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비어천가(80-99장 해석)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용비어천가(80-99장 해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80장]

[제 81장]

[제 82장]

[제 83장]

[제 84장]

[제 85장]

[제 86장]

[제 87장]

[제 88장]

[제 89장]

[제 90장]

[제 91장]

[제 92장]

[제 93장]

[제 94장]

[제 95장]

[제 96장]

[제 97장]

[제 98장]

[제 99장]

본문내용

[제 80장]
武功: 아니 爲샤 션 :아실 鼎峙之業을 :셰시니다
討賊이 겨를 :업스샤 션 :실 太平之業이 빛나시니다
<통석>
(촉한의 유비가) 무공만을 아니 위하시어 선비를 아시매, 세 나라 마주 서는 일을 세우신 것입니다.
(이 태조는) 도둑 무찌르는 데 겨를이 없으시되 선비를 사랑하시매 나라를 태평하게 하는 일이 빛나신 것입니다.
<고사>
촉한 선주류비가 매양, 「내가 진원방과 정강성 의 사이를 주선하는 동안에 그 계고를 보고 치란의 도를 알 수 있었다」하였다.
이태조가 본시 유학을 중히 여기어 비록 군중에 있을 때라도 병사의 틈을 타서 학자를 불러 경서와 사적을 토론하고, 혹은 밤중이 지나도록 책을 보았다 한다.
<형태분석>
션 : 선비(士)의 고형
실>사랑하시매
1. 기본형 ‘다’의 어간 ‘’
2. +(조성모음)>(ㅅ은 모음과 모음 사이에서 ㅿ으로 바뀜, 연철)
3. +시(존칭선어말어미)
4. 시+ㄹ(원인결과를 나타내는 어미)
5. 실
셰시니다>세우신것입니다
1. 기본형 ‘셰다’의 어간 ‘셰’ 즉 ‘立’
2. 셰+시(주체존칭어미)
3. 셰시+니다(서술형종결어미)
4. 셰시니다
[제 81장]
千金을 아니 앗기샤 글冊 求시니 經世度量이 크시니다
聖性을 아니 미드샤 學問이 기프시니 創業規模ㅣ 머르시니다
<통석>
(송 나라 조광윤은) 천금을 아끼지 아니하시어 글책을 구하시니, 세상을 다스리는 도량이 크신 것입니다.
(이 태조는 자기의) 성스런 본성을 믿지 아니하시어 학문이 깊으시니, 그 나라를 세운 규모가 머신 것입니다.
<고사>
송나라 조광윤 성품이 엄중하고, 말수가 적으며 책 보기를 좋아해서 비록 군중에 있을지라도 손에 책을 놓지 않고, 기서가 있다 하면 천금을 아끼지 않고 사들이었다.
이태조의 활달제시하는 경량과 인후호생하는 덕은 천생이어서 ,훈공이 더할수록 더욱 겸손하고 온공하였다. 또 본시 유학을 중히 여겨서 군승를 보는 여가에 항상 유신들과 경서와 사적을 보며 고단한 줄을 몰랐다. 일찍 집안에 유학을 닦는 이가 없음을 유감으로 여겨서 태종으로 나아가게 하였다.
<형태분석>
앗기샤>아끼시어
1. 기본형 ‘앗기다’의 어간 ‘앗기’
2. 앗기+시(주체존칭선어말어미)+어(부사형어미)
3. 앗기샤
머르시니다>머신것입니다
1. 기본형 ‘멀다’의 어간 ‘멀’ 즉 ‘遠’
2. 멀+으(조성모음)>머르(연철)
3. 머르+시(주체존칭어미)
4. 머르시+니다(서술형종결어미)
5. 머르시니다
기프시니>깊으시니
1. 기본형 ‘깊다’의 어간 ‘깊’ 즉 ‘深’
2. 깊+으(조성모음)>기프(연철)
3. 기프+시(주체존칭어미)+니(연결어미)
4. 기프시니
[제 82장]
혀근 션 보시고 御座애 :니르시니 敬儒之心이 :엇더시니
늘근 션 보시고 禮貌로 르시니 右文之德이 :엇더시니
<통석>
(원 나라 세조는) 작은 선비를 보시고 자리에서 일어나시니, 그 선비를 공경하는 마음이 어떠하시니?
(이 태조는) 늙은 선비를 보시고 예의 갖춘 태도로 꿇어 앉으시니, 그 학문을 높이는 덕이 어떠하시니?
<고사>
고려 충렬왕 때에 세자를 원나라에 보냈는데, 정가신등이 이에 따라 갔다. 하로는 원세조가 세자를 불러 볼 제, 책상에 기대어 누워서 세자에게 묻더니 정가신등을 인견할 때는 일어나서 관을 쓰고 대하였다 한다.
고려 공양왕 때에 이색이 귀향살이에서 풀려, 서울에 돌아와서 이태조를 뵈인데, 태조가 크게 반기고 이를 상좌에 맞고, 무릎을 꿇어 술을 받들어 권하였다.
<형태분석>
혀근>작은
1. 기본형 ‘혁다’의 어간 ‘혁’ 즉 ‘小’
2. 혁+은(주격조사)
3. 혀근(연철)>혀근
니르시니>일어나시니
1. 기본형 ‘닐다’의 어간 ‘닐’ 즉 ‘起’
2. 닐+으(조성모음)>니르(연철)
3. 니르+시(주체존칭어미)+니(연결어미)
4. 니르시니
르시니>꿇으시니
1. 기본형 ‘다’의 어간 ‘’ 즉 ‘’
2. +으(조성모음)>르
3. 르+시(주체존칭어미)+니(연결어미)
4. 르시니
[제 83장]
君位를 :보라 큰 命을 알외요리라 바 우희 金塔이 소니
자로 制度ㅣ 날 仁政을 맛됴리라 하 우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1.04.09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48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