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내는 걸까?
A : 실험 중에 소리굽쇠를 때리다가 살짝 빗맞힌 경우도 있는데도 파장이 거의 일정하게 나온 걸 보면 별 영향 없이 소리굽쇠 각각의 고유 진동수의 음파를 내는 것 같아.
6. 결론
조원들의 오차 논의를 종합해 본 결과 mm단위의 오차는 가 m단위로 계산되기 때문에 큰 영향을 줄 수 없었던 점, 소리굽쇠의 진동수의 일정함 등에 비추어 볼 때 0.4%대의 낮은 오차율이 나오는 것에 큰 문제가 없다고 여겨진다. 각각의 실험에서 음파의 파장이나 음파의 속도가 상당히 균일하게 나오는 것을 보고 조원들은 이 실험 결과가 신뢰할 만하다고 생각하였다.
650Hz 소리굽쇠를 이용한 실험에서의 오차율 0.411%, 800Hz 소리굽쇠를 이용한 실험에서의 오차율 0.488%를 놓고 보았을 때, 이번 실험에서의 실험값과 공식에 의한 이론값이 매우 근접하였으며, 이를 통해 이미 알려져 있는 음속 산출 공식이 정확하다고 결론지었다.
또한, 실험 전 가정하기를, 음속은 이미 알려진 바에 의하면 온도에 비례하여서만 증가 또는 감소하기 때문에 소리굽쇠의 진동수와 음파의 속도는 상관관계가 없을 것이라고 하였다. 실제로, 650Hz 진동수를 가진 소리굽쇠로 실험하였을 때와 800Hz짜리로 실험하였을 때의 음파의 속도를 비교해 보면 |348.573m/s - 348.693m/s| = 0.12m/s로, 약간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두 소리굽쇠의 진동수 차이가 무려 150Hz나 차이가 난다는 것을 감안할 때, 어쩔 수 없는 오차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소리굽쇠의 진동수는 음파의 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A : 실험 중에 소리굽쇠를 때리다가 살짝 빗맞힌 경우도 있는데도 파장이 거의 일정하게 나온 걸 보면 별 영향 없이 소리굽쇠 각각의 고유 진동수의 음파를 내는 것 같아.
6. 결론
조원들의 오차 논의를 종합해 본 결과 mm단위의 오차는 가 m단위로 계산되기 때문에 큰 영향을 줄 수 없었던 점, 소리굽쇠의 진동수의 일정함 등에 비추어 볼 때 0.4%대의 낮은 오차율이 나오는 것에 큰 문제가 없다고 여겨진다. 각각의 실험에서 음파의 파장이나 음파의 속도가 상당히 균일하게 나오는 것을 보고 조원들은 이 실험 결과가 신뢰할 만하다고 생각하였다.
650Hz 소리굽쇠를 이용한 실험에서의 오차율 0.411%, 800Hz 소리굽쇠를 이용한 실험에서의 오차율 0.488%를 놓고 보았을 때, 이번 실험에서의 실험값과 공식에 의한 이론값이 매우 근접하였으며, 이를 통해 이미 알려져 있는 음속 산출 공식이 정확하다고 결론지었다.
또한, 실험 전 가정하기를, 음속은 이미 알려진 바에 의하면 온도에 비례하여서만 증가 또는 감소하기 때문에 소리굽쇠의 진동수와 음파의 속도는 상관관계가 없을 것이라고 하였다. 실제로, 650Hz 진동수를 가진 소리굽쇠로 실험하였을 때와 800Hz짜리로 실험하였을 때의 음파의 속도를 비교해 보면 |348.573m/s - 348.693m/s| = 0.12m/s로, 약간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두 소리굽쇠의 진동수 차이가 무려 150Hz나 차이가 난다는 것을 감안할 때, 어쩔 수 없는 오차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소리굽쇠의 진동수는 음파의 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