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laparo scopic cholecystectomy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자료 및 방법
ⅰ대상자의 일반적 정보
ⅱ수술실 간호 기록지
Ⅲ. 문헌고찰
1. 정의 및 원인
2. 질병의 pathophysiologic mechanism
3. 진단방법
4. 증상
5. 치료 와 간호
6. 예후
Ⅳ. 간호과정
★ OR nurse 의 역할
* 수술 전 처치 및 간호 <간호기록지>
* 수술실 입구에서
* 수술실에서
* 수술 직후
* 소독 간호사와 순환 간호사의 역할
Ⅴ. 결론 및 제언

§ OP시 사용하는 set
§ 참고문헌

Ⅵ. 소 감 문

본문내용

혈액을 잘 보관하며 필요한 경우 너무 차갑지 않게 체온에 가까운 온도로 데운다. 수혈 pack을 연결해야 하는 경우 반드시 혈액 pack에 쓰 인 환자 이름, 환자의 혈액형, 수혈될 혈액 pack의 혈액형. 유효기간 및 교차실험 결과 등을 확인한 후 수혈한다.
(15) 소독간호사의 pad, needle. 수술기계(surgical instrument) count에 협조한다.
(16) 지혈대의 작동과 중지 시간. sponge. needle. instrument count 결과. 사 용된 drain의 종류와 수. 수혈시 혈액형. 이름 등을 정확히 기록한다.
(17) 소독간호사를 관찰하며 필요한 내용을 안내한다.
(순환간호사가 소독간호사보다 임 상 경험이 더 많을 때).
(18) 수술 중 누락된 기구 및 물품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신속히 공 급한다.
(19) 수술과정 전체에 있어서 무균술이 철저히 지켜지도록 관찰한다.
(20) 검사물(specimen)은 label을 정확히 하여 검사실로 보낸다.
(21) 수술이 끝난 후 환자가 회복실로 갈 수 있도록 stretcher car를 준비하며 환 자 운반 을 돕는다. 특히 stretcher car에 side rail을 하여 수술환자의 낙상사고가 발생 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22) 혈액 손실량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sponge의 무게를 측정한다.
- 흔히 sponge무게를 측정하기보다 suction통의 양을 본다.
(23) 진행 중인 수술이 지연되어 다음 수술의 시작이 지연될 경우 수간호사나 감독간호 사 에게 알려 조정이 되도록 한다.
(24) 수술이 끝난 후 중간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house keeping services에 연락 한다.
(25) 사용된 기구와 물품을 분류하여 정리한다.
(26) 다음 수술을 위한 준비를 한다.
Ⅴ. 결론 및 제언
개복 담낭절제술
복강경담낭절제술
1. 마취
전신마취
전신마취
2. position
supine position
Reverse tredelenburg
3. 수술후 통증
심하다
거의없다
4. 수술후 장 회복
60-96시간
10-36시간
5. 입원기간
7-14일
1-3일
6. 회복기간
4-6주
1주이내
7. 절개부위
20cm이상
1cm<2개>0.5cm<1~2개>
8. 사망율
1.2%
0%
9. 주요합병증
7.5%
3.1%
10. 미용성형효과
적다
매우크다
* OP시 사용하는 set
GS chole set
lapa drape set < 사각포, 중포, 족포, 대포 >
LC 기구 < Laparoscopy 등>
bowl
10cc syringe
verres needle, troca reducer
Lap bag 1x
mess 15
poly sorb 1 2x, 1/0 2x, 2/0 1x, 3/0 1x
Softsilk 1 1x, 2/0 1x, 3/0 1x
Soft A silk 1 1x, 2/0 1x, 3/0 1x
SFS(reflex) 1x
DB 2호 2x or Medifoam 1호 4x
Silastic T-tube 6호 1x
P/S(1) 1L 5x
S/W(1) 1L 1x
Barovac SS200L 1x
Bovie, Argon
무영등손잡이
Pad, compress
forcep, 스포이드
Gown, pad통, 불결물품처리통, 전기소작기, 포타딘
* 참고문헌
sigma theta tau lambda, Alpha chapter-At-Large 편찬, 2004년발행,
임상메뉴얼 현문사 P954~957, P932~934
전시자외 9인, 2005년발행, 성인간호학 현문사,
소감문
처음 실습 시작을 할 때에는 어떻게 해야 할 지를 잘 몰라서 어리둥절했다. 지난 실습 기간 내내 병동만 돌았던 나는 은근히 특수 part하는 친구들이 부러웠다. 하지만 이번기회에 수술실 실습을 할 수 있게 되어서 보다 열심히 해야겠다는 긴장된 마음을 가졌고, 기본적인 것은 어느 정도 숙지하고 실습에 임해야겠다고 생각하여 미리 수술실이 어떤 곳인지 공부해보기도 했다. 하지만 막상 현장에 나가보니 모르는 것이 훨씬 더 많았다. 수술실은 병동과는 다르게 병동은 조금이나마 내가 할수 있는 일 들이 있었지만 이곳 수술실은 할 수 있는 일 이 없어서, 우왕자왕 하고 주로 관찰 위주로 실습하게 되었다. 그런 모습을 보고, 간호사 선생님께서 이곳은 우리가 알아서 공부하고 알아서 관찰 하는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한 실습지 라는 것을 말씀해 주셨다. 어쩌면 당연한 것인지도 모르지만 낯선 상황에서 적극적인 자세로 공부 한다는게 익숙치 못해서 공부에 소홀하게 되었다는 점은 못내 아쉽다. 수술을 관찰하는데 힘들었던 점은 우리의 존재가 오히려 걸리적 거리는건 아닐까 하는 생각과, 좀더 가까이 가서 보고 싶었지만 Contamination을 시키게 될까봐 한 걸음 물러나게 되었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수술실이 돌아가는 현황 이라던가 마취간호사, 소독간호사, 순환간호사의 역할에 대해서는 알게 되었고, 옛말에 열 번 듣는 것 보다 한번 보는게 낫다는 말이 있듯이, 이론으로 배울 때에는 경험이 없어서 잘 모르겠고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도 있었으나, 직접 수술실에서 보고 나니 이런 일을 하는구나 라는 체계가 잡히는 것 같아서 도움이 되었다.
3주라는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시간동안 전대 OR실습을 맞추고 나니 물론 병동보다는 힘들었지만 그만큼 더 보람 있고 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는 실습이었다. 학생시절 여러 가지 부서를 실습해보고 각자 자신에게 맞춰가는 부서가 있다고 하는데 이번 수술실 실습 또한 나는 많은 느낌과 생각을 할 수 있는 뜻 깊은 시간이었다. 앞으로 더 많이 노력하도록 해야겠다.
Ⅰ. 서론
Ⅱ. 자료 및 방법
ⅰ대상자의 일반적 정보
ⅱ수술실 간호 기록지
Ⅲ. 문헌고찰
1. 정의 및 원인
2. 질병의 pathophysiologic mechanism
3. 진단방법
4. 증상
5. 치료 와 간호
6. 예후
Ⅳ. 간호과정
★ OR nurse 의 역할
* 수술 전 처치 및 간호 <간호기록지>
* 수술실 입구에서
* 수술실에서
* 수술 직후
* 소독 간호사와 순환 간호사의 역할
Ⅴ. 결론 및 제언
§ OP시 사용하는 set
§ 참고문헌
Ⅵ. 소 감 문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1.04.01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24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