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서론
2장 연구방법
제 1부 생물학적 접근
3장 행동의 생물학적 기초
4장 스트레스
5장 정서
6장 공격성
제 2부 행동주의 접근
7장 조건 형성과 학습
제 3부 발달적 접근
8장 인지발달
9장 언어발달
10장 도덕성 발달
11장 성과 성차
제 4부 사회적 접근
12장 애착과 박탈
13장 편견과 차별대우
14장 친사회적 행동
15장 사회영향
16장 사회지각
제 5부 개인차
17장 지능
18장 성격
19장 자아개념
제 6부 인지적 조건
20장 시지각
21장 기억
22장 문제해결과 창의성
제 7부 효과적 학습
23장 효과적 학습
2장 연구방법
제 1부 생물학적 접근
3장 행동의 생물학적 기초
4장 스트레스
5장 정서
6장 공격성
제 2부 행동주의 접근
7장 조건 형성과 학습
제 3부 발달적 접근
8장 인지발달
9장 언어발달
10장 도덕성 발달
11장 성과 성차
제 4부 사회적 접근
12장 애착과 박탈
13장 편견과 차별대우
14장 친사회적 행동
15장 사회영향
16장 사회지각
제 5부 개인차
17장 지능
18장 성격
19장 자아개념
제 6부 인지적 조건
20장 시지각
21장 기억
22장 문제해결과 창의성
제 7부 효과적 학습
23장 효과적 학습
본문내용
다. 이와 대조적으로 “접촉”을 사용하여 질문하였던 피험자들은 14%만이 깨진 유리창을 보았다고 답하였다. 일주일 전에 속도에 관한 어떤 질문도 받지 않았던 통제집단은 12%가 깨진 유리창을 보았다고 말하였다. EK라서 사건들에 대한 우리의 기억은 쉽게 망가지고 왜곡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유도질문
대부분의 국가들은 법률가들에게 원하는 답변을 내포하고 있는 유도질문을 허락하지 않고 있다(예, 당신이 부인을 구타하는 것을 멈춘 시간은 언제입니다?). 그럴 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다. 자동차 사고에 대한 짧은 영화를 피험자들에게 보여주었다. 그들 중 몇 명에게는, 예를 들어 깨진 헤드라이트가 있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는 “Did you see a broken headlight?”과 같은 유도 질문이 주어졌다. 다른 피험자들에게는 “Did you see a broken headlight?"과 같은 중립적인 질문이 주어졌다. 실제로는 깨진 헤드라이트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유도질문을 받았던 피험자들 중 17%가 깨진 헤드라이트를 보았다고 말했던 반면에 중립적인 질문을 받았던 피험자들 중에서는 단지 7%만이 깨진 헤드라이트를 보았다고 대답하였다.
확신
대부분의 사람들은 목격자가 보여주는 확신이 그 사람 기억의 정확성이나 또는 그 어떤 것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실제로 이런 생각은 맞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괴당한 소녀에 대한 영화 속의 정보를 기억하는지를 검사하였다. 피험자가 자신의 기억의 정확성에 대하여 가지는 확신은 실제 정확성과는 관련이 없었다. 무슨 일이 발생하는 것인가? 대부분의 사람들은 목격한 사건을 기억하는 자신의 능력이 다른 사람들보다 더 좋은지 또는 더 나쁜지에 대하여 전혀 알지 못한다. 그 때문에 목격자의 확신은 견고한 토대에 기초하고 있지 않다.
무기초점
목격자 증언은 무기초점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무기는 충분히 피해자의 주의를 잡아끈다. 그 때문에 가해자에 대한 세부사항들을 기억하는 능력이나 나중에 가해자를 재인하는 능력이 감소하게 된다”. 어떤 피험자들에게는 은행직원을 향하여 총을 겨누고 있는 사람을 보라고 하였고, 다른 피험자들에게는 은행직원에게 수표를 건네고 있는 동일한 사람을 보라고 하였다. 피험자들은 수표보다는 총을 더 많이 보았고, 총과 수표 이외의 다른 세부사항에 대한 기억은 무기 조건에서 더 나빴다.
문제 해결과 창의성
인생은 해결해야 하는 많은 문제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런 문제들은 형태와 크기에서 아주 다양하다. 어떤 문제들은 아주 사소하고 일시적인 반면에(예, “오늘 저녁 어떤 영화를 볼까?”), 어떤 문제들은 중요하고 또 그 효과도 장기적이다(예, “심리학 시험에 패스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문제해결, 시도들의, 만일 공통점이 있다면, 공통점은 무엇인가?
Mayer(1990, p. 284)에 의하면, 문제해결은 “문제해결자에게 분명한 해결방안이 주어져 있지 않을 때 주어진 상황을 목표상황으로 변환시키려는 인지과정”이다. 이 정의는 문제해결에는 세 가지 중요한 측면이 존재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목표지향적이라는 점에서 의도적이다.
