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TR 실험 보고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실험목적

2. 이 론

3.실험도구

4. 실험방법

5. 실험 장치

6. 실험 결과

고찰

본문내용

01
1.01
1.01
실험1
Time
conductivity (mho)
seconds
tank 1
tank 2
tank 3
0
0.09
0.09
0.09
3
0.43
0.16
0.10
6
0.58
0.23
0.12
9
0.72
0.31
0.13
12
0.89
0.61
0.31
15
0.95
0.76
0.48
18
0.97
0.9
0.72
21
1.00
0.97
0.86
24
1.01
0.98
0.94
27
1.02
1
1.01
30
1.21
1.21
1.21
실험2
Time
conductivity (mho)
seconds
tank 1
tank 2
tank 3
0
0.07
0.07
0.07
3
0.40
0.13
0.09
6
0.55
0.25
0.11
9
0.76
0.41
0.17
12
0.89
0.53
0.31
15
0.95
0.64
0.48
18
0.97
0.71
0.53
21
1.00
0.81
0.73
24
1.01
0.92
0.84
27
1.01
1.00
0.92
30
1.01
1.01
1.01
실험3
time
conductivity (mho)
seconds
tank 1
tank 2
tank 3
0
1.09
1.09
1.09
3
1.33
1.25
1.15
6
1.88
1.43
1.2
9
2.02
1.8
1.32
12
2.59
2.03
1.5
15
2.99
2.35
2.02
18
3.25
2.54
2.60
21
3.26
2.93
2.88
24
3.27
3.2
2.96
27
3.27
3.25
3.25
30
3.28
3.28
3.28
time
(seconds)
conductivity (mho)
tank 1
tank 2
tank 3
0
0.08
0.08
0.08
3
0.1
0.1
0.1
6
0.36
0.31
0.43
9
0.53
0.55
0.51
12
0.62
0.76
0.70
15
0.82
0.82
0.82
고찰(20054419 서원형)
이 실험의 주 목적은 CSTR이라는 반응기가 어떤 변화를 주었을 때 평형에 빠르게 도달할 수 있는가를 알아보는 실험이었다.
이 실험의 주 목적은 CSTR이라는 반응기가 어떤 변화를 주었을 때 평형에 빠르게 도달할 수 있는가를 알아보는 실험였습니다. 선 호수 속에 있는 비이커의 불순물을 제거 하기 위하여 우리조는 어느정도의 시간동안 증류수를 계속 흘려 보내주었고, 그리고 나서 KCl을 섞은 증류수를 흘려 보내 각 탱크의 농도를 3분간격으로 측정하였다.
각 실험 데이타에 의한 그래프를 보면 시간은 오래 걸리지만 결국은 3개의 반응조가 평형에 도달하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1번 반응기는 빨리 평형에 도달하고 변화폭도 큰 것에 반해 3번 반응기는 가장 늦게 반응에 도달하고 변화폭도 작은 것 을 데이터 및 그래프에서 볼 수 있었습니다. 우리가 실험을 하면서 평형에 도달하기 위하여 변수로 두는 것은 유량의 변화와 교반기의 사용 유무에 따른 변화였는데, 유량을 달리하였을 때 평형이 빨리 이루어지는지 교반이 이루어졌을 때 평형이 빨리 이루어지는 지에 관해 실험을 하였고 데이터나 그래프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유량이 증가할수록 평형이 이루어지는 시간이 빨라짐을 볼 수 있었습니다. 처음의 100cc/min에서의 평형이 이루어지는 시간이 90분 가까이 걸렸다면 300cc/min에서의 평형 도달 시간은 50분 정도였습니다. 하지만 교반의 유무에 따른 변화에서는 교반을 하였을 때와 교반을 하지 않았을 때의 시간 차이가 유량의 변화에 따른 시간 차이에 비해 적게 나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이것을 보면 교반의 영향보다는 유량에 따른 영향이 평형에 도달하는데 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조는 유입속도를 300cc/min으로 일정유지하고 교반을 한 것과 안한 것 두 개를 비교하여 실험을 해 본 결과 교반을 해준 조건에서가 안 한 것에 비하여 더 빠른 평형점에 도달하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이것은 교반 날개의 역할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교반 날개에 의해서 물과 NaCl용액이 보다 잘 혼합 될 수 있는 것을 뜻한다. 즉 혼합이 잘 이루어 질 수 있다는 것은 서로 다른 용액들이 접촉하여 반응할 기회가 많아지는 것으로 보다 좋은 반응기의 성능을 갖게 해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처럼 우리조에서는 반응기의 조건을 변화시켜 반응의 정도를 알아보았는데 유량변화와 교반 여부 중에서는 평형점에 도달하는 시간의 정도 차이가 유량의 변화 일 때가 더 큰 것으로 보아 유량변화의 조건이 반응에 보다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키워드

CSTR결과,   CSTR,   결과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4.07
  • 저작시기201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42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