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기억에대해설명한후회상(recall)과_재인,애빙하우스망각곡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기기억에대해설명한후회상(recall)과_재인,애빙하우스망각곡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에빙하우스망각곡선
장기기억
회상
재인

본문내용

생각해 보아야 할 일들이 많다.
다들 쉽게 할 수 있지만
마음먹기가 쉽지 않은 행동이 바로 회상이 아니던가
일상적으로 접근하자면
그날 공부한 것을 수업끝나고 회상하거나 자기전에만 회상 하더라도
그 기억은 쉽게 잊혀지지 않는 기억이 될 것을 회상하지 못해 금새 금방 잊어버리고 만다.
그래서 항상 교실/강의실을 생각하면 공부하는 사람이 보이지 않고 빈 강의실만 생각나게 된다.사람을 떠올릴 때도 마찬가지다.한 두번 보는 사람들과 친해지는 건 쉬운 것이 아니다.
서로 같이 있어도 그들에게 딱히 할 말이 없을 경우가 허다하다.슬픈이야기지만 인간은 스스로를 어리석게 만들고 어리석은 동물이라 칭한다.'다시 볼 수 없다, 할 수 없다'는 것을 알고난 후에야 그것을 회상한다.좀 더 깊은 감정을 느껴보고, 상황을 다시 만들어 보기 시작한다.
잊혀져 간 사람을 되새겨 보고, 놓쳤던 순간들을 다시 추억해내며,
아쉬웠던 순간에 대한 회상을 되풀이한다.다시 돌아갈 수 없다는 것을 알면서도 끊임 없이 회상하며,잊을 수 없다는 것에 대한 절망감과 함께자신이 가슴속 깊이 아련한 추억의 공간을 마련한다.그 모든 작업이 끝나면 '공간정리'를 하며 마음속으로 하나의 다짐을 한다.이런 한갖 일에 내가 계속 얽매일순 없다고 이 모든 일은 내가 성장해 가는 밑걸음이 될 것이라고.
다시 일어서서 그 추억에 대한 마음을 잊지 않고 미처 생각하지 못햇던 것들에 대해 생각하고 살아가겠노라고 난 이번 글에 대한 것들을 잊어버리지 않기 위해 계속 회상 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의식을 부여하는 방법을 택하기로 했다.
주관식과 객관식의 차이: 회상recall과 재인recognition (update090611)
주관식문제는 회상, 객관식 문제(다지선다)는 재인과 관련된다.
재인과 회상은 무엇이 다른가?
재인은 내가 이걸 본건지 보지않은건지 기억하는거고 회상은 내 머리 속에서 끄집어 내는거라서 비슷해보이지만 매우 다른 처리기제를 가지고 있다.
재인과 회상은 장기기억에 저장된 정보의 의식적인 확장과 관련이 있다.
빈도frequency는 높은 빈도에서는 보다 더 좋은 회상, 낮은 빈도가 더 좋은 재인수행을 가져온다(1).
재인과 회상에 관한 대표적인 현상은 재인은 실패하는데 회상해보라고 하면 성공하는 경우이다(3). 무슨 말이냐하면, 내가 당신에게 단어목록을 불러주고 외워보라고 했다고 하자. 그 다음에 당신에게 다시 새로운 단어목록-이 단어목록에는 외우라고 했던 단어와 그렇지 않은 단어가 포함되어 있다-을 제시하고 이전 목록에 있었던 단어인지 아닌지를 물어본다. 그러면 상당한 비율로 재인을 못하게 된다. 그런데 신기한 현상은 회상을 하라고 했을 때, 재인에 실패한 단어를 회상한다는거다.
기억에서 인출(즉, 회상)하는 것은 단서cue의 제공여부가 결정적으로 작용한다.
재인과 회상은 단서cue에 따라 결정되기도 한다. 자유회상(단서없음)-단서회상(단서제시)-재인(단서자체가 목표자극)(3)
회상한 단어의 재인실패현상
1. episodic theory(4)
2. tagging theory(4)
3. remarkable relationship between overall recognition rate and amount of recognition failure of recallabel words
몇가지 심리학 실험
Muter가 1978에 실시한 고전적인 실험(3)에서는 유명인사의 성surname을 자극으로 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는데 회상율이 재인율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았다. 즉, 쉽게 말하면, 본것을 머릿속에서 끄집어 내는게 더 어려운 것 같은데 해보니깐 그게 아니더라라는 것.
Tulving과 Wiseman의 1975년 실험은 일화적 기억episodic memory와 의미적 기억semantic memory중에 일화적 기억에 관한 실험이다.
회상recall: 간단하게 말해서 외우는 걸 말하는 것(2).
단서회상cued recall: 단서를 주고 회상하게 하는 것(2).
자유회상free recall: 회상, 당연히 자유회상은 큐cue를 쓰는게 쉽지 않으니깐 어려움(1).
높은 빈도의 단어는 연합되어 있는 기억이 많거나 활성화 수준이 높기 때문에 회상하기 쉽다(1).
재인recognition: 간단하게 말해서 본건지 보지 않은지 판단하는 것.
높은 빈도의 항목은 재인하기 어려운데 회상과 같은 이유이다. 연합된 항목이 많으니깐 헷갈릴수 밖에 없다(1). 연합된 항목(contextual information)이 정확한 재인을 방해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4.05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34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