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진단검사
1. 혈액검사와 소변검사
(1) 심장효소검사
(2) 혈청지질 검사
(3) Homocysteine
(4) C-반응성 단백질(CRP)
(5) 혈액응고검사
(6) 동맥혈가스분석(ABGA)
(7) 혈청 전해질 검사
(8) 혈당검사
(9) 전혈구 검사(CBC)
(10) 소변 분석검사
2. 방사선 검사
(1) 흉부 X-선 검사
(2) 심장 형광투시경 검사(Cardiac fluoroscopy)
3. 심도자술(Cardiac catheterization)
4. 심전도를 이용한 검사
5. 전기생리검사(Electrophysiogic study)
6. 초음파 심장 촬영술(Echocardiography)
(1) 초음파 심장촬영술 (Echocardiography)
(2) 경식도 초음파 심장 촬영술 (Transesophageal echocardiography, TEE)
7.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검사
8. 자기공명검사(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9. 전자빔 전산화단층촬영 스캔(Electronic beam computerd tomography scan, EBCT)
10. 혈액역동검사(Hemodynamic test)
(1) 중심정맥압(Central venous pressure, CVP)
(2) 폐동맥쐐기압(Pulmonary artery wedge pressure, PAWP)
(3) 심박출량 검사
(4) 정맥산소포화도검사(SVO₂)
(5) 전신성 동맥내압검사
11. 임피던스 심장검사(Impedence cardiography, ICG)
Ⅱ. MI의 치료법
1. 혈액검사와 소변검사
(1) 심장효소검사
(2) 혈청지질 검사
(3) Homocysteine
(4) C-반응성 단백질(CRP)
(5) 혈액응고검사
(6) 동맥혈가스분석(ABGA)
(7) 혈청 전해질 검사
(8) 혈당검사
(9) 전혈구 검사(CBC)
(10) 소변 분석검사
2. 방사선 검사
(1) 흉부 X-선 검사
(2) 심장 형광투시경 검사(Cardiac fluoroscopy)
3. 심도자술(Cardiac catheterization)
4. 심전도를 이용한 검사
5. 전기생리검사(Electrophysiogic study)
6. 초음파 심장 촬영술(Echocardiography)
(1) 초음파 심장촬영술 (Echocardiography)
(2) 경식도 초음파 심장 촬영술 (Transesophageal echocardiography, TEE)
7.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검사
8. 자기공명검사(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9. 전자빔 전산화단층촬영 스캔(Electronic beam computerd tomography scan, EBCT)
10. 혈액역동검사(Hemodynamic test)
(1) 중심정맥압(Central venous pressure, CVP)
(2) 폐동맥쐐기압(Pulmonary artery wedge pressure, PAWP)
(3) 심박출량 검사
(4) 정맥산소포화도검사(SVO₂)
(5) 전신성 동맥내압검사
11. 임피던스 심장검사(Impedence cardiography, ICG)
Ⅱ. MI의 치료법
본문내용
폐부종 발생)
심박출량이 적고 PAWP가 20mmHg이상→좌심실 기능부전 의심
PAWP상승시: 심박출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심근 수축력의 강도가 올라가나 어느 한계 가 지나면 심근 섬유의 과신전으로 오히려 심근의 수축력 약해짐.
→ 이뇨제를 사용하여 혈량 감소시킴. 그러나 순환혈량이 불충분해지면 좌심실내압과 심박출량이 감소되어 PAWP는 하강되며 이때 수액을 보충함으로써 PAWP증가시킴.
② 정상 산소포화도 : 정맥혈-75%, 동맥혈-95%
(3) 심박출량 검사
열 측정기가 달린 폐동맥 카테터를 사용하여 열 희석법으로 측정한다. 5~10ml의 생리식엽수나 포도당 용액을 차게하거나 실온에서 카테터를 통해 우심방에 주입한다. 용액은 우심방에서 혈액과 혼합되고, 심장내로 들어간다. 카테터 끝에 위치한 온도 감지기가 찬 용액으로 인한 혈액의 온도변화를 감지하여 심박출량 컴퓨터에 전달하여 수치로 환산한다.
◎ 측정방법
5~10ml의 생리식염수을 차게 하거나 또는 실온에서 카테타를 통해 우심방에 주입한다.
용액은 우심방에서 혈액과 혼합되고 심장내로 흘러간다.
카테터의 끝에 위치한 온도감지기가 찬 용액으로 인한 혈액의 온도변화를 감지한다.
◎ 정상범위
: 4~8L/분
(4) 정맥산소포화도검사(SVO₂)
산소 요구와 산소 공급이 균형을 이류는지 알아보는 검사이다. SVO₂는 광섬유가 달린 폐동맥 카테터로 측정한다.