자동적 정보처리보다는 인지과정의 사용을 요구한다.
어떤 사람에게 즉각적인 해결을 가능하게 하는 관련 지식이 없을 때 문제는 존재한다.
효과적 학습
【Fleur의 생각】
해야 할 공부가 매우 많을 때, 항상 내가 하였던 행동은 마지막 순간까지 미룬 다음 마지막 밤을 지옥처럼 보내면서 공부를 하는 것이었다. 물론 좀 더 효과적인 공부방법이 있다. 기술 그 자체는 목표에 이르는 유일한 수단이 아니라는 것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 공부기술이 높은 동기 수준과 연합되어 있지 않는 한, 성공에 대한 보장은 없다. 그러나 공부 기술은 학생들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도록 해주는 훌륭한 공부 습관을 위한 지침서가 된다.
【공부행동 소개】
좋은 공부행동(good study behavior)은 다음과 같은 다섯 개의 핵심 가정들을 포함하고 있는 방략들에 기초하고 있다.
좋은 공부행동은 학습된 기술이다. 다른 기술수행들과 마찬가지로 공부기술은 학습되고 향상될 수 있다.
학생들은 정말 공부를 잘 하기 원한다. 즉 학습 동기가 높다.
공부행동은 네 개의 주요 단계들로 나뉠 수 있고 각 단계마다 향상이 가능하다.
체제화(organization)는 좋은 공부수행의 핵심이다.
좋은 공부수행은 정보에 수동적인 노출보다는 정보의 적극적인 이용을 포함한다.
【좋은 공부수행】
1. 좋은 공부행동은 다른 영역의 숙련된 수행처럼 언제든지 향상될 수 있다.
2. 좋은 공부습관을 발달시키려면 교사가 관여해야 한다.
3. 뛰어난 수행이 자신의 능력 밖이고 유능한 학생들에게만 가능하다고 생각하여
어떤 수준에서 공부를 포기하는 경우가 있다.
4. 좋은 공부수행의 주요 요인은 잘 하고자 하는 진정한 동기(입에 발린 말이
아니라)와 시간과 노력의 투자를 포함한다.
5. 네 단계의 공부수행에서 보았듯이, 정말로 중요한 것은 양보다는 공부의
질이라는 사실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좋은 공부수행이 반드시 공부를 더
많이 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좋은 공부수행: 단계 1과 2
단계 1과 2에서는 당신의 공부수행을 두 가지 주요 방식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첫째 : 시간을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둘째 : 입력 정보가 최상의 방식으로 체제화 되면 필요할 때 언제나 접근할 수 있다.
좋은 공부수행: 3단계
일반적으로 입력 정보는 평가, 시험 또는 에세이와 같은 특별한 용도를 위해 사용될 필요가 있다. 일상생활에서 우리는 필요 이상의 정보에 노출되어 있다. 그 때문에 우리는 어떤 정보는 선택하고 많은 정보들을 망각한다.
좋은 공부수행: 4단계
과제 나누기(프로젝트 준비 또는 논술문 작성에 포함된 단계들을 작은 단위들로 나누기부터 시작하라)
패턴노트와 논술작성(프로젝트 계획과 논술문 작성에서 체제화는 제목과 관련된 요인들이 당신이 설명하려고 하는 주요 주제를 나타내고 있는 패턴노트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논술의 서론에 제목에서 의미하고자 하는 부분을 포함해야 한다는 것을 기억하라
평가
유도질문
대부분의 국가들은 법률가들에게 원하는 답변을 내포하고 있는 유도질문을 허락하지 않고 있다(예, 당신이 부인을 구타하는 것을 멈춘 시간은 언제입니다?). 그럴 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다. 자동차 사고에 대한 짧은 영화를 피험자들에게 보여주었다. 그들 중 몇 명에게는, 예를 들어 깨진 헤드라이트가 있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는 “Did you see a broken headlight?”과 같은 유도 질문이 주어졌다. 다른 피험자들에게는 “Did you see a broken headlight?"과 같은 중립적인 질문이 주어졌다. 실제로는 깨진 헤드라이트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유도질문을 받았던 피험자들 중 17%가 깨진 헤드라이트를 보았다고 말했던 반면에 중립적인 질문을 받았던 피험자들 중에서는 단지 7%만이 깨진 헤드라이트를 보았다고 대답하였다.
확신
대부분의 사람들은 목격자가 보여주는 확신이 그 사람 기억의 정확성이나 또는 그 어떤 것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실제로 이런 생각은 맞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괴당한 소녀에 대한 영화 속의 정보를 기억하는지를 검사하였다. 피험자가 자신의 기억의 정확성에 대하여 가지는 확신은 실제 정확성과는 관련이 없었다. 무슨 일이 발생하는 것인가? 대부분의 사람들은 목격한 사건을 기억하는 자신의 능력이 다른 사람들보다 더 좋은지 또는 더 나쁜지에 대하여 전혀 알지 못한다. 그 때문에 목격자의 확신은 견고한 토대에 기초하고 있지 않다.
