이드 그룹과 5개의 하이드록실 그룹이 존재하기 때문에 5개의 포름산이 생성될 수 있다. 구한 값은 6.2개로 이론값과 거의 비슷하게 나온 것을 알 수 있다. 글리세롤도 1.2로 나왔는데 이론값 1과 거의 비슷하다.
과요오드 소비량 적정 실험 역시 포름산 적정 실험과 비슷하게 glucose와 glycerol이 몇 개로 나눠지는지를 알아보는 실험이라고 할 수 있다. 포름산 적정 실험은 HCOOH를 생각하고 실험을 한 것이고 과요오드 소비량 적정 실험은 IO4-으로 실험을 한 것이 차이점일 뿐이다.sample 1몰 당 소비된 IO4-는 glucose일 때 4개이고, glycerol일 때 2개나 나온 것을 알 수 있다. 즉 한 분자의 IO4-가 한 분자의 hydroxyl group와 결합하여 한 분자의 포름산과 한 분자의IO3-를 만들게 되는 것이다. 과요오드 소비량 적정에서 나온 glucose일 때 IO4-가 4개 나오고, glycerol일 때 IO4-가 2개 나오는 것은 앞서 실험한 포름산의 4.8개가 나왔는데 거의 비슷함을 알 수 있다.
실험을 하는데 있어서 순간적인 색 변화에 제대로 관찰이 필요했고, 색이 완전히 변하여 유지되는 그 정점을 찾아내는 것이 실험값을 도출해 내는 데에 주의 깊은 것이라고 할 수 있는 실험이었다. 어떠한 실험을 하는데 있어서 단지 한 가지 방법으로만 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하여서 결과 값을 얻어낼 수 있는 점도 알 수 있었다.
10. 참고문헌
한국생화학회 (1999) 실험생화학, 탐구당, 서울
Biochemistry, Stryer 외, Freeman
생화학실험(1) 실험교본
http://ko.wikipedia.org/wiki/%EA%B8%80%EB%A6%AC%EC%BD%94%EA%B2%90
11. 숙제
① 다당류가 요오드와 반응하여 발색하는 원리를 설명하시오.
다당류는 중합체로 작은 분자들이 들어갈 수 있는 나선형의 형태이다. 요오드와 반응을 시키면 요오드 분자들이 나선형의 다당류에 감기게 되고, 감길 때에는 I5-의 형태로 감기게 되는데 여기서 발색이 되는 이유는 I5-가 가시광선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