(5) 전신성 동맥내압검사
동맥내압은 동맥 내에 카테터를 삽입하여 동맥압을 측정하는 것으로 중환자에게 직접적이고, 계속적으로 혈압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11. 임피던스 심장검사(Impedence cardiography, ICG)
혈액역동검사와 달리, 임피던스 심장검사는 유연하고, 빠른 비침습적 감시체계로 4개의 ICG 전극, 4개의 심전도 전극, 휴대용 ICG 모니터로 구성괴어 있다. ICG는 심장에 흐르는 전류의 총 저항을 측정한다. 심부전, 심한외상, 수액요법 등을 받는 대상자를 사정하고, 계획을 수립하여며 치료계획을 개별화하는데 ICG를 사용할 수있다. 또한 좌심실의기능(심박출량, 심장지수), 전부하, 후부하, 심장 수출력 등을 측정할 수 있다.
Ⅱ. MI의 치료법
1) 경피적 관상동맥 확장술 (percutaneous transluminar coronary angioplasty : PTCA)
① 심도자를 이용하여 협착 및 폐쇄된 관상동맥 내로 카테터를 삽입한 후 재 확장을 시도 하는 관상동맥 질환에 유용한 비 수술적 요법
② 개흉을 하지 않기 때문에 입원기간이 2~3일 정도로 짧고 성공률도 높기 때문에 최근 적응증이 확대되어 협심증의 기간이 짧고 단일 관상동맥 협착증의 대상자뿐만 아니라 다혈관 질환, 3개월 미만의 완전 혈관 폐색, 증상이 경하거나 없는 환자에서도 운동부 하 검사나 핵의학 검사에서 객관적인 심근허혈의 소견이 있는 환자, 급성심근 경색증, CABG 후의 협심증, CABG가 불가능한 고위험 환자, 75세 이상의 고령자에게 쓰임
③ 방법
대퇴동맥이나 쇄골하동맥을 통하여 전극유도 카테터를 형광투시하에 관상동맥입구에 삽 입한 후 헤파린 5,000unit을 전신에 투여하고 확장 카테터를 계속 형광투시하면서 협착 된 관상동맥 내로 정확히 삽입한 후에 풍선에 압력을 가해 부풀리어 협착된 관상동맥을 확장시킴
④ 확장성공률이 높은부위 : 좌측 전 하행 관상동맥, 우관상동맥, 회선동맥 등
⑤ PTCA 성공 후 문제점 : 재협착
수술 후 3~6개월 내 → 협착률 높음,
수술 후 3~6개월 후 → 협착률의 빈도가 감소
⑥ 간호 :
- PTCA 수술한 환자 : 1~2일 정도 중환자실에 입원하여 모니터링
- 수술 후에는 심장압전, 심부정맥, 출혈 및 혈종이 생길 수 있으며 특히 도관 삽입부위 의 혈전형성을 예방하기 위한 간호 관리
- 시술 후 확장풍선을 제거한 후에도 유도도관은 혈전예방을 위해 약 24시간 후에 제거 하며 상처부위는 모래주머니로 압박드레싱
- 수술한 다리는 움직임 없는 상태 유지
- 재협착을 예방 :
항 혈소판제 (아스피린), 혈관이완제 (dipyridamole (persantin)) 장기 처방
⑦ PTCA의 가장 큰 문제인 급성 관상동맥 폐쇄와 재협착 :
혈관 내 금속 스탠트 삽입술, 죽종절제술, 레이저 혈관성형술 등의 보조기구 사용
2) 관상동맥 우회술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 CABG)
① 허혈성 심질환 환자에게 심근에 혈류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심근 재 혈관화 수술을 실시 하는 방법으로 수술 전에 정확한 병소와 협착 부위를 확인하기 위하여 관상동맥 조영술 이 시행
② 적응증 : 좌측 주관상동맥이 60% 이상 협착을 보일경우, 좌우 관상동맥의 주 가지인 3 개의 혈관의 70% 이상 협착이 있는 경우, 중등도 이상의 협심증이나 심근허 혈이 유발되는 경우, PTCA 시술 중에 올 수 있는 응급상황에 대비하여 CABG 수술을 준비할 때
③ 심근 재 혈관화 수술방법 :
대동맥과 관상동맥간 우회술 (aortocoronary bypass graft : ACB)로서 상행대동 맥과 병변이 있는 관상동맥 하부에 한자의 혈관을 떼어 직접 연결해주는 자가혈관 이식 수술 방법으로 복재정맥, 내유동맥, 대퇴동맥, 요골동맥, 위 대망동맥 사용
④ 대복재정맥을 사용한 재 혈관화 수술이 보편화되어 있으나 폐쇄율이 있고, 내유동맥으 로 시행한 CABG는 동맥경화성 병변이 적어 장기간의 생존율이 높기 때문에 최근 많이 시행되나 내유동맥은 수량(좌우 2개)과 길이의 제한, 특히 여자에서는 길이가 짧고 크 기가 작으며 혈관박리에도 시간이 걸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음
⑤ 복재정맥 이식술 :
수술 전 날에 수술부위 피부 준비로 미리 확보해 둔 환자의 복재정맥을 다리 안쪽으로 절개하여 약 20cm정도 절제한 후 상행대동맥 근위부와 협착된 관상동맥의 원위부와 연결하여 심근 순환을 증진시켜주는 자가 혈관이식술
⑥ 내유동맥 이식술 :
혈관을 절제하지 않고 병변이 있는 관상동맥 원위부까지 끌어당겨 연결하는 이식술
※ 참고문헌
- 전시자외(2001) 성인간호학 상 2, 현문사
- 서문자외(2004) 성인간호학 하 Ⅰ 수문사
심박출량이 적고 PAWP가 20mmHg이상→좌심실 기능부전 의심
PAWP상승시: 심박출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심근 수축력의 강도가 올라가나 어느 한계 가 지나면 심근 섬유의 과신전으로 오히려 심근의 수축력 약해짐.
