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A. 연구의 필요성 2
B. 연구대상 및 방법 2
1. 연구대상 2
2. 연구방법 2
Ⅱ. 본론
A. 문헌고찰 3
1. 편도선 구조 및 기능 3
1) 편도선의 구조 3
2) 편도선의 기능 4
2. 편도질환 4
1) 편도염 4
2) 편도주위농양 6
3) 편도 비대증 8
3. 편도 적출술 8
1) 적응증 9
2) 수술 전의 검사 9
3) 수술 전의 처치와 관리 9
4) 수술방법 10
5) 합병증 10
6) 간호 11
B. 수술 과정 12
1. 환자사정 12
2. 수술실 간호기록지 13
3. 수술 과정 14
4. 간호진단 18
Ⅲ. 결론 및 제언 20
A. 연구의 필요성 2
B. 연구대상 및 방법 2
1. 연구대상 2
2. 연구방법 2
Ⅱ. 본론
A. 문헌고찰 3
1. 편도선 구조 및 기능 3
1) 편도선의 구조 3
2) 편도선의 기능 4
2. 편도질환 4
1) 편도염 4
2) 편도주위농양 6
3) 편도 비대증 8
3. 편도 적출술 8
1) 적응증 9
2) 수술 전의 검사 9
3) 수술 전의 처치와 관리 9
4) 수술방법 10
5) 합병증 10
6) 간호 11
B. 수술 과정 12
1. 환자사정 12
2. 수술실 간호기록지 13
3. 수술 과정 14
4. 간호진단 18
Ⅲ. 결론 및 제언 20
본문내용
진통제는 통증을 억제한다.
3. 휴식과 활동은 환부가 치유되도록 환부조직에 대한 스트레스를 감소시킨다.
4. 활력징후는 환자의 상태 변화를 알려준다.
5. 통증에 대한 정보는 통증을 참는데 도움이 된다.
6.압력을 가하여 압축하고 혈액과 체액의 흐름을 촉진시키며 출혈을 예방한다.
7. 출혈, 부종, 통증을 경감시키기 위함이다.
8. 짠 음식이나 딱딱한 음식은 통증을 유발 할 수 있다.
1. 통증척도를 제시해서 통증의 정도를 조사한다.
2. 진통제를 투여한다.
3. 환자분에게 휴식을 취하시도록 격려한다.
4.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9/24-9/25) by RN
5. 통증에 대한 정보를 준다.
6. ice compress encouraged on neck (9/25) by EMR
8. 수술 후 주의사항에 대해 교육한다.
1. 통증이 점차 완화 되었다.
2. 진통제 투여로 인해 수술 부위의 통증이 완화되었다고 말한다.
4. 정상적인 활력징후에 속한다.(by EMR)
BP
T
P
R
9/24
130/80
36.0
68
20
9/25
120/80
36.6
68
20
6. ice compress를 사용하시고 계신다.(by EMR)
# 2. 출혈과 관련된 체액부족 위험성
(정의: 체액조절기전의 장애나 실제적인 체액상실로 인해 세포내외의 탈수가 일어날 우려가 있는 상태)
간호 사정
간호 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 수행
평가
간호 목표
간호지시
<주관적 단서>
<객관적 단서>
- Rt nasal oozing (by EMR)
- 목안으로 blood 소량씩 흐름 (by EMR)
<단기목표>
-출혈 및 oozing 증상이 없어진다.
<장기목표>
- 혈중 전해질치가 정상범위이다.
1. 출혈의 정도, 지속시간, 특성, 부위 등을 사정한다.
2. 체중을 측정한다.
3. 휴식과 활동을 적절히 유지한다.
4.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5. 측위나 복위를 취해준다.
6.출혈 유무를 관찰한다.
7. 필요시 정맥으로 수액을 공급한다.
8. 빨대의 사용을 금하도록 한다.
1.출혈에 관한 기초정보를 분석하여 효과적 지혈 및 치료를 도모한다.
2. 체중의 변화는 통해 환자의 상태 변화를 알려준다.
3. 휴식과 활동은 환부가 치유되도록 환부조직에 대한 스트레스를 감소시킨다.
4. 활력징후는 환자의 상태 변화를 알려준다.
5. 분비물 배출을 도모하고 구토물의 흡인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6. 빠른 발견은 효과적인 치료를 도모한다.
7. 순환혈액량 및 조직간액의 감소 시 세포 외액의 보급, 보정 등의 효과가 있다.
8. 상처부위의 긴장도를 증가시켜 출혈을 일으킬 수 있다.
1. 출혈의 정도를 조사했다.
2. 체중의 변화를 측정한다.
3. 환자분에게 휴식을 취하시도록 격려한다.
4.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9/24-9/25) by RN
5. 측위나 복위를 취해준다.
6. 출혈 유무를 관찰했다. (9/25) by EMR
7. 필요시 정맥으로 수액을 공급한다.
8. 빨대의 사용을 금하도록 한다.
1. 출혈이 점차 완화 되었다.
2. 체중의 변화가 없다.
