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한국의 일자리 변동과 생산성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1절 서론
제2절 한국의 일자리 변동(1982-1997)
제3절 일자리 변동과 생산성
제4절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997], Firm-level evidence on productivity differentials, turnover, and exports in Taiwanese manufacturing, NBER Working paper 6235
Baldwin[1995], The dynamics of industrial competition, Cambridge
Caballero and Hammour[1996], On the timing and efficiency of creative destruction,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Davis, Haltiwanger and Schuh[1996], Job creation and destruction, MIT press
Dunne, Haltiwanger and Troske[1997], Technology and Jobs : Secular changes and cyclical dynamics, Carnegie-Rochester Conference series on Public Policy
Davis and Haltiwanger[1992], Gross job creation, gross destruction, and employment reallocation,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Foster, Haltiwanger and Krizan[1998], Aggregate productivity growth : lessons from microeconomic evidence, NBER working paper 6803
Jovanovic[1982], Selection and the Evolution of Industry, Econometrica
Tybout[1998], Manufacturing Firms in developing countries : how well do they do, and why, Word Bank Economic Review
보론 1 : 이용 자료에 대한 설명
본 논문에서 사용한 자료는 통계청에서 실시하는 광공업 통계조사의 원자료 중 1981년부터 1997년까지의 것이다. 광공업 통계조사는 매년 실시되며 조사대상은 한국 표준산업분류 중 대분류 C. 광업, D. 제조업을 영위하는 사업체로서 조사기준년도 말 현재 종사자 5인 이상이거나 기준년도 조업기간 중 월평균 종사자수가 5인 이상인 사업체이다.
조사과정에서 각 사업체에 배부되는 조사표는 크게 두가지로 구분된다. 하나는 사업체(공장)용 조사표이며 다른 하나는 본점(기업)용 조사표이다. 본 논문의 통계치는 사업체(공장)용 조사표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하나의 기업이 여러 사업체를 소유할 수 있다. 본 논문의 일자리 창출/파괴 분석이나 생산성 분석은 사업체별 일자리 및 생산성임을 유의해야 한다.
원자료에 포함된 항목은 종사자수, 연간급여액, 연간매출액, 제조원가, 재고액, 출하액, 부가가치, 유형고정자산, 기술연구개발비 및 기술도입비 등이다.
매년 발간되는 광공업통계조사 보고서에는 규모별, 산업별로 집계된 자료만이 수록된다. 이와 달리 원자료에서는 사업체 식별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 사업체 식별코드를 통해 각 사업체의 탄생, 성장, 쇠퇴, 소멸이라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를 추적할 수 있다.
사업체 패널에 새로운 식별코드가 등장하는 것은 새로운 사업체가 생겼거나 종사자수가 5인 미만인 상태에서 5인 이상이 상태로 되었을 때이다. 마찬가지로 어느 해에 식별코드가 나타나지 않는 것은 폐업했거나 노동자수가 5인 미만이 되었을 때이다.
이런 점 때문에 현재의 사업체 패널만으로는 사업체가 폐업했는지 안했는지, 이 사업체가 진입했는지 안했는지를 정확히 알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사업체 식별코드가 새로 사업체 패널에 나타나는 것을 진입으로, 사라지는 것을 퇴출로 정의했다. 이렇게 정의할 경우 하나의 사업체가 여러번 진입과 퇴출을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는 사업체의 진입과 퇴출의 정도를 일정 정도 과대평가하고 있으며 마찬가지 이유로 일자리 변동률의 크기가 과대평가되어 있음을 일러둔다.Y
보론 2 : 중분류 산업명
15음식료품제조업                                
16담배 제조업                                 
17섬유제품제조업                                
18의복 및 모피제품제조업                          
19가죽.가방.마구류 및 신발 제조업                    
20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21펄프,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22출판,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23코크스,석유정제품및 핵연료제조업                     
24화합물 및 화학제품 제조업                        
25고무 및 플라스틱제조업                           
26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27제1차 금속산업                               
28조립금속제품 제조업                             
29기타 기계 및 장비제조업                          
30사무,계산,회계용기계 제조업                        
31기타 전기기계 및 전기변환장치 제조업                   
32영상,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33의료,정밀,광학기기 및 시계                        
34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35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36가구 및 기타 제조업                            
37재생재료 가공처리업                              

키워드

경영,   한국,   일자리,   생산성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1.03.28
  • 저작시기201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07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