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심장의 해부 및 구조
1)위치
2)구조
2. 심장의 생리
1) 혈액순환
2) 관상순환(coronary circulation)
3) 심장전도계(cardiac conduction system)
4) 심장주기(cardiac cycle)
5) 심음(heart sound)
6) 심박출량과 심장지수
7) 심장기능과 신경계
【참고문헌】
1)위치
2)구조
2. 심장의 생리
1) 혈액순환
2) 관상순환(coronary circulation)
3) 심장전도계(cardiac conduction system)
4) 심장주기(cardiac cycle)
5) 심음(heart sound)
6) 심박출량과 심장지수
7) 심장기능과 신경계
【참고문헌】
본문내용
: 정맥환류량, 심박동수, 심장수축력
-심근의 특성: 심근을 효율적으로 수축시키고 혈액을 펌프하는 조정역할위하여 자동성, 흥 분성, 율동성, 전도성, 수축성, 불응성의 특성이 있음.
* 전부하(preload) :이완기말에 심실에 채워지는 혈류량을 의미함. 이때의 혈류량 증가를 전 부하 증가로 지칭됨..
Frank-Starling's law : 심실내 혈류량의 증가->심근의 길이 증가->수축력의 증가->1회 박동량의 증가. 그러나 심실의 과도한 증가-> 심근의 수축력 약화->심박출량의 저하. 즉, 과도한 전부하 지속시-> 심박출량 저하 초래(예: 대동맥 판막폐쇄부전증, 승모판막 폐쇄부전증 때 과도한 전부하가 지속됨)
* 후부하 (afterload) : 좌심실의 혈액분출시 심실벽에서 발생되는 저항하는 힘(force).
후부하 증가-> 심박동량 저하.
주로 대동맥 압력에 의해 결정적으로 영향을 받음.
혈압과 전신혈관 저항이 좌심실의 후부하에 중요한 요소임.
혈압과 전신혈관 저항이 지속적으로 높아지면-> 심장후부하 증가->좌심실의 펌프능력 저 하->심박출량 저하 (예: 고혈압, 대동맥 협착증은 후부하의 대표적 심장질환임).
혈관확장제 사용시->전신혈관 확장->혈관저항 감소->심장후부하 감소->심박출량 증가
7) 심장기능과 신경계
-심장의 활동을 조절하는 기능은 (중추신경) 연수에서 담당한다.
-교감신경계의 자극은 norepinephrine을 분비하고->동맥혈관의 수축, 심박수의 증가, 심근 수축 효과를 가져온다.
-부교감신경계(미주신경) 의 자극은 acetylcholine을 분비하며, 심박수의 저하와 방실전도 (AV conduction)의 지연을 초래함.
-경동맥과 대동맥 소체에 위치한 화학감수체는 산소 저하와 탄산가스 증가에 대한 반응으 로 심박수를 증가시킴.
-압력감수체는 대동맥궁, 경동맥동, 대정맥(vena cava), 폐동맥 및 심방에 위치하며 혈압의 변화에 따라 심박수 조절 및 혈압을 조절함.
【참고문헌】
-제 3판 성인간호학 (상 2)
저 자 :전시자, 김강미자, 박정숙, 이미화, 조경순 외 공저
출판사 : 현문사
-제 3판 인체해부학
출판사 : 현문사
-인체 생리학
저 자 : 이강이, 김순이, 정영실, 정승은 외
출판사 : 현문사
-http://my.dreamwiz.com/nkl3936/심전도/심장의해부.htm
-http://drlove.com.ne.kr/circu1.html
-심근의 특성: 심근을 효율적으로 수축시키고 혈액을 펌프하는 조정역할위하여 자동성, 흥 분성, 율동성, 전도성, 수축성, 불응성의 특성이 있음.
* 전부하(preload) :이완기말에 심실에 채워지는 혈류량을 의미함. 이때의 혈류량 증가를 전 부하 증가로 지칭됨..
Frank-Starling's law : 심실내 혈류량의 증가->심근의 길이 증가->수축력의 증가->1회 박동량의 증가. 그러나 심실의 과도한 증가-> 심근의 수축력 약화->심박출량의 저하. 즉, 과도한 전부하 지속시-> 심박출량 저하 초래(예: 대동맥 판막폐쇄부전증, 승모판막 폐쇄부전증 때 과도한 전부하가 지속됨)
* 후부하 (afterload) : 좌심실의 혈액분출시 심실벽에서 발생되는 저항하는 힘(force).
후부하 증가-> 심박동량 저하.
주로 대동맥 압력에 의해 결정적으로 영향을 받음.
혈압과 전신혈관 저항이 좌심실의 후부하에 중요한 요소임.
혈압과 전신혈관 저항이 지속적으로 높아지면-> 심장후부하 증가->좌심실의 펌프능력 저 하->심박출량 저하 (예: 고혈압, 대동맥 협착증은 후부하의 대표적 심장질환임).
혈관확장제 사용시->전신혈관 확장->혈관저항 감소->심장후부하 감소->심박출량 증가
7) 심장기능과 신경계
-심장의 활동을 조절하는 기능은 (중추신경) 연수에서 담당한다.
-교감신경계의 자극은 norepinephrine을 분비하고->동맥혈관의 수축, 심박수의 증가, 심근 수축 효과를 가져온다.
-부교감신경계(미주신경) 의 자극은 acetylcholine을 분비하며, 심박수의 저하와 방실전도 (AV conduction)의 지연을 초래함.
-경동맥과 대동맥 소체에 위치한 화학감수체는 산소 저하와 탄산가스 증가에 대한 반응으 로 심박수를 증가시킴.
-압력감수체는 대동맥궁, 경동맥동, 대정맥(vena cava), 폐동맥 및 심방에 위치하며 혈압의 변화에 따라 심박수 조절 및 혈압을 조절함.
【참고문헌】
-제 3판 성인간호학 (상 2)
저 자 :전시자, 김강미자, 박정숙, 이미화, 조경순 외 공저
출판사 : 현문사
-제 3판 인체해부학
출판사 : 현문사
-인체 생리학
저 자 : 이강이, 김순이, 정영실, 정승은 외
출판사 : 현문사
-http://my.dreamwiz.com/nkl3936/심전도/심장의해부.htm
-http://drlove.com.ne.kr/circu1.html
추천자료
협심증의 예후 및 간호방법
경피적 관상동맥 확장술(PTCA)수술 간호
관상동맥질환
[동맥경화증][암][AIDS][심장질환][간경화][대상포진][치매]동맥경화증, 암, 후천성면역결핍...
인명구조와 응급처치
부정맥과 관상동맥질환
[심폐소생술][CPR]심폐소생술(CPR)의 원리, 목적, 종류, 소아심폐소생술(CPR)고찰과 심폐소생...
관상동맥 질환 간호교육의 필요성
관상동맥 질환 협심증 건강문제 간호
경피적 관동맥확장술PTCA(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plasty)
심폐소생술의 구체적 순서 및 주의사항
관상동맥 중재술
CAG 관상동맥 조영술, PTCA 경피적 관상동맥 성형술 A+
관상동맥질환 (원인, 위험요인, 병태생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