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우리나라 정보기관
미국 정보기관
러시아 정보기관
영국 정보기관
프랑스 정보기관
이스라엘 정보기관
일본 정보기관
독일 정보기관
이탈리아 정보기관
중국 정보기관
미국 정보기관
러시아 정보기관
영국 정보기관
프랑스 정보기관
이스라엘 정보기관
일본 정보기관
독일 정보기관
이탈리아 정보기관
중국 정보기관
본문내용
RO와는 달리 위성이 아닌 항공기를 이용하여 정보를 수집합니다.
<4>프랑스
1.DGSE(대외안보총국):군 정보기관이 따로 있음에도 불구하고 순수한 민간신분의 정보기관은 아닙니다. 직원들이 미국의 NSA처럼 군과 민간인이 섞여 있으며 국장은 주로 군 장성이 맡습니다.
2.DST(국토감시청):프랑스 내무부 휘하라는 점이 특이하며 영국의 SS처럼 국내에서 활동하는 외국 첩보요원을 상대하는 국내 담당 방첩기관입니다.
3.NDF(국가방위국):미국의 NRO와 DIA를 합친 기관입니다. 항공정찰기를 이용하여 사진정보도 수집하고 미국의 KH-11위성에 버금가는 SAMPO위성등을 이용해 영상정보를 수집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인적자원을 이용하는 정보수집도 하고 있습니다.
4.GCR(무선통신단):이름에서 풍기듯이 통신정보를 수집하는 임무를 하고 있습니다.
<5>이스라엘
1.모사드:인적자원을 이용하여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않고 정보수집과 공작을 하는 기구이며 총리 직속입니다.
2.SHIN BETH:모사드가 밖에서 활동을 하는 기관이면 신베스는 국내에서 방첩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3.AMAN:군관련 정보기관을 수집하는 국방부소속의 기관입니다.
<6>일본
1.내각조사실:총리 직속으로 보통 200명 안팎의 인원이 근무하는것으로 보이나 해외주제의 기자나 교수, 학생, 민간기업의 직원들로부터 정기적이고, 심지어는 군관련 정보까지도 수집하고 있습니다.CIA 비스무리한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2.PSIA(공안 감사청):일본 국내의 방첩업무를 담당하며 특히 일본내의 한국인 그 중에서도 조총련계의 활동에 지대한 관심을 갖는 기관입니다.
3.군관련기관은 육해공별로 각기 운영하며 육자대 막료장 휘하에 조사부가 있고 이 조사부 2과가 신호정보를 수집하는 임무를 하고 있습니다. 영상정보는 항공자위대의 정찰기에 의존하고 있으며 몇일전에 한반도 전역을 24시간 감시할 수 있는 첩보위성 4개를 한꺼번에 쏘아올리려다 로켓에 문제가 생겨 자폭시킨일도 있습니다.
<7>독일
1.BND(연방보안국):CIA처럼 해외 정보를 수집하고 공작을 담당합니다.
2.BfV(연방헌법수호청):국내 방첩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3.AFNB(연방군정보부):군사관련 정보기관 입니다.
4.AFMBW(통신감청국):신호 정보를 수집하는 기관입니다.
<8>이탈리아
1.SISDE(민주보안첩보국):우리나라의 국정원처럼 국내와 국외에서의 활동을 다 하고 있습니다. 소속은 내무부 장관의 지휘감독을 받고 있는 점도 특이합니다.
2.SISMI(군사보안 첩보국):군정보기관이면서도 경제, 정치 관련 첩보를 수집하는 임무도 갖고 있습니다.
<9>중국
1.ILD(국제연락부):해외에서 중국의 국익을 위해 활동을 하는 기관으로 제3세계 국가에서 중국식 공산주의 정권을 세우기 위한 군사공작도 서슴치 않게 하는 기관입니다.
2.UFWD(통일전선 사업부):해외에서 활동을 하는것은 ILD와 같지만 부여받은 임무는 해외에 거주하는 중국의 화교들을 상대로 공작 활동을 합니다.
3.MSS(국가안전부):국내의 방첩업무를 하며 해외의 다른 방첩기관과는 달리 국내의 반체제 인사에대한 정보수집과 일종의 비밀경찰의 임무도 수행을 합니다.(중국의 공안과는 틀립니다. 공안은 중국의 경찰을 일컫는 말입니다.)
4.MID(군사정보부):군사정보수집을 주임무로 하는 기관입니다.
5.기술부:중국의 위성을 이용하여 통신과 영상정보를 다 수집하는 기관입니다.
6.NCNA:우리가 신화사 통신이라는 이름으로 알고 있는 기관입니다. 공산독재체제인만큼 언론의 자유가 없으며 이런 언론기관을 이용하여 반체제인사에 대한 정보수집과 첩보활동을 하는것도 특이한 점입니다.
<4>프랑스
1.DGSE(대외안보총국):군 정보기관이 따로 있음에도 불구하고 순수한 민간신분의 정보기관은 아닙니다. 직원들이 미국의 NSA처럼 군과 민간인이 섞여 있으며 국장은 주로 군 장성이 맡습니다.
