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수학지도를 위한 활용
(1) 수학적 개념의 지도
(2) 문제 해결을 위한 응용
※수학지도 활용법※
(1) 수학적 개념의 지도
(2) 문제 해결을 위한 응용
※수학지도 활용법※
본문내용
·계산기능의 학습 : 합당한 답을 계산할 수 있도록 연습
·연습과 일반화 : 아동이 해답을 구하면 그 문제를 검증하고, 다른 숫자로 비슷한 문 제를 내어 일반화시킴.
⑩ 시간
·시간학습의 유용한 방법 : 실제 시계나 교사가 제작한 시계를 직접 사용, TV프로그램 시 간표사용, 학습활동을 이용하고 시간과 관련시키기
·시간학습지도의 계열
시간(1:00) - 반시간(4:30) - 15분(7:15) - 5분 간격(2:25) - 시간의 전후 - 분 간격- 초
⑪ 화폐 : 실제 돈이나 거래와 같은 장면을 활용
예) 상점놀이하고 돈 교환하기, 식당차림표를 보고 음식을 주문하고 계산에 맞게 지불하기
※수학지도 활용법※
1. 일반적으로 경도장애아들은 산수학습에 심한 장애가 있고, 일부 학습장애아는 수학에 강 점을 보여주기도 한다.
2. 공간적 관계, 운동과 시지각 문제, 방향 및 시간감각, 구어문제와 읽기장애, 기억력 부족 등은 정신지체아 수학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특징들이다.
3. 산수지도에 대한 기본적인 방향은 현대수학 운동에서부터 문제해결에 대한 인지능력에 관심을 가지고 컴퓨터 기술사용으로 특징지어지는 시대로 변화하고 있다.
4. 수학 교육과정의 내용은 계열적이다. 수학에서 각각의 요소는 각각 상이한 학년 수준에 서 가르쳐진다.
5. 수학지도의 원칙은 다음과 같다.
·아동은 수학학습에 대한 준비성과 수에 대한 기초개념이 있어야 한다.
·아동은 학습된 개념을 일반화 하는 것을 학습해야 한다.
·수업은 구체적인 것에서 추상적인 것으로 나아가야 한다.
·연습과 검토가 충분히 제시되어야 한다.
·교사는 아동의 강점과 약점을 고려하여 교수한다.
·교수는 확고한 수학적 기능의 기반과 개념을 정립시켜야 한다.
·균형 잡힌 수학 프로그램이 계획되어야 하고 개념, 기능 및 문제해결을 위한 교수가 포 함 되어야 한다.
6. 교사에게는 수학적 개념, 기능 및 문제해결을 위한 다양한 교수전략이 요구된다.
7. 수학학습에서는 세 가지 학습이론인 발달적 학습계열, 완전학습, 인지적 학습전략 및 정 보처리과정 등이 기본적인 수학수업의 기초를 제시하고 있다.
8. 아동의 수학능력은 비형식적 검목표, 작업에 대한 오류분석, 표준화 조사검사 개인적 임 상검사를 통해 평가된다.
9. 학습장애아의 수학지도에 도움 될 유용한 테크놀러지
┎전자계산기 : 훈련과 자기검검과 같은 기본적 법칙을 계산하는데 사용
┖소형컴퓨터 : 수학문제훈련과 연습을 전개
·연습과 일반화 : 아동이 해답을 구하면 그 문제를 검증하고, 다른 숫자로 비슷한 문 제를 내어 일반화시킴.
⑩ 시간
·시간학습의 유용한 방법 : 실제 시계나 교사가 제작한 시계를 직접 사용, TV프로그램 시 간표사용, 학습활동을 이용하고 시간과 관련시키기
·시간학습지도의 계열
시간(1:00) - 반시간(4:30) - 15분(7:15) - 5분 간격(2:25) - 시간의 전후 - 분 간격- 초
⑪ 화폐 : 실제 돈이나 거래와 같은 장면을 활용
예) 상점놀이하고 돈 교환하기, 식당차림표를 보고 음식을 주문하고 계산에 맞게 지불하기
※수학지도 활용법※
1. 일반적으로 경도장애아들은 산수학습에 심한 장애가 있고, 일부 학습장애아는 수학에 강 점을 보여주기도 한다.
2. 공간적 관계, 운동과 시지각 문제, 방향 및 시간감각, 구어문제와 읽기장애, 기억력 부족 등은 정신지체아 수학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특징들이다.
3. 산수지도에 대한 기본적인 방향은 현대수학 운동에서부터 문제해결에 대한 인지능력에 관심을 가지고 컴퓨터 기술사용으로 특징지어지는 시대로 변화하고 있다.
4. 수학 교육과정의 내용은 계열적이다. 수학에서 각각의 요소는 각각 상이한 학년 수준에 서 가르쳐진다.
5. 수학지도의 원칙은 다음과 같다.
·아동은 수학학습에 대한 준비성과 수에 대한 기초개념이 있어야 한다.
·아동은 학습된 개념을 일반화 하는 것을 학습해야 한다.
·수업은 구체적인 것에서 추상적인 것으로 나아가야 한다.
·연습과 검토가 충분히 제시되어야 한다.
·교사는 아동의 강점과 약점을 고려하여 교수한다.
·교수는 확고한 수학적 기능의 기반과 개념을 정립시켜야 한다.
·균형 잡힌 수학 프로그램이 계획되어야 하고 개념, 기능 및 문제해결을 위한 교수가 포 함 되어야 한다.
6. 교사에게는 수학적 개념, 기능 및 문제해결을 위한 다양한 교수전략이 요구된다.
7. 수학학습에서는 세 가지 학습이론인 발달적 학습계열, 완전학습, 인지적 학습전략 및 정 보처리과정 등이 기본적인 수학수업의 기초를 제시하고 있다.
8. 아동의 수학능력은 비형식적 검목표, 작업에 대한 오류분석, 표준화 조사검사 개인적 임 상검사를 통해 평가된다.
9. 학습장애아의 수학지도에 도움 될 유용한 테크놀러지
┎전자계산기 : 훈련과 자기검검과 같은 기본적 법칙을 계산하는데 사용
┖소형컴퓨터 : 수학문제훈련과 연습을 전개
키워드
추천자료
학습장애의 정의,원인,체제, 학습장애아에 대한 일반아동의 태도, 학습장애아의 부적응행동, ...
[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제 6회차. 기술교육의 교육자료 및 시설의 구성
교수법(교수 학습 지도법, 교수학습 유형)의 여러 종류
2011년 2학기 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기말시험 핵심체크
교재연구및지도법 - 6장.교재 ․ 교구의 선정과 제작
교재연구및지도법 - 2장.교재 ․ 교구의 이해
2013년 2학기 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기말시험 핵심체크
중1) <(과학) 지구과학교재 연구 및 지도법, 수업지도안> Ⅲ. 지각의 물질 1. 광물과 암석 (4)...
2014년 2학기 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4년 2학기 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5년 2학기 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6년 2학기 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6년 2학기 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2017년 2학기 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