→ 이뇨제를 사용하여 혈량 감소시킴. 그러나 순환혈량이 불충분해지면 좌심실내압과 심박출량이 감소되어 PAWP는 하강되며 이때 수액을 보충함으로써 PAWP증가시킴.
② 정상 산소포화도 : 정맥혈-75%, 동맥혈-95%
(3) 심박출량 검사
열 측정기가 달린 폐동맥 카테터를 사용하여 열 희석법으로 측정한다. 5~10ml의 생리식엽수나 포도당 용액을 차게하거나 실온에서 카테터를 통해 우심방에 주입한다. 용액은 우심방에서 혈액과 혼합되고, 심장내로 들어간다. 카테터 끝에 위치한 온도 감지기가 찬 용액으로 인한 혈액의 온도변화를 감지하여 심박출량 컴퓨터에 전달하여 수치로 환산한다.
◎ 측정방법
5~10ml의 생리식염수을 차게 하거나 또는 실온에서 카테타를 통해 우심방에 주입한다.
용액은 우심방에서 혈액과 혼합되고 심장내로 흘러간다.
카테터의 끝에 위치한 온도감지기가 찬 용액으로 인한 혈액의 온도변화를 감지한다.
◎ 정상범위
: 4~8L/분
(4) 정맥산소포화도검사(SVO₂)
산소 요구와 산소 공급이 균형을 이류는지 알아보는 검사이다. SVO₂는 광섬유가 달린 폐동맥 카테터로 측정한다.
(5) 전신성 동맥내압검사
동맥내압은 동맥 내에 카테터를 삽입하여 동맥압을 측정하는 것으로 중환자에게 직접적이고, 계속적으로 혈압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11. 임피던스 심장검사(Impedence cardiography, ICG)
혈액역동검사와 달리, 임피던스 심장검사는 유연하고, 빠른 비침습적 감시체계로 4개의 ICG 전극, 4개의 심전도 전극, 휴대용 ICG 모니터로 구성괴어 있다. ICG는 심장에 흐르는 전류의 총 저항을 측정한다. 심부전, 심한외상, 수액요법 등을 받는 대상자를 사정하고, 계획을 수립하여며 치료계획을 개별화하는데 ICG를 사용할 수있다. 또한 좌심실의기능(심박출량, 심장지수), 전부하, 후부하, 심장 수출력 등을 측정할 수 있다.
