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인적사항
2) 간호 사정
3) 관련자료
(1) 진단적 검사자료
(2) 치료적 자료
(3) 질병 Study
4) 간호과정 기록지
2) 간호 사정
3) 관련자료
(1) 진단적 검사자료
(2) 치료적 자료
(3) 질병 Study
4) 간호과정 기록지
본문내용
정확한 평가를 할 수 있도록 노력하라고 하셨다. 그래서 실습을 하는 동안 하루에 한 1분 씩 GCS 를 하자고 다짐했다. 그리고 정상 사람들의 pupil, mental state도 알아야한다고 생각해서 주위 친구들도 해보니 확실히 환자들과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젠 나도 객관적인 판단이 가능하다는 자신감이 생겼다. 그리고 전문 간호사 선생님께서 환자분들의 GCS 하는 것을 관찰해보고 수행 해보니 아직은 내가 많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실습하는 동안 많이 연습해보고 공부해야겠다.
학생이름 :
실습장소 :
날 짜 :
간호학생의 행위
생각 및 느낌
비판적 성찰
수혈과정 관찰
packed RBC 수혈과정에서 있었던 일이다. 학교에서 배우기로는 먼저 NS를 수액줄에 채운 후 혈액백을 연결하고, chamber를 충분히 채워 혈구의 낙하로 인해 혈액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해야한다고 배웠다. 하지만 실제 수혈하는 과정에서는 바로 혈액 백에 수액줄을 연결하여 수혈하였다.
대상자를 확인하고 혈액원에서 올라온 혈액을 대상자의 혈액형과 일치하는지 확인한 후 수혈을 시행하였다.
수혈 시행 과정에서 교과서에서 배운 것과 실제 임상에서 하는 것이 달랐다. 교과서에서의 이론과 임상이라는 현실의 차이에서 시간적인 소모나 효율성이라는 면이 작용하긴 마련이다. 하지만 수혈이라는 것은 환자에게 큰 부작용과 후유증이 남을 수 있으므로 교과서에서 나온 것처럼 이론에 입적하여 수행하는 편이 혈액의 손실을 줄이고 환자에게 보다 효율적으로 수혈 할 것 같다.
위출혈 대상자 L-tube irrigation 관찰
MI로 입원 후 CABG 수술을 하신 분으로 입원 전에 heparin을 복용하셔서 op site 근처에 멍이 많이 생겨 있었다. 수술 전과 달리 mental이 많이 떨어지셔서 산소흡입이나 C-line을 자주 거부하셔서 주의 관찰 하여야 하는 분이셨다. 그런데 갑자기 토혈을 하셔서 놀랐다. 급한 마음에 선생님을 바로 noti 하고 화장지를 가지고 닦기 시작했다.
수술 후 지남력이 떨어져 격리시켜 놓은 대상자가 갑자기 팥죽색의 vomiting을 하여 관찰해보니 위출혈이 의심되었다. 그래서 L-tube를 삽입하여 출혈유무를 사정하고 세척하기 위해서 irrigation을 하기로 했다. 하지만 대상자의 mental이 현저하게 떨어져 협조가 잘 되지 않아 10 여번의 시도 끝에 삽입하고 NS 300CC를 irrigation하고 왕겐을 연결하였다. 그리고 혹시 다른 증상이 나타날까봐 주의 관찰하였지만 그 후 특별한 증상은 나타나지 않아 다행이었다.
S-G Catheter 대상자 간호 관찰
선생님께 환자 몸에 연결되어있는 tube 들에 대해 질문을 하던 중 이었다. 선생님께서는 곧 MI 환자가 CABG 후 CO 를 알기 위해 S-G Catheter를 삽입한 후 CCU로 올 것이라고 하셨다. 그 환자를 관찰하면 좋은 공부가 될 것이라고 말씀해 주셔서 대상자가 수술 후 오는 것을 기다렸다가 관찰하였다.
CABG 후 좌심실 기능에 관한 필수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서 풍선이 달린 도관인 S-G Catheter를 삽입한 대상자가 왔다. 좌심실 이완기 말압을 반영하기 위한 PAP와 PCWP가 모니터 되고 있는 것을 관찰했다. 하루정도 모니터 한 후 제거되었는데 아무래도 몸 안으로 연결되어 있는 catheter 이다보니 삽입부위에 매일 드레싱하는 것과 압력 측정마다 calibration 의 시도와 지속적으로 수액을 주입해 line 유지가 중요하겠다.
학생이름 :
실습장소 :
날 짜 :
간호학생의 행위
생각 및 느낌
비판적 성찰
위급 환자 관찰
pul, TB 로 ICU 에 온 지 40여일이 넘어가는 환자로 맥박과 호흡이 나아지지 않고 ABGA상에서도 호전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 선생님께서는 임종이 임박한 것 같으니 보호자분들께 이곳으로 오라는 말씀을 드렸다. 그 후 보호자 분께서 오셨는데 보호자도 마음의 준비를 해서 그런지 생각보다 담담해 보였고 같이 오신 보험회사 직원을 보면서 참 마음이 울적해졌다. 실습을 하면서 위급한 환자를 접해본 적이 없어서인지 내가 어떻게 해야 할지 몰랐고 나까지 마음이 짠해지고 안타까웠다.