4. 정상적인 활력징후에 속한다.(by EMR)
BP
T
P
R
9/24
130/80
36.0
68
20
9/25
120/80
36.6
68
20
6. Nasal bloody oozing 지금은 없으며 코 안쪽으로 딱지 앉아있다고 말씀하심. (by EMR)
Ⅲ. 결론 및 제언
22세 남자 환자 권○○님은 한 달 전부터 snoring & sleep apnea & nasal obstruction 있어 hypertrophy of tonsil을 진단을 받아 2008년 9월 25일 tonsillectomy를 받으셨다. 현재 퇴원 약을 복용 하시며 외래 F/U을 받으셨으며 ‘수술과 관련된 통증’ 과 ‘출혈과 관련된 체액부족 위험성’이라는 간호진단을 내렸고, 이 진단에 따라 구체적인 간호과정을 적용해 보았다.
권○○님은 첫째 ‘수술과 관련된 통증’에서는 ‘3일 이내에 통증이 통증척도 상에서 1-2로 줄어든다.’라는 목표를 세웠고 이에 맞춰 통증의 형태, 정도, 지속시간, 특성, 부위 등을 사정하고, 필요시 진통제를 투여하며, ice compress를 사용하여 통증부위를 적절히 지지해주고 편안한 자세를 취하게 함으로서 환자의 수술로 인한 통증을 줄이기 위해서 노력한 결과 통증이 완화될 것이다.
둘째 ‘출혈과 관련된 체액부족 위험성’에서는 ‘출혈 및 oozing 증상이 없어진다.’라는 목표를 세웠고 이에 맞춰 출혈의 정도, 지속시간, 특성, 부위 등을 사정하고, 체중을 측정 하며 출혈 유무를 관찰 및 필요시 정맥으로 수액을 공급을 통해서 출혈부위에 적절히 간호 중재를 한 결과 출혈 및 oozing 증상이 없어졌다.
수술실 실습을 하면서 쓰게 된 case report는 환자분과의 접촉이 거의 없어서 간호진단을 내리고 계획 및 수행 그리고 진단을 내리는데 있어서 많이 불편한 점이 있었지만 그 분이 받은 수술에 대해서 많은 것을 알게 되었으며 tonsillectomy란 수술의 case가 많아서 한 번 보고나서 공부를 한 후에 한 번 더 보았다면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었을 텐데 내가 실습하는 동안 편도 절제술이 한 건 밖에 없어서 많이 아쉬웠다.
〔참고문헌〕
(1) 강병철. essentials of clinical nursing. 서울: 한우리, 2005.
(2) 서문자 외. 성인간호학. 서울: 수문사. 1997
(3) 송민순 외. 진단적 검사와 간호. 서울: 현문사, 2002.
(4) 전시자 외. 성인간호학 상. 서울: 현문사, 2005.
(5) 전시자 외. 간호과정. 서울: 현문사, 2004.
(6) 진영완 외. [구개 및 인두편도 적출술 적응증의 변화 양상], {이비인후과학회지}. 제6집 1호.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2000. 72-79
(7) 가톨릭대학교 가톨릭중앙의료원 -http://www.cmc.or.kr/cmcservice/
(8) 대한이비인후과학회 - http://www.korl.or.kr/information/
(9) 전대병원 8동 수술실 이비인후과 수술과정
(10) 정진혁 cyber 이비인후과 - http://www.ent119.com/
3. 휴식과 활동은 환부가 치유되도록 환부조직에 대한 스트레스를 감소시킨다.
4. 활력징후는 환자의 상태 변화를 알려준다.
5. 통증에 대한 정보는 통증을 참는데 도움이 된다.
6.압력을 가하여 압축하고 혈액과 체액의 흐름을 촉진시키며 출혈을 예방한다.
7. 출혈, 부종, 통증을 경감시키기 위함이다.
8. 짠 음식이나 딱딱한 음식은 통증을 유발 할 수 있다.
1. 통증척도를 제시해서 통증의 정도를 조사한다.
2. 진통제를 투여한다.
3. 환자분에게 휴식을 취하시도록 격려한다.
4.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9/24-9/25) by RN
5. 통증에 대한 정보를 준다.
6. ice compress encouraged on neck (9/25) by EMR
8. 수술 후 주의사항에 대해 교육한다.
1. 통증이 점차 완화 되었다.
2. 진통제 투여로 인해 수술 부위의 통증이 완화되었다고 말한다.
4. 정상적인 활력징후에 속한다.(by EMR)
BP
T
P
R
9/24
130/80
36.0
68
20
9/25
120/80
36.6
68
20
6. ice compress를 사용하시고 계신다.(by EMR)
# 2. 출혈과 관련된 체액부족 위험성
(정의: 체액조절기전의 장애나 실제적인 체액상실로 인해 세포내외의 탈수가 일어날 우려가 있는 상태)
간호 사정
간호 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 수행
평가
간호 목표
간호지시
<주관적 단서>
<객관적 단서>
- Rt nasal oozing (by EMR)
- 목안으로 blood 소량씩 흐름 (by EMR)
<단기목표>
-출혈 및 oozing 증상이 없어진다.
