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된 새로운 사회입법이 요구되었고, 2003년 건강가정기본법이 제정되었으며, 2005년1월 1일 시행될 것이다. 이에 따라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중앙건강가정정책위원회와 건강가정위원회를 구성하여야 하고, 건강가정기본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중앙 및 각급지방자치단체에 건강가정사업업무를 담당할 전담부서를 조직하여야 하고, 공공기관 및 민간단체에 건강가정지원센터를 설립ㆍ운영하고, 건강가정사를 두어야 한다.또한 건강가정을 지원하기 위한 각종사업을 개발하고, 이를 추진하는 계획을 수립하여야 하며, 각급학교 및 단체에서 활용될 교육자료를 개발하고 보급하여야 한다. 따라서 각 영역에 종사하고 있는 많은 전문가들의 적극적인 동참 및 협조가 필요하며, 무엇보다도 이해와 조화를 위한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어야 할것이다.
추천자료
[퇴계 이황]퇴계 이황의 생애, 퇴계 이황의 가정생활과 건강법, 퇴계 이황의 이념, 퇴계 이황...
2012년 2학기 가정관리학연구법 기말시험 핵심체크
[건강가정론] 서초구 건강가정지원센터 (기관방문보고서) 건강가정지원센터 프로그램을 살펴...
사회복지법제론 중간고사 요약(사회복지법의 개념, 사회법의 등장과 원리, 영국과 독일의 사...
건강증진론4A) 우리나라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의 기본모형을 사업분야(과제), 목표, 비...
2014년 2학기 가정관리학연구법 기말시험 핵심체크
건강가정의 등장배경과 개념을 설명하시고, 건강가정의 의미와 구성요소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주변의 가정문제의 예를 찾아보고 건강가정사로서 어떠한 역할이 기대되는지 설명하시오 - 『...
2015년 2학기 가정관리학연구법 기말시험 핵심체크
건강가정지원센터의 현재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과 보완이 필요한 역할에 대하여 논하시오. (...
2016년 2학기 가정관리학연구법 기말시험 핵심체크
현재 가정의 건강성을 위협하는 사회환경(정책, 법, 경제, 노동, 문화, 교육 등) 어떤 것인지...
2017년 2학기 생활과학과 가정관리학연구법 기말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