SaO2과 맥박이 계속해서 하강하고 EKG리듬이 불규칙해져서 EPINEPHRINE과 ATROPINE을 주입하였다. 그 후 맥박과 호흡이 원활히 되었지만 1시간도 안되어 다시 같은 상황이 반복되었고 다시 약물을 주입하고 제세동 준비를 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어쩌면 곧 다가올 임종환자에 대한 준비와 그의 가족들을 위로하고, 그 상황에서도 냉철한 판단력으로 내가 해야 할 일이 무엇인 줄 알고 미리 준비해두는 정신이 필요할 것 같다. 또한, 내가 지금 생명을 다루는 일을 하고 있다는 것을 다시금 느낄 수 있었다. 그리고 현재 내가 살아있다는 것에 감사하고 환자들의 빠른 회복을 위해서 환자들을 성심성의껏 care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COPD대상자 tracheostomy 관찰
tracheostomy 를 하고 계시는 대상자를 care 하는 과정은 보고 수행도 해보았지만, 직접 삽입하는 과정은 본적이 없어서 흥미로웠다. 피부절개는 가로로 하고 가관절개는 세로로 하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집도하신 ent. 선생님께서는 V자로 절개하셔서 새로운 사실을 알 수 있었다.
COPD 대상자로 intubation 을 2주간 유지하였지만 계속 자발호흡능력이 없었다. 그래서 장기간에 걸쳐 airway 를 유지하여야 할 필요성과 분비물의 축적으로 이한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 tracheostomy 를 시행하였다. 대상자를 sedation 시킨 후 머리를 완전히 젖히고 국소마취를 하였다. 피부를 절개하여 기관을 찾아 절개하고 튜브를 삽입한 후에 고정시켰다. 그 후 우리가 해야 할 일은 호흡소리, 호흡운동, 활력증후, 기관 절개술 고정 테이프가 조이는지, 분비물의 양상과 양을 포함한 호흡기 사정을 하는 것이다. 대상자가 안정될 때까지 매 15분마다 수행하고 개방된 기도를 유지하고 폐분비물을 제거해야한다. 그렇게 습화된 공기와 산소를 제공하고 개구부를 깨긋이 하며 삼키는 능력을 감시한다.
학생이름 :
학생이름 :
실습장소 :
날 짜 :
간호학생의 행위
생각 및 느낌
비판적 성찰
수혈과정 관찰
packed RBC 수혈과정에서 있었던 일이다. 학교에서 배우기로는 먼저 NS를 수액줄에 채운 후 혈액백을 연결하고, chamber를 충분히 채워 혈구의 낙하로 인해 혈액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해야한다고 배웠다. 하지만 실제 수혈하는 과정에서는 바로 혈액 백에 수액줄을 연결하여 수혈하였다.
대상자를 확인하고 혈액원에서 올라온 혈액을 대상자의 혈액형과 일치하는지 확인한 후 수혈을 시행하였다.
수혈 시행 과정에서 교과서에서 배운 것과 실제 임상에서 하는 것이 달랐다. 교과서에서의 이론과 임상이라는 현실의 차이에서 시간적인 소모나 효율성이라는 면이 작용하긴 마련이다. 하지만 수혈이라는 것은 환자에게 큰 부작용과 후유증이 남을 수 있으므로 교과서에서 나온 것처럼 이론에 입적하여 수행하는 편이 혈액의 손실을 줄이고 환자에게 보다 효율적으로 수혈 할 것 같다.
위출혈 대상자 L-tube irrigation 관찰
MI로 입원 후 CABG 수술을 하신 분으로 입원 전에 heparin을 복용하셔서 op site 근처에 멍이 많이 생겨 있었다. 수술 전과 달리 mental이 많이 떨어지셔서 산소흡입이나 C-line을 자주 거부하셔서 주의 관찰 하여야 하는 분이셨다. 그런데 갑자기 토혈을 하셔서 놀랐다. 급한 마음에 선생님을 바로 noti 하고 화장지를 가지고 닦기 시작했다.
수술 후 지남력이 떨어져 격리시켜 놓은 대상자가 갑자기 팥죽색의 vomiting을 하여 관찰해보니 위출혈이 의심되었다. 그래서 L-tube를 삽입하여 출혈유무를 사정하고 세척하기 위해서 irrigation을 하기로 했다. 하지만 대상자의 mental이 현저하게 떨어져 협조가 잘 되지 않아 10 여번의 시도 끝에 삽입하고 NS 300CC를 irrigation하고 왕겐을 연결하였다. 그리고 혹시 다른 증상이 나타날까봐 주의 관찰하였지만 그 후 특별한 증상은 나타나지 않아 다행이었다.
S-G Catheter 대상자 간호 관찰
선생님께 환자 몸에 연결되어있는 tube 들에 대해 질문을 하던 중 이었다. 선생님께서는 곧 MI 환자가 CABG 후 CO 를 알기 위해 S-G Catheter를 삽입한 후 CCU로 올 것이라고 하셨다. 그 환자를 관찰하면 좋은 공부가 될 것이라고 말씀해 주셔서 대상자가 수술 후 오는 것을 기다렸다가 관찰하였다.