무기초점
목격자 증언은 무기초점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무기는 충분히 피해자의 주의를 잡아끈다. 그 때문에 가해자에 대한 세부사항들을 기억하는 능력이나 나중에 가해자를 재인하는 능력이 감소하게 된다”. 어떤 피험자들에게는 은행직원을 향하여 총을 겨누고 있는 사람을 보라고 하였고, 다른 피험자들에게는 은행직원에게 수표를 건네고 있는 동일한 사람을 보라고 하였다. 피험자들은 수표보다는 총을 더 많이 보았고, 총과 수표 이외의 다른 세부사항에 대한 기억은 무기 조건에서 더 나빴다.
문제 해결과 창의성
인생은 해결해야 하는 많은 문제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런 문제들은 형태와 크기에서 아주 다양하다. 어떤 문제들은 아주 사소하고 일시적인 반면에(예, “오늘 저녁 어떤 영화를 볼까?”), 어떤 문제들은 중요하고 또 그 효과도 장기적이다(예, “심리학 시험에 패스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문제해결, 시도들의, 만일 공통점이 있다면, 공통점은 무엇인가?
Mayer(1990, p. 284)에 의하면, 문제해결은 “문제해결자에게 분명한 해결방안이 주어져 있지 않을 때 주어진 상황을 목표상황으로 변환시키려는 인지과정”이다. 이 정의는 문제해결에는 세 가지 중요한 측면이 존재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목표지향적이라는 점에서 의도적이다.
자동적 정보처리보다는 인지과정의 사용을 요구한다.
어떤 사람에게 즉각적인 해결을 가능하게 하는 관련 지식이 없을 때 문제는 존재한다.
효과적 학습
【Fleur의 생각】
해야 할 공부가 매우 많을 때, 항상 내가 하였던 행동은 마지막 순간까지 미룬 다음 마지막 밤을 지옥처럼 보내면서 공부를 하는 것이었다. 물론 좀 더 효과적인 공부방법이 있다. 기술 그 자체는 목표에 이르는 유일한 수단이 아니라는 것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 공부기술이 높은 동기 수준과 연합되어 있지 않는 한, 성공에 대한 보장은 없다. 그러나 공부 기술은 학생들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도록 해주는 훌륭한 공부 습관을 위한 지침서가 된다.
【공부행동 소개】
좋은 공부행동(good study behavior)은 다음과 같은 다섯 개의 핵심 가정들을 포함하고 있는 방략들에 기초하고 있다.
좋은 공부행동은 학습된 기술이다. 다른 기술수행들과 마찬가지로 공부기술은 학습되고 향상될 수 있다.
학생들은 정말 공부를 잘 하기 원한다. 즉 학습 동기가 높다.
공부행동은 네 개의 주요 단계들로 나뉠 수 있고 각 단계마다 향상이 가능하다.
체제화(organization)는 좋은 공부수행의 핵심이다.
좋은 공부수행은 정보에 수동적인 노출보다는 정보의 적극적인 이용을 포함한다.
【좋은 공부수행】
1. 좋은 공부행동은 다른 영역의 숙련된 수행처럼 언제든지 향상될 수 있다.
2. 좋은 공부습관을 발달시키려면 교사가 관여해야 한다.
3. 뛰어난 수행이 자신의 능력 밖이고 유능한 학생들에게만 가능하다고 생각하여
어떤 수준에서 공부를 포기하는 경우가 있다.
4. 좋은 공부수행의 주요 요인은 잘 하고자 하는 진정한 동기(입에 발린 말이
아니라)와 시간과 노력의 투자를 포함한다.
5. 네 단계의 공부수행에서 보았듯이, 정말로 중요한 것은 양보다는 공부의
질이라는 사실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좋은 공부수행이 반드시 공부를 더
많이 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좋은 공부수행: 단계 1과 2
단계 1과 2에서는 당신의 공부수행을 두 가지 주요 방식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첫째 : 시간을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둘째 : 입력 정보가 최상의 방식으로 체제화 되면 필요할 때 언제나 접근할 수 있다.
좋은 공부수행: 3단계
일반적으로 입력 정보는 평가, 시험 또는 에세이와 같은 특별한 용도를 위해 사용될 필요가 있다. 일상생활에서 우리는 필요 이상의 정보에 노출되어 있다. 그 때문에 우리는 어떤 정보는 선택하고 많은 정보들을 망각한다.
좋은 공부수행: 4단계
과제 나누기(프로젝트 준비 또는 논술문 작성에 포함된 단계들을 작은 단위들로 나누기부터 시작하라)
패턴노트와 논술작성(프로젝트 계획과 논술문 작성에서 체제화는 제목과 관련된 요인들이 당신이 설명하려고 하는 주요 주제를 나타내고 있는 패턴노트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논술의 서론에 제목에서 의미하고자 하는 부분을 포함해야 한다는 것을 기억하라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