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수 없다는 그의 흔들림없는
고백과 열정에 경의심을 가지게 되며 또한 우리가 배워야 할 태도의 모범이
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그는 선교의 실적과 효과를 중시한 나머지 "기독교 선교에 있어
서 가장 중요한 운동으로 ""서민층의 우수한 성분을...복음화하는 일", 다
른 표현에 의하면 '인도할 수 있는 자들을 인도하는 일'이라고 하는 그의
주장은 여러가지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상황에 억압되어 수용성이 낮은
사람들을 간접적으로 선교에서 소외시키는 결과를 초래함으로써 그가 강조
하고 있는 '성서적 원리에 입각한 선교'에 모순된다.
또한 그는 선교의 다양성의 필요성을 역설하면서 그 실례로 남부 인도에
서 존 크라우 선교사가 빈민을 기아로 부터 구하기 위한 구호사업의 일환으
로 정부의 운하공사에 빈민을 위한 일자리를 마련하는 등의 활동을 중요하
게 취급하고 있다(29). 뿐만아니라 교회성장을 위해서는 교회가 인간의 유
동성을 잘 숙고하고 각 종족적, 언어적, 문화적 단위에서 상이한 진도로 성
장해왔음을 관찰하고 있다(45). 이는 그가 거부한 사회학적 과정 속에서 교
회의 성장을 그가 스스로 인정하는 모순이라고 생각된다.
저자는 아아남미의 선교에 사용된 학교접근법이 교회성장의 장애요인이
었다고 지적하고 있으나 동부 수단 그리스도의 교회에 있어서 교인수 증가
의 도표는 교회성장에 대해 학교등록의 중요한 관계를 보여준다는 사실을
말하고 있다(171). 회심에 대한 큰 장애들은 신학적이 아닌 사회적인 것들
이다(275). 성 바울도 도시에서 상업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유대인 회당을
중점으로 복음을 전하면서 도시에서 도시 중심지로 여행을 했다(405)는 사
실을 증거로 들면서 도시민들의 복음화에 주력해야 한다는 자신의 주장의
타당성을 말하고 있으나 이 역시 도시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소외된 농민선
교를 소홀히 하게 되는 바 이 역시 그가 굳게 지키고자 하는 성경적 원리에
어긋나는 것이라고 간주된다.
그는 선교의 실적과 효과를 중시한 나머지 "기독교 선교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운동으로 ""서민층의 우수한 성분을...복음화하는 일", 다른 표현에
의하면 '인도할 수 있는 자들을 인도하는 일'이라고 하는 그의 주장은 여러
가지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상황에 억압되어 수용성이 낮은 사람들을 간
접적으로 선교에서 소외시키는 결과를 초래함으로써 그가 강조하고 있는
'성서적 원리에 입각한 선교'에 모순된다.
고백과 열정에 경의심을 가지게 되며 또한 우리가 배워야 할 태도의 모범이
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그는 선교의 실적과 효과를 중시한 나머지 "기독교 선교에 있어
서 가장 중요한 운동으로 ""서민층의 우수한 성분을...복음화하는 일", 다
른 표현에 의하면 '인도할 수 있는 자들을 인도하는 일'이라고 하는 그의
주장은 여러가지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상황에 억압되어 수용성이 낮은
사람들을 간접적으로 선교에서 소외시키는 결과를 초래함으로써 그가 강조
하고 있는 '성서적 원리에 입각한 선교'에 모순된다.
또한 그는 선교의 다양성의 필요성을 역설하면서 그 실례로 남부 인도에
서 존 크라우 선교사가 빈민을 기아로 부터 구하기 위한 구호사업의 일환으
로 정부의 운하공사에 빈민을 위한 일자리를 마련하는 등의 활동을 중요하
게 취급하고 있다(29). 뿐만아니라 교회성장을 위해서는 교회가 인간의 유
동성을 잘 숙고하고 각 종족적, 언어적, 문화적 단위에서 상이한 진도로 성
장해왔음을 관찰하고 있다(45). 이는 그가 거부한 사회학적 과정 속에서 교
회의 성장을 그가 스스로 인정하는 모순이라고 생각된다.
저자는 아아남미의 선교에 사용된 학교접근법이 교회성장의 장애요인이
었다고 지적하고 있으나 동부 수단 그리스도의 교회에 있어서 교인수 증가
의 도표는 교회성장에 대해 학교등록의 중요한 관계를 보여준다는 사실을
말하고 있다(171). 회심에 대한 큰 장애들은 신학적이 아닌 사회적인 것들
이다(275). 성 바울도 도시에서 상업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유대인 회당을
중점으로 복음을 전하면서 도시에서 도시 중심지로 여행을 했다(405)는 사
실을 증거로 들면서 도시민들의 복음화에 주력해야 한다는 자신의 주장의
타당성을 말하고 있으나 이 역시 도시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소외된 농민선
교를 소홀히 하게 되는 바 이 역시 그가 굳게 지키고자 하는 성경적 원리에
어긋나는 것이라고 간주된다.
그는 선교의 실적과 효과를 중시한 나머지 "기독교 선교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운동으로 ""서민층의 우수한 성분을...복음화하는 일", 다른 표현에
의하면 '인도할 수 있는 자들을 인도하는 일'이라고 하는 그의 주장은 여러
가지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상황에 억압되어 수용성이 낮은 사람들을 간
접적으로 선교에서 소외시키는 결과를 초래함으로써 그가 강조하고 있는
'성서적 원리에 입각한 선교'에 모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