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린쿼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스크린쿼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두 해 두어야 할 것이다. 영화계에서도 무작정 스크린 쿼터를 유지하라는 것은 아닐 것이다. 더 좋은 작품을 개발하고 만들기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정부와 논의 하에 천천히 적정선을 찾을 생각이었다. 그러나 정부는 이런 논의 과정을 무시하고 스크린쿼터를 73일로 축소하는 대신에 예산지원을 통하여 한국영화 발전을 꾀하겠다고 말한바있다. 하지만 스크린 쿼터 축소로 인해 문화패권을 움켜 쥔 할리우드 영화의 유통과 배급, 독점을 견제할 장치가 풀린 상태에서 엄청난 예산으로 수십 편의 영화가 만들어져 우리나라에 들어오게 될 것이며, 그렇게 된다면 과연 우리나라는 극장을 확보하여 한국영화를 상영할 수 있겠는가 하는 의문점이 생긴다. 결국 경쟁력 있는 영화가 만들어진다 하더라도 극장에서 상영될 수 없게 되어 관객들과 만날 수 있는 기회가 현저하게 낮아질 것이다.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93년 멕시코의 사례와 70년도 브라질의 사례, 그리고 대만, 뉴질랜드 등 수많은 나라의 역사적 경험을 통해 확인되었듯이 헐리우드 영화의 독과점 견제 장치를 풀어버린 한국 영화는 지금의 상승세를 유지하지 못하고 점유율이 낮아질 것은 불 보듯 뻔한 일이다. 스크린쿼터를 축소해도 우리나라 영화산업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면 어째서 미국은 저렇게 무리한 억지주장을 펴가면서까지 이토록 집요하게 지난 9년 동안 스크린쿼터 축소를 요구하고 있는지를 정부 관계자들이 다시 한번 생각해 주길 바랄 뿐이다.
지금은 스크린 쿼터에 대한 뚜렷한 해결책이 눈앞에 나타나있지 않으며, 지금의 우리는 한국 영화의 지속가능한 경쟁력을 위하여 지혜를 모아야 할 때인 것 같다. 하지만 급진적인 변화는 심한 부작용을 낳게 되는 것이 당연한 이치이다. 때문에 우리는 점진적인 변화를 꾀해야 할 것이다. 정부에서 스크린쿼터를 폐지하겠다는 극단적인 조치를 취한 것이 아니고 영화산업의 발전과 자국의 이익을 고려절충하여 스크린 쿼터 축소를 선택한 것이라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영화인들 및 우리나라 국민들의 이해와 누구의 도움도 아닌 자력으로 문화 경쟁력 상승을 꾀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되었으면 좋겠다. 또한 우리나라 영화가 스크린 쿼터 연연하지 않고 그 어떤 특혜도 없이 헐리우드 영화와도 당당히 겨룰 수 있는 정도의 위치에 오르는 날이 하루빨리 왔으면 하는 바람이다.
영상산업론 레포트
제목:
과목명
교수명
교수님
학 과
연극과
학 번
200520804
이 름
전 정연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3.23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92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