<장기목표>
- 혈중 전해질치가 정상범위이다.
1. 출혈의 정도, 지속시간, 특성, 부위 등을 사정한다.
2. 체중을 측정한다.
3. 휴식과 활동을 적절히 유지한다.
4.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5. 측위나 복위를 취해준다.
6.출혈 유무를 관찰한다.
7. 필요시 정맥으로 수액을 공급한다.
8. 빨대의 사용을 금하도록 한다.
1.출혈에 관한 기초정보를 분석하여 효과적 지혈 및 치료를 도모한다.
2. 체중의 변화는 통해 환자의 상태 변화를 알려준다.
3. 휴식과 활동은 환부가 치유되도록 환부조직에 대한 스트레스를 감소시킨다.
4. 활력징후는 환자의 상태 변화를 알려준다.
5. 분비물 배출을 도모하고 구토물의 흡인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6. 빠른 발견은 효과적인 치료를 도모한다.
7. 순환혈액량 및 조직간액의 감소 시 세포 외액의 보급, 보정 등의 효과가 있다.
8. 상처부위의 긴장도를 증가시켜 출혈을 일으킬 수 있다.
1. 출혈의 정도를 조사했다.
2. 체중의 변화를 측정한다.
3. 환자분에게 휴식을 취하시도록 격려한다.
4.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9/24-9/25) by RN
5. 측위나 복위를 취해준다.
6. 출혈 유무를 관찰했다. (9/25) by EMR
7. 필요시 정맥으로 수액을 공급한다.
8. 빨대의 사용을 금하도록 한다.
1. 출혈이 점차 완화 되었다.
2. 체중의 변화가 없다.
4. 정상적인 활력징후에 속한다.(by EMR)
BP
T
P
R
9/24
130/80
36.0
68
20
9/25
120/80
36.6
68
20
6. Nasal bloody oozing 지금은 없으며 코 안쪽으로 딱지 앉아있다고 말씀하심. (by EMR)
Ⅲ. 결론 및 제언
22세 남자 환자 권○○님은 한 달 전부터 snoring & sleep apnea & nasal obstruction 있어 hypertrophy of tonsil을 진단을 받아 2008년 9월 25일 tonsillectomy를 받으셨다. 현재 퇴원 약을 복용 하시며 외래 F/U을 받으셨으며 ‘수술과 관련된 통증’ 과 ‘출혈과 관련된 체액부족 위험성’이라는 간호진단을 내렸고, 이 진단에 따라 구체적인 간호과정을 적용해 보았다.
권○○님은 첫째 ‘수술과 관련된 통증’에서는 ‘3일 이내에 통증이 통증척도 상에서 1-2로 줄어든다.’라는 목표를 세웠고 이에 맞춰 통증의 형태, 정도, 지속시간, 특성, 부위 등을 사정하고, 필요시 진통제를 투여하며, ice compress를 사용하여 통증부위를 적절히 지지해주고 편안한 자세를 취하게 함으로서 환자의 수술로 인한 통증을 줄이기 위해서 노력한 결과 통증이 완화될 것이다.
둘째 ‘출혈과 관련된 체액부족 위험성’에서는 ‘출혈 및 oozing 증상이 없어진다.’라는 목표를 세웠고 이에 맞춰 출혈의 정도, 지속시간, 특성, 부위 등을 사정하고, 체중을 측정 하며 출혈 유무를 관찰 및 필요시 정맥으로 수액을 공급을 통해서 출혈부위에 적절히 간호 중재를 한 결과 출혈 및 oozing 증상이 없어졌다.
수술실 실습을 하면서 쓰게 된 case report는 환자분과의 접촉이 거의 없어서 간호진단을 내리고 계획 및 수행 그리고 진단을 내리는데 있어서 많이 불편한 점이 있었지만 그 분이 받은 수술에 대해서 많은 것을 알게 되었으며 tonsillectomy란 수술의 case가 많아서 한 번 보고나서 공부를 한 후에 한 번 더 보았다면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었을 텐데 내가 실습하는 동안 편도 절제술이 한 건 밖에 없어서 많이 아쉬웠다.
〔참고문헌〕
(1) 강병철. essentials of clinical nursing. 서울: 한우리, 2005.
(2) 서문자 외. 성인간호학. 서울: 수문사. 1997
(3) 송민순 외. 진단적 검사와 간호. 서울: 현문사, 2002.
(4) 전시자 외. 성인간호학 상. 서울: 현문사, 2005.
(5) 전시자 외. 간호과정. 서울: 현문사, 2004.
(6) 진영완 외. [구개 및 인두편도 적출술 적응증의 변화 양상], {이비인후과학회지}. 제6집 1호.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2000. 72-79
(7) 가톨릭대학교 가톨릭중앙의료원 -http://www.cmc.or.kr/cmcservice/
(8) 대한이비인후과학회 - http://www.korl.or.kr/information/
(9) 전대병원 8동 수술실 이비인후과 수술과정
(10) 정진혁 cyber 이비인후과 - http://www.ent119.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