CABG 후 좌심실 기능에 관한 필수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서 풍선이 달린 도관인 S-G Catheter를 삽입한 대상자가 왔다. 좌심실 이완기 말압을 반영하기 위한 PAP와 PCWP가 모니터 되고 있는 것을 관찰했다. 하루정도 모니터 한 후 제거되었는데 아무래도 몸 안으로 연결되어 있는 catheter 이다보니 삽입부위에 매일 드레싱하는 것과 압력 측정마다 calibration 의 시도와 지속적으로 수액을 주입해 line 유지가 중요하겠다.
학생이름 :
실습장소 :
날 짜 :
간호학생의 행위
생각 및 느낌
비판적 성찰
위급 환자 관찰
pul, TB 로 ICU 에 온 지 40여일이 넘어가는 환자로 맥박과 호흡이 나아지지 않고 ABGA상에서도 호전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 선생님께서는 임종이 임박한 것 같으니 보호자분들께 이곳으로 오라는 말씀을 드렸다. 그 후 보호자 분께서 오셨는데 보호자도 마음의 준비를 해서 그런지 생각보다 담담해 보였고 같이 오신 보험회사 직원을 보면서 참 마음이 울적해졌다. 실습을 하면서 위급한 환자를 접해본 적이 없어서인지 내가 어떻게 해야 할지 몰랐고 나까지 마음이 짠해지고 안타까웠다.
SaO2과 맥박이 계속해서 하강하고 EKG리듬이 불규칙해져서 EPINEPHRINE과 ATROPINE을 주입하였다. 그 후 맥박과 호흡이 원활히 되었지만 1시간도 안되어 다시 같은 상황이 반복되었고 다시 약물을 주입하고 제세동 준비를 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어쩌면 곧 다가올 임종환자에 대한 준비와 그의 가족들을 위로하고, 그 상황에서도 냉철한 판단력으로 내가 해야 할 일이 무엇인 줄 알고 미리 준비해두는 정신이 필요할 것 같다. 또한, 내가 지금 생명을 다루는 일을 하고 있다는 것을 다시금 느낄 수 있었다. 그리고 현재 내가 살아있다는 것에 감사하고 환자들의 빠른 회복을 위해서 환자들을 성심성의껏 care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COPD대상자 tracheostomy 관찰
tracheostomy 를 하고 계시는 대상자를 care 하는 과정은 보고 수행도 해보았지만, 직접 삽입하는 과정은 본적이 없어서 흥미로웠다. 피부절개는 가로로 하고 가관절개는 세로로 하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집도하신 ent. 선생님께서는 V자로 절개하셔서 새로운 사실을 알 수 있었다.
COPD 대상자로 intubation 을 2주간 유지하였지만 계속 자발호흡능력이 없었다. 그래서 장기간에 걸쳐 airway 를 유지하여야 할 필요성과 분비물의 축적으로 이한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 tracheostomy 를 시행하였다. 대상자를 sedation 시킨 후 머리를 완전히 젖히고 국소마취를 하였다. 피부를 절개하여 기관을 찾아 절개하고 튜브를 삽입한 후에 고정시켰다. 그 후 우리가 해야 할 일은 호흡소리, 호흡운동, 활력증후, 기관 절개술 고정 테이프가 조이는지, 분비물의 양상과 양을 포함한 호흡기 사정을 하는 것이다. 대상자가 안정될 때까지 매 15분마다 수행하고 개방된 기도를 유지하고 폐분비물을 제거해야한다. 그렇게 습화된 공기와 산소를 제공하고 개구부를 깨긋이 하며 삼키는 능력을 감시한다.
학생이름 :
추천자료
NEU 신경과 간호 사례연구
OS Case study, HNP케이스스터디, 성인간호학케이스스터디
spinal stenosis 정형외과 case study
[정형외과실습] femur & Left Knee Fracture (무릎골절)
성인간호학 외과 실습 신생물 간호과정 neoplasm case study
[비뇨기계, 흉부외과 병동] 기흉 case study
신경과 뇌경색 케이스(cerebral infarction case study)
당뇨, 병동 케이스 스터디, A+ , 성인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위암(Stomach cancer) 케이스 스터디, 위암(Stomach cancer) 간호과정, 위암 사례연구, 위암 ...
A+ Cerebral infarction 뇌경색 케이스 스터디(Cerebral infarction, 뇌경색 케이스 스터디, ...
욕창 케이스 스터디 A+ ( 욕창 케이스 스터디, 욕창 간호과정, BED SORE CASE STUDY, 욕창 간...
폐렴 케이스 스터디 ( 폐렴 간호과정, 폐렴 케이스 스터디, 폐렴 간호진단, 폐렴 사례연구, ...
백내장(Cataract) 케이스 스터디 A+ - (백내장 케이스 스터디, 백내장 간호과정, 백내장 간호...
당뇨 케이스 스터디, 당뇨병 케이스 스터디, 당뇨 case study, 당뇨 case, 당뇨 참고문헌, 당...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