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
2. 본론 1
(1) 유아자극(Infant Stimulation)영역 1
(2) 신변처리(Self-help) 영역 1
(3) 운동(Motor) 영역 2
(4) 사회성(Socialization) 영역 2
(5) 인지(Cognition) 영역 3
(6) 언어(Language) 영역 3
(7) 검사 실시 및 체크하는 방법 4
3. 결론 5
* 참고자료 5
2. 본론 1
(1) 유아자극(Infant Stimulation)영역 1
(2) 신변처리(Self-help) 영역 1
(3) 운동(Motor) 영역 2
(4) 사회성(Socialization) 영역 2
(5) 인지(Cognition) 영역 3
(6) 언어(Language) 영역 3
(7) 검사 실시 및 체크하는 방법 4
3. 결론 5
* 참고자료 5
본문내용
항목의 행동을 아동에게 시켰을 때 아동이 그 행동을 요구할 때마다 3`4회 정확하게 수행한다면 아동은 그 과제를 습득한 것으로 보고 그 행동에 (+)표로 표시하고 다른 항목으로 넘어간다. 그러나 아동이 자발적으로 행동을 수행하지는 못하지만 시각적, 신체적 혹은 언어적 도움을 조금 주면 그 행동을 수행할 경우에는 (△)표를 한다. 그리고 아동이 전혀 수행하지 못하는 행동은 (-)표로 표시를 한다.
⑤ 아동이 더 이상 수행하지 못하는 항목까지 행동평가를 계속해야 되는데, 아동이 10개 항목 이상을 계속 수행 할 수 없다면 그 영역에서의 평가를 더 이상 하지 않는다.
⑥ 모든 영역의 평가가 완성되면 아동의 수행수준을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게 그래프에 옮겨 적는다.
⑦ 5개의 영역의 평가 외에 아동의 문제행동이나 인상(impression), 반응양식, 우세한 감각양상(sensory modality). 혹은 좌우선호 등 특기할 만한 정보들을 기록해 놓는다.
3. 결론
이 관찰표는 표준화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규준을 통해 해석할 수 있는 틀은 없으며 다만 각 영역별로 발달적 접근을 하기 때문에 문항순서 자체가 기준이 되고 있고, 이것에 따라 아동의 성취수준이 어느 정도인지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아동에 대한 해석은 검사자의 전문지식과 경험을 더욱 필요로 한다고 볼 수 있다. 아동들의 수준을 그래프로 나타내면 개인차가 있어 똑같은 것은 하나도 없다. 그러나 아동들의 장애 유형에 따라 대략적으로 그래프의 유형이 독특한 특징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포테이지는 어떤 영역이 자기 연령보다 얼만큼 지체되어 있는지를 알 수 있으며, 어떤 영역에 강조점을 두어 교육을 시킬 것인지를 그래프를 통해서 알 수 있다. 직접 관찰은 첫째, 검사도구로 측정하기 어려운 기술들을 직접 관찰함으로서 진단할 수 있다. 둘째, 다른 측정 방법에 의해 수집된 정보의 타당도를 높일 수 있다. 셋째, 진단 활동을 다른 환경과 일과로 확장할 수 있다. 넷째, 유아의 행동과 자극 간 기능적 관계를 알려준다. 다섯째,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에 대한 진행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참고자료
김영모. 지방자치단체 영유아보육정책의 과제와 방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8
류윤석. 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 교육아카데미. 2002.
양옥승 외. 영유아 보육 개론. 학지사. 2005.
이소희 외. 영유아 복지론. 양서원. 2005
⑤ 아동이 더 이상 수행하지 못하는 항목까지 행동평가를 계속해야 되는데, 아동이 10개 항목 이상을 계속 수행 할 수 없다면 그 영역에서의 평가를 더 이상 하지 않는다.
⑥ 모든 영역의 평가가 완성되면 아동의 수행수준을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게 그래프에 옮겨 적는다.
⑦ 5개의 영역의 평가 외에 아동의 문제행동이나 인상(impression), 반응양식, 우세한 감각양상(sensory modality). 혹은 좌우선호 등 특기할 만한 정보들을 기록해 놓는다.
3. 결론
이 관찰표는 표준화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규준을 통해 해석할 수 있는 틀은 없으며 다만 각 영역별로 발달적 접근을 하기 때문에 문항순서 자체가 기준이 되고 있고, 이것에 따라 아동의 성취수준이 어느 정도인지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아동에 대한 해석은 검사자의 전문지식과 경험을 더욱 필요로 한다고 볼 수 있다. 아동들의 수준을 그래프로 나타내면 개인차가 있어 똑같은 것은 하나도 없다. 그러나 아동들의 장애 유형에 따라 대략적으로 그래프의 유형이 독특한 특징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포테이지는 어떤 영역이 자기 연령보다 얼만큼 지체되어 있는지를 알 수 있으며, 어떤 영역에 강조점을 두어 교육을 시킬 것인지를 그래프를 통해서 알 수 있다. 직접 관찰은 첫째, 검사도구로 측정하기 어려운 기술들을 직접 관찰함으로서 진단할 수 있다. 둘째, 다른 측정 방법에 의해 수집된 정보의 타당도를 높일 수 있다. 셋째, 진단 활동을 다른 환경과 일과로 확장할 수 있다. 넷째, 유아의 행동과 자극 간 기능적 관계를 알려준다. 다섯째,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에 대한 진행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참고자료
김영모. 지방자치단체 영유아보육정책의 과제와 방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8
류윤석. 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 교육아카데미. 2002.
양옥승 외. 영유아 보육 개론. 학지사. 2005.
이소희 외. 영유아 복지론. 양서원. 2005
추천자료
아동의 현재 주행동과 문제
교육심리학의 연구방법
직무분석
가족에 대한 사회복지실천 개입 및 종결
[초등교원임용고시 교육과정서브노트] - 재량활동
산업장실습 - 가족간호사례
문제를 격고 있는 클라이언트에 대한 사회복지적 개입계획서
[수행평가][수행평가 필요성][수행평가 단계][수행평가 방법][수행평가 개선과제]수행평가의 ...
제7차교육과정 과학과의 개정중점, 제7차교육과정 과학과의 정보화와 탐구활동, 제7차교육과...
애착형성에 관한 논문 요약
[유아교육평가 C형] 수행평가가 무엇인지 설명하고 이를 유아교육에서 적용한다면 어떻게 할 ...
[아동간호학] 입원아동을 위한 관심전환 중재방법에 대한 고찰
포트폴리오평가(포트폴리오)의 정의, 필요성, 포트폴리오평가(포트폴리오)의 장점, 평가, 포...
[집단놀이치료][집단놀이치료 사회성발달][집단놀이치료 치료적 제한][집단놀이치료 사례]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