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회계원리) 원가행동에 따른 원가유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관리회계원리) 원가행동에 따른 원가유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원가의 개념과 의의
  1. 원가의 개념
  2. 원가의 특성
  3. 원가행동의 개념과 의의

Ⅱ. 원가행동에 따른 원가유형
  1. (순수)변동원가
  2. (순수)고정원가
  3. 준변동원가
  4. 준고정원가

Ⅲ. 참고 문헌

본문내용

절대적으로 감소될 수 없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재량고정이라는 개념은 이들 원가가 조업도의 변동에 따라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다.
그러나 이러한 원가의 분류는 고정적인 것이 아니라 자의적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회사의 경영자가 올해의 광고선전비를 10억원으로 설정하였다면 광고선전비는 조업도와 관계없이 일정하므로 재량고정원가로 분류되지만 매출액의 1%로 설정하였다면 조업도에 따라 변동하므로 재량변동원가가 된다. 지금가지의 설명을 요약하면 조업도가 증가함에 따라 총변동원가는 비례적으로 증가하고 단위당 변동원가는 일정하다. 반면에 조업도가 증가함에 따라 총고정원가는 관련범위 내에서 일정하지만 단위당 고정원가는 작아진다. 아래의 표는 변동원가와 고정원가의 총원가와 단위당 원가가 조업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구분
총원가
단위당 원가
변동원가
조업도에 비례해서 증감
조업도와 관계없이 일정
고정원가
관련범위내에서 조업도와 관계없이 일정
조업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
제품에의 추적가능성에 따라 직접원가와 간접원가로 나누고 원가행동에 따라 변동원가와 고정원가로 나누어 보면 원가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본문에서와 같이 원가는 분류하는 기준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나 직접재료원가, 직접노무원가, 변동제조간접원가, 고정제조간접원가로 나누는 것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예제 사례
서울(주)는 장난감을 만드는 회사이다. 장난감을 만들기 위해서는 장난감 한단우당 재료원가와 노문원가를 합하여 100의 변동원가가 소요되며 1년 동안 총800의 고정원가가 발생한다. 이 회사의 원가는 재료원가와 노무원가, 고정원가 외에는 없다.
물음
서울(주)가 올해에 10개의 장난감과 20개의 장난감을 만드는 경우 총변동원가, 단위당 변동원가, 총고정원가 및 단위당 고정원가를 각각 구한다면 어떻게 될 인가? 단 10개와 20개를 생산하는 경우 모두 서울(주)의 관련범위 내에 속한다.
사례풀이
원가의 분류
10개 생산
20개 생산
해 석
총변동원가
100 x 10개
=1,000
100 x 20개
=2,000
총변동원가는 조업도에 비례적으로 증가한다.
단위당
변동원가
100
100
단위당 변동원가는 조업도와 관계없이 일정하다.
총고정원가
800
800
총고정원가는 관련범위 내에서 조업도와 관계없이 일정하다.
단위당
고정원가
800/10개
=80
800/20개
=40
단위당 고정원가는 조업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3. 준변동원가
준변동원가(semi variable costs)는 조업도가 0인 경우에도 일정한 원가가 발생하고 조업도가 증가함에 따라 총원가가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원가로서 혼합원가(mixed costs)라고도 한다. 조업도가 0인 경우에도 일정한 원가가 발생한다는 점에서는 고정원가의 성격을 가지고 조업도가 증가함에 따라 총원가가 비례적으로 증가한다는 점에서는 변동원가의 성격을 가지므로 준변동원가는 변동원가의 성격과 고정원가의 성격을 같이 갖고 있다. 이러한 준변동원가를 그림으로 표시하면 아래와 같다.
그림에서 원가함수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준변동원가는 원가함수식에서 a≠0이고 b≠0인 원가를 말한다. 준변동원가의 예로는 전화요금이나 수도요금, 전기요금처럼 기본요금이 있고 사용량에 따라 요금이 증가하는 원가를 들 수 있다.
4. 준고정원가
준고정원가(semi fixed costs)는 단계원가(step costs)라고도 하며 일정한 관련범위 내에서는 조업도가 변동함에도 불구하고 총원가가 일정하지만 관련범위를 벗어나면 총원가의 크기가 변동하며 새로운 관련범위 내에서 총원가가 일정한 원가를 말한다. 이러한 준고정원가를 그림으로 표시하면 아래와 같다.
TC= a1, 0 ≤ x < x1
a2, x1 ≤ x < x2
a3, x2 ≤ x < x3
단 a1 < a2 < a3
위의 그림은 조업도가 0부터 x1까지는 a1만큼의 원가가 발생하지만 조업도가 x1부터 x2까지는 a2만큼의 원가가 발생하며 x2부터 x3까지는 a3만큼의 원가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전형적인 준고정원가의 한 예를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총원가의 변동모양이 단계적으로 증가하는 모양을 가지므로 단계원가라고도 한다.
이러한 준고정원가의 예로는 공장의 감독자급여 등이 있다. 예를 들어 그림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생산량이 0부터 X1이 될 때까지는 한 명의 감독자만 있으면 되므로 한 명을 고용하고 a1만큼의 급여를 지급했으나 생산량이 x1을 초과하게 되면 한 명의 감독자만으로는 생산작업에 대한 감독이 불가능하게 되어 한명의 감독자를 추가로 고용하게 되고 따라서 감독자 급여 총액은 a2로 상승하게 된다. 같은 이유로 인해 생산량이 x2를 초과하면 또 한명의 감독자를 고용하게 되어 감독자의 급여총액은 a3으로 상승한다. 이와 같이 조업도에 따라 총원가가 비례적으로 증가하지만 단계적으로 변동하는 원가를 준고정원가라고 한다. 지금까지 원가행동별로 설명한 네 가지의 원가를 비교설명하면 아래의 표와 같다.
구분
(순수)변동원가
(순수)고정원가
준변동원가
준고정원가
기본개념
조업도가 변동함에 따라 총원가가 비례적으로 변동하는 원가
조업도가 변동함에도 불구하고 총원가가 관련범위 내에서 일정한 원가
조업도가 0인 경우에도 일정한 원가가 발생하고 조업도가 증가함에 따라 총원가도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원가
일정한 관련범위 내에서는 조업도가 변동함에도 불구하고 총원가가 일정하지만 그 관련범위를 벗어나면 총원가가 변동하며 새로운 관련범위 내에서는 총원가가 일정한 원가
원가함수
TC = a+bx
TC: 총원가
a: 고정원가
변동원가
x: 조업도
TC=bx
TC=a
TC=a+bx
TC=ai
i=1,2,3
a1, 0 ≤ x < x1
a2, x1 ≤ x < x2
a3, x2 ≤ x < x3
단 a1 < a2 < a3
Ⅲ. 참고 문헌
1. 이창우 외 공저(2006), 원가관리회계, 박영사
2. 최덕규 저(2008), 원가회계, 경문사
3. 김대근 외 공저(2010), 원가관리회계, 진샘미디어
4. 김학범 저(2004), 현대원가회계, 대명
5. 삼일회계법인 저(2010), 원가관리회계, 삼일인포마인
  • 가격2,8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1.03.21
  • 저작시기201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80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