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인도의 협력과 미국의 동북아 정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중국과 미국 관계 변화와 인도 협력의 당위성
2. 인도의 군사, 경제적 상황
3. 중국과 인도의 경제협력 배경
4. 인도와 중국을 중심으로 한 외교정책 변화
5. 인도와 미국과의 관계 변화
6. 향후 전망되는 인도의 외교정책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화선으로 남아있는 미해결된 국경문제가 남아있고 인도의 앙숙인 파키스탄을 둘러싼 역학적인 관계가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미국의 입장에서 인도가 중국의 견제 세력이 될 만큼 성장하지 못한다면 미국의 대(對)인도 정책에는 많은 변화가 생길 것이고 이에 대해 인도는 큰 타격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점이다.
그렇기 때문에 인도는 지금까지 유지해온 중립외교를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이러한 중-미 구도를 자국에 최대한 지속적으로 이용할 것이다. 그리고 외교정책에 있어서 중(中)-인(印)-미(美이)라는 단순한 구도를 벗어나 다양한 각도의 협력 체계로 확대 가능성이 많다고 볼 수 있다. 이것은 단순화된 협력체제보다는 다양화된 협력체제 구축이 협력관계 파기에 있어서 외교적 위험성에서 봤을 때 훨씬 유리할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일 것이다. 여기에 해당되는 국가로는 아시아에서 일본을 포함한 신흥 경제 성장국으로 국제적으로 어느 정도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우리나라도 포함될 것으로 전망된다.
Ⅲ. 결론
지금까지 알아본 봐와 같이 인도의 외교 정책은 자국의 이익을 바탕으로 숨가쁘게 진행되어 왔는데, 그 바탕에는 강대국들과의 복잡한 이해관계가 거미줄처럼 얽혀져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므로 급성장과 함께 미래의 강대국으로 성장이 예상되는 인도에 대해서 우리는 어떤 흐름을 타느냐가 미래의 우리의 국익에 큰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본다. 그러기 위해서는 지금의 인도와 우리나라와의 소규모의 협력을 벗어나야 할 것은 자명한 일이고 인도가 앞으로 진행해 나갈 외교정책에 대해서 면밀히 검토하고 그기에 맞게 우리나라는 대(對)인도 외교에 관해서 탄력적인 노선변화를 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사전에 상호국간 이해관계를 타진하여 그기에 맞춰서 교역확대 및 각종 분야에서 교류 증대 등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 감으로써 신뢰를 쌓아가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고경희(2003) 인도의 외교정책과 국제관계, 인간사랑
이은구(2002) 인도-중국과 상호협력 합의,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발행 국제지역정보 제6권 2호(통권 103호)
부시 "인도와 협력강화 희망" 뉴델리=연합뉴스, 2005.5.17
미국의 새 전략동반자 인도 : 세계닷컴 2005(해외논단), 저자 브루스 페인
중국도 미국도 “우리랑 손잡자” 몸값 치솟는 인도: 한겨레신문, 2005 김도형 기자
중국-인도 ‘전략적 동반자’첫발 : 인터넷 한겨레, 2005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3.11
  • 저작시기201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52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