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독서감상문_(12)연금술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전 우주를 동일시하는 종교적·철학적 사상체계)이면서도 뉴에이지(인간의 내적 능력을 개발시켜 우주의 차원에 도달하는 것이 구원이라고 말하는 운동)적인 모습을 단면적으로 보여주는 말로 볼 수 있겠다. 또한 소설의 시작 전에 언급된 오스카와일드의 나르키소스 신화 또한 단편적인 예이다.
소설에서 성경의 많은 부분이 인용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을 성경과 연결된 소설로 보려는 노력도 있을 수 있겠으나, 작가가 단순히 인용했을 뿐 성경과 맥을 같이 한다고는 볼 수 없다. 성경에서는 유일신인 하나님이 존재하고, 인간은 신과 같이 될 수 없음을 명확히 하고 있지만, 이 소설에서는 나 스스로가 내 삶의 창조하는 주체, 즉 신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기 때문이며, 성구가 의미하는 바를 작가의 의도대로 차용했을 뿐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이 소설에서는 ‘표지’가 이야기를 이끄는 역할을 하는데, 이 또한 이 소설이 뉴에이지 사상에 기반을 둔 요소임을 알 수 있다. 표지라는 것이 가야할 길에 대한, 또는 일어날 일에 대한 암시라고 보았을 때, 그것을 마음의 눈으로 읽고 읽어나가며 자신의 운명을 개척해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해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소설의 커다란 골자가 되는, ‘자아의 신화를 위한 영혼의 연금술’은 나 스스로가 만물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이 소설의 범신론적 모습을 명료하게 보여주는 주제라고 미루어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 스스로 꿈을 이루었다고 생각했다는 것이며 모든 사람이 그와 같은 생각 속에서 꿈을 꿀 때 그것은 정말로 현실로 다가올 거라는 것이다.

키워드

  • 가격2,9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03.07
  • 저작시기20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40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