2.DST(국토감시청):프랑스 내무부 휘하라는 점이 특이하며 영국의 SS처럼 국내에서 활동하는 외국 첩보요원을 상대하는 국내 담당 방첩기관입니다.
3.NDF(국가방위국):미국의 NRO와 DIA를 합친 기관입니다. 항공정찰기를 이용하여 사진정보도 수집하고 미국의 KH-11위성에 버금가는 SAMPO위성등을 이용해 영상정보를 수집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인적자원을 이용하는 정보수집도 하고 있습니다.
4.GCR(무선통신단):이름에서 풍기듯이 통신정보를 수집하는 임무를 하고 있습니다.
<5>이스라엘
1.모사드:인적자원을 이용하여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않고 정보수집과 공작을 하는 기구이며 총리 직속입니다.
2.SHIN BETH:모사드가 밖에서 활동을 하는 기관이면 신베스는 국내에서 방첩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3.AMAN:군관련 정보기관을 수집하는 국방부소속의 기관입니다.
<6>일본
1.내각조사실:총리 직속으로 보통 200명 안팎의 인원이 근무하는것으로 보이나 해외주제의 기자나 교수, 학생, 민간기업의 직원들로부터 정기적이고, 심지어는 군관련 정보까지도 수집하고 있습니다.CIA 비스무리한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2.PSIA(공안 감사청):일본 국내의 방첩업무를 담당하며 특히 일본내의 한국인 그 중에서도 조총련계의 활동에 지대한 관심을 갖는 기관입니다.
3.군관련기관은 육해공별로 각기 운영하며 육자대 막료장 휘하에 조사부가 있고 이 조사부 2과가 신호정보를 수집하는 임무를 하고 있습니다. 영상정보는 항공자위대의 정찰기에 의존하고 있으며 몇일전에 한반도 전역을 24시간 감시할 수 있는 첩보위성 4개를 한꺼번에 쏘아올리려다 로켓에 문제가 생겨 자폭시킨일도 있습니다.
<7>독일
1.BND(연방보안국):CIA처럼 해외 정보를 수집하고 공작을 담당합니다.
2.BfV(연방헌법수호청):국내 방첩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3.AFNB(연방군정보부):군사관련 정보기관 입니다.
4.AFMBW(통신감청국):신호 정보를 수집하는 기관입니다.
<8>이탈리아
1.SISDE(민주보안첩보국):우리나라의 국정원처럼 국내와 국외에서의 활동을 다 하고 있습니다. 소속은 내무부 장관의 지휘감독을 받고 있는 점도 특이합니다.
2.SISMI(군사보안 첩보국):군정보기관이면서도 경제, 정치 관련 첩보를 수집하는 임무도 갖고 있습니다.
<9>중국
1.ILD(국제연락부):해외에서 중국의 국익을 위해 활동을 하는 기관으로 제3세계 국가에서 중국식 공산주의 정권을 세우기 위한 군사공작도 서슴치 않게 하는 기관입니다.
2.UFWD(통일전선 사업부):해외에서 활동을 하는것은 ILD와 같지만 부여받은 임무는 해외에 거주하는 중국의 화교들을 상대로 공작 활동을 합니다.
3.MSS(국가안전부):국내의 방첩업무를 하며 해외의 다른 방첩기관과는 달리 국내의 반체제 인사에대한 정보수집과 일종의 비밀경찰의 임무도 수행을 합니다.(중국의 공안과는 틀립니다. 공안은 중국의 경찰을 일컫는 말입니다.)
4.MID(군사정보부):군사정보수집을 주임무로 하는 기관입니다.
5.기술부:중국의 위성을 이용하여 통신과 영상정보를 다 수집하는 기관입니다.
6.NCNA:우리가 신화사 통신이라는 이름으로 알고 있는 기관입니다. 공산독재체제인만큼 언론의 자유가 없으며 이런 언론기관을 이용하여 반체제인사에 대한 정보수집과 첩보활동을 하는것도 특이한 점입니다.
추천자료
한국의 정보화 사회의 특징과 세계 정보사회의 특성에 대하여
한국의 지역정보화정책
한국과 싱가포르의 정보화 발전
금융기관의 기능과 분류 및 종류 한국은행
[경영학]한국 중소기업 정보화의 문제점 및 성공요인
[정보화사회][정보사회][미국 정보화 사례][정보통신기술][정보화사회 전망]정보화사회(정보...
[정보화사회][정보사회][정보통신기술]정보화사회(정보사회) 양극성, 정보화사회(정보사회) ...
한국과 일본의 개인정보보호 비교
[ICT][정보통신기술]미국과 영국의 정보통신기술교육정책(ICT), 프랑스와 싱가폴의 정보통신...
미국과 영국의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싱가폴과 호주의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캐...
금융기관역할과 규제필요성,금융기관위기,금융시장문제점,미국금융기관의파산,미국과한국경제
[중소기업지원기관][KOTRA][대한상공회의소][은행]중소기업지원기관 은행, 중소기업지원기관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환경정보공개제도 및 환경정보공개시스템 개선 및 발전방안 개념 및 배...
(한국산업의이해 C형) 한국의 정보통신산업에 관해 논하시오 [통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