Ⅱ. MI의 치료법
1) 경피적 관상동맥 확장술 (percutaneous transluminar coronary angioplasty : PTCA)
① 심도자를 이용하여 협착 및 폐쇄된 관상동맥 내로 카테터를 삽입한 후 재 확장을 시도 하는 관상동맥 질환에 유용한 비 수술적 요법
② 개흉을 하지 않기 때문에 입원기간이 2~3일 정도로 짧고 성공률도 높기 때문에 최근 적응증이 확대되어 협심증의 기간이 짧고 단일 관상동맥 협착증의 대상자뿐만 아니라 다혈관 질환, 3개월 미만의 완전 혈관 폐색, 증상이 경하거나 없는 환자에서도 운동부 하 검사나 핵의학 검사에서 객관적인 심근허혈의 소견이 있는 환자, 급성심근 경색증, CABG 후의 협심증, CABG가 불가능한 고위험 환자, 75세 이상의 고령자에게 쓰임
③ 방법
대퇴동맥이나 쇄골하동맥을 통하여 전극유도 카테터를 형광투시하에 관상동맥입구에 삽 입한 후 헤파린 5,000unit을 전신에 투여하고 확장 카테터를 계속 형광투시하면서 협착 된 관상동맥 내로 정확히 삽입한 후에 풍선에 압력을 가해 부풀리어 협착된 관상동맥을 확장시킴
④ 확장성공률이 높은부위 : 좌측 전 하행 관상동맥, 우관상동맥, 회선동맥 등
⑤ PTCA 성공 후 문제점 : 재협착
수술 후 3~6개월 내 → 협착률 높음,
수술 후 3~6개월 후 → 협착률의 빈도가 감소
⑥ 간호 :
- PTCA 수술한 환자 : 1~2일 정도 중환자실에 입원하여 모니터링
- 수술 후에는 심장압전, 심부정맥, 출혈 및 혈종이 생길 수 있으며 특히 도관 삽입부위 의 혈전형성을 예방하기 위한 간호 관리
- 시술 후 확장풍선을 제거한 후에도 유도도관은 혈전예방을 위해 약 24시간 후에 제거 하며 상처부위는 모래주머니로 압박드레싱
- 수술한 다리는 움직임 없는 상태 유지
- 재협착을 예방 :
항 혈소판제 (아스피린), 혈관이완제 (dipyridamole (persantin)) 장기 처방
⑦ PTCA의 가장 큰 문제인 급성 관상동맥 폐쇄와 재협착 :
혈관 내 금속 스탠트 삽입술, 죽종절제술, 레이저 혈관성형술 등의 보조기구 사용
2) 관상동맥 우회술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 CABG)
① 허혈성 심질환 환자에게 심근에 혈류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심근 재 혈관화 수술을 실시 하는 방법으로 수술 전에 정확한 병소와 협착 부위를 확인하기 위하여 관상동맥 조영술 이 시행
② 적응증 : 좌측 주관상동맥이 60% 이상 협착을 보일경우, 좌우 관상동맥의 주 가지인 3 개의 혈관의 70% 이상 협착이 있는 경우, 중등도 이상의 협심증이나 심근허 혈이 유발되는 경우, PTCA 시술 중에 올 수 있는 응급상황에 대비하여 CABG 수술을 준비할 때
③ 심근 재 혈관화 수술방법 :
대동맥과 관상동맥간 우회술 (aortocoronary bypass graft : ACB)로서 상행대동 맥과 병변이 있는 관상동맥 하부에 한자의 혈관을 떼어 직접 연결해주는 자가혈관 이식 수술 방법으로 복재정맥, 내유동맥, 대퇴동맥, 요골동맥, 위 대망동맥 사용
④ 대복재정맥을 사용한 재 혈관화 수술이 보편화되어 있으나 폐쇄율이 있고, 내유동맥으 로 시행한 CABG는 동맥경화성 병변이 적어 장기간의 생존율이 높기 때문에 최근 많이 시행되나 내유동맥은 수량(좌우 2개)과 길이의 제한, 특히 여자에서는 길이가 짧고 크 기가 작으며 혈관박리에도 시간이 걸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음
⑤ 복재정맥 이식술 :
수술 전 날에 수술부위 피부 준비로 미리 확보해 둔 환자의 복재정맥을 다리 안쪽으로 절개하여 약 20cm정도 절제한 후 상행대동맥 근위부와 협착된 관상동맥의 원위부와 연결하여 심근 순환을 증진시켜주는 자가 혈관이식술
⑥ 내유동맥 이식술 :
혈관을 절제하지 않고 병변이 있는 관상동맥 원위부까지 끌어당겨 연결하는 이식술
※ 참고문헌
- 전시자외(2001) 성인간호학 상 2, 현문사
- 서문자외(2004) 성인간호학 하 Ⅰ 수문사
추천자료
아동 의학용어
관상동맥질환
동맥관 개존증 (Patent Ductus Arteriosus, PDA) 특수질환아 이론적 고찰
[성인병] 성인병 예방하기
응급약물(용량과 방법 작용 적응증 부작용 금기)
[맥관계질환]성인간호학, 동맥계 정맥계 림프계 질환
울혈성신부전(Congestive heart failure) 컨퍼런스
[의학] 뇌졸중 환자의 간호
내부기관장애의 유형별 특성에 대해 기술
내과, 신경내과에서 기본적으로 주로 시행하는 각종검사
협심증(angina pectoris) -1) 원인과 병태생리 2) 협심증의 형태 3) 안정형 협심증의 증상과 ...
CAG 관상동맥 조영술, PTCA 경피적 관상동맥 성형술 A+
심실빈맥, 심실세동 및 응급약물
[간호] 동맥경화증 의 양·한방 치료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