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줄여야 할때 운전자는 브레이크를 밟아 차의속도를 서서히 줄인다. 그리고 이 때 많은 양의 마찰력이 발생하는데 일반 자동차에서는 그 마찰력을 단지 속도를 줄이고 멈추는데만 사용한다. 하지만 하이브리트 카에서는 자동차의 속도를 줄일때 까지 생기는 마찰력을 전기 에너지로 바꿔주고 그 전기 에너지를 이용해 전기 엔진을 돌려 자동차를 움직이는 운동에너지를 생산한다 . 그리고 지속적으로 베터리에 충전도한다. 이렇게 그냥 버려지는 에너지를 사용해 자동차를 운행하고 베터리 충전까지 하는데 이것은 일반엔진 옆에 달려있는 전기엔진을 발전기와같은 역할로 사용할수 있기 때문이다. 감속시 생기는 마찰력으로 브레이크 작용과함께 전기에너지를 생산, 충전한다. 이것을 바로 재생 브레이크라고 하는데 이 모든 것은 ECU에서 제어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한국자동차 산업의 발전 방향
도요타시스템
[마케팅 사례] 전략적 사업으로써의 그린마케팅 - 도요타
초고층건물의 대표적인 구조시스템
핀란드의 협동조합 기업지배구조의 이슈 및 사례분석
필코전자 2008년 4분기 기업분석 및 전망 (2009년 3분기 까지 )
BMW GROUP 보고서
일본 및 미국기업의 경영방식 고찰 -‘한국식 경영’을 향한 과제
신형식엔진 및 자동차
지열 발표(냉동시스템설비) - 지열을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
[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의 조직 - 사회복지조직의 유형, 민영화와 상업화 및 종교단체, 사...
애플 iPod의 한국 진출 실패사례와 일본 진출 성공사례
프로그래밍 언어 4장 레포트 답
[생활속의 자동차] 친환경 자동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