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목적
3. 실험기구 및 시약
4. 실험방법
5. 실험결과
6. 실험결과
2. 실험목적
3. 실험기구 및 시약
4. 실험방법
5. 실험결과
6. 실험결과
본문내용
28
29
DO 농도(mg/L)
8.42
8.41
8.41
8.41
8.41
8.41
8.41
8.4
8.41
8.41
시간에 따른 DO 농도의 변화
Linear regression of the data
각 실험의 KLa값 계산(eq : ln[(Cs-C0)/(Cs-Ct)]=KLa(t-t0)
구 분
①번 실험
②번 실험
③번 실험
KLa
0.201
0.355
0.561
토 의
- 염도가 없을 경우의 물에 대한 산소의 용해도 값을 찾아본 결과 24℃에서 8mg/L로 나와있습니다.(탄혜수자원 연구소) ①, ②, ③번 실험의 결과값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DO의 농도가 8.40mg/L로 나온 것을 알 수 있습니다. 8.40mg/L 내외에서 더 이상의 용존산소(DO)가 녹아들어가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문헌값(8mg/L)과 실험값(8.40mg/L)가 어느정도 일치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①, ②, ③번의 실험에서 KLa값을 비교해보면, ①번과 ②번 실험에서의 조건에서 임펠라의 조건은 동일한 가운데 에어레이터의 대수를 늘림으로써 용존산소가 더 빨리 녹아들어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은 실험목적에서 기술한바와 같이, 믹싱에 의한 Turbulance 효과가 일어나 용존산소가 더 빨리 녹아들어가게 됨을 알 수 있습니다. ②번과 ③번 실험을 비교해보면, 혼합속도의 차이에 의해서 용존산소가 녹아들어가는 차이를 알 수 있는데, 임펠라의 속도가 빠를수록 녹아들어가는 용존산소의 속도가 빠른 것을 측정한 결과값을 통해서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에어레이터의 개수와 임펠라의 속도에 의해 용존산소(DO)는 물속에 빠르게 녹아들어감을 알 수 있다.
이번 실험을 통해서 DO 농도변화나 Linear regression of the data의 결과값을 살펴보면, 초기의 결과값에서의 오차를 보이는데 이는 실험이 끝난 후 DO를 제거하기 위해 약품을 투입하는 과정에서 DO값이 0이 된 후에 실험을 했어야 했는데, 시간에 쫓겨서 하다보니 DO값이 완전히 0이 되지못한 상태에서 실험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차이가 초기 DO농도 변화의 불안정한 값을 나타내는 것 같습니다. 또한, 임펠라가 DO Meter에 닿아서 DO의 농도를 나타내는 과정에서 급격한 DO 농도변화를 보여주었던 것 같습니다.
다음에 또 Gas Transfer로 DO농도를 측정하게 된다면, 시간을 갖고 실험에서 보여주었던 오차를 줄일 수 있도록 해야할 것입니다.
29
DO 농도(mg/L)
8.42
8.41
8.41
8.41
8.41
8.41
8.41
8.4
8.41
8.41
시간에 따른 DO 농도의 변화
Linear regression of the data
각 실험의 KLa값 계산(eq : ln[(Cs-C0)/(Cs-Ct)]=KLa(t-t0)
구 분
①번 실험
②번 실험
③번 실험
KLa
0.201
0.355
0.561
토 의
- 염도가 없을 경우의 물에 대한 산소의 용해도 값을 찾아본 결과 24℃에서 8mg/L로 나와있습니다.(탄혜수자원 연구소) ①, ②, ③번 실험의 결과값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DO의 농도가 8.40mg/L로 나온 것을 알 수 있습니다. 8.40mg/L 내외에서 더 이상의 용존산소(DO)가 녹아들어가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문헌값(8mg/L)과 실험값(8.40mg/L)가 어느정도 일치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①, ②, ③번의 실험에서 KLa값을 비교해보면, ①번과 ②번 실험에서의 조건에서 임펠라의 조건은 동일한 가운데 에어레이터의 대수를 늘림으로써 용존산소가 더 빨리 녹아들어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은 실험목적에서 기술한바와 같이, 믹싱에 의한 Turbulance 효과가 일어나 용존산소가 더 빨리 녹아들어가게 됨을 알 수 있습니다. ②번과 ③번 실험을 비교해보면, 혼합속도의 차이에 의해서 용존산소가 녹아들어가는 차이를 알 수 있는데, 임펠라의 속도가 빠를수록 녹아들어가는 용존산소의 속도가 빠른 것을 측정한 결과값을 통해서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에어레이터의 개수와 임펠라의 속도에 의해 용존산소(DO)는 물속에 빠르게 녹아들어감을 알 수 있다.
이번 실험을 통해서 DO 농도변화나 Linear regression of the data의 결과값을 살펴보면, 초기의 결과값에서의 오차를 보이는데 이는 실험이 끝난 후 DO를 제거하기 위해 약품을 투입하는 과정에서 DO값이 0이 된 후에 실험을 했어야 했는데, 시간에 쫓겨서 하다보니 DO값이 완전히 0이 되지못한 상태에서 실험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차이가 초기 DO농도 변화의 불안정한 값을 나타내는 것 같습니다. 또한, 임펠라가 DO Meter에 닿아서 DO의 농도를 나타내는 과정에서 급격한 DO 농도변화를 보여주었던 것 같습니다.
다음에 또 Gas Transfer로 DO농도를 측정하게 된다면, 시간을 갖고 실험에서 보여주었던 오차를 줄일 수 있도록 해야할 것입니다.
키워드
추천자료
농업생명공학연구원(KACC)을 견학하고
생명공학 발전에 따른 미래 전망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에 대한 이해 )
생명공학과 화학공학이 접목된 연구분야 조사
[로봇][로보트][기계][로봇(로보트, 기계)시스템][산업용로봇(로보트, 기계)][로봇공학기술자...
생명공학 관련된 책을 읽고,,
[생명][생명 기원][생명 본질][생명 인식][생명 존재][생명기술][생명공학][생명복제]생명의 ...
[생명][생명탄생][생명기원][생명과학][생명공학]생명의 정의, 생명의 특성, 생명의 탄생, 생...
생물공학기본요약정리
[A+] [공학윤리사례] PG&E사 크롬유출 및 은폐사건 - 에린 브로크비치, PG&E사의 공...
[기술개발, 농업생명공학, 동물복제, 연구개발활동, 전자상거래]기술개발과 농업생명공학, 기...
[공학] 국내 산업공학의 현황 (강원도지역 대학)
[인간공학human engineering] 모 선박용 디젤엔진 제조업체 들기작업의 인간공학 위험요인 평가
유전학이나 유전공학의 발달로 앞으로 제기될 수 있는 도덕적 문제는 무엇인가? [유전공학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