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시민운동’과‘지역운동’
2. 지역의 현실과 문제의식
3. 지역운동의 과제
2. 지역의 현실과 문제의식
3. 지역운동의 과제
본문내용
산제는 다른 일상적 참여제도와 달리 일상적이면서 휘발성이 큰 변화를 몰고올 수 있는 획기적 제도임에도, 이 제도의 도입, 효과 등을 둘러싼 도드라진 파급이 없다는 것은 문제임.
○ 사회통합 의제발굴과 사회적 합의모델 창출
- 정치적 수사로 변질된 지역사회 통합을 의제적 차원에서 접근하고 공론화시켜야 함.
(통합의 원인으로서 ‘갈등’의 잠재적, 구조적 요인에 대한 문제제기와 정책적 처방)
ex. 결혼이민자 등 외국인참여, 지역 형 생활 최저선 확보 등
- 개혁추동자인 동시에 갈등중재자로서 시민운동의 ‘위상 충돌’을 현안에 대한 현안해결이라는 목표와 사회적 합의라는 과정을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활동의 상을 마련해야.
○ ‘새로운 연대’
- 각종 사안을 매개로 한 시민사회단체 연대는 관성화 돼 있다는 비판 외로, 더 이상 당위적 차원에서 진행될 수 없는 운동진영 간, 부문운동 간 논쟁점들이 점증하고 있음. 그럼에도 이에 대한 합리적 논쟁이 보장되지 않음.
- 따라서 ‘운동’적 당위와 조직주의에 경도된 연대운동을 21세기적 가치(생태적 평등, 평화, 사회연대)를 전면화한 네트워크형 연대로 재구조화 하는 문제를 지역운동차원에서 접근.
목표에 기반한 공동행동 → 자율성에 기반한 가치의 공유 (가치 연대)
‘느슨함’과 ‘공고함’을 넘어선 자율과 책임연대 (학습연대)
조직화된 단체연대 → 개인의 연대 (활동가 의사네트워크)
도덕적 우월주의, 가치일방주의, 획일적 보편주의에서 ‘겸손한 적극주의’
“스스로를 바꾸는 것이 다른 사람을 도울 수 있는 가장 좋은 길이다”
정서적 공유를 기반으로 한 블록화 (코드 연대)
○ 사회통합 의제발굴과 사회적 합의모델 창출
- 정치적 수사로 변질된 지역사회 통합을 의제적 차원에서 접근하고 공론화시켜야 함.
(통합의 원인으로서 ‘갈등’의 잠재적, 구조적 요인에 대한 문제제기와 정책적 처방)
ex. 결혼이민자 등 외국인참여, 지역 형 생활 최저선 확보 등
- 개혁추동자인 동시에 갈등중재자로서 시민운동의 ‘위상 충돌’을 현안에 대한 현안해결이라는 목표와 사회적 합의라는 과정을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활동의 상을 마련해야.
○ ‘새로운 연대’
- 각종 사안을 매개로 한 시민사회단체 연대는 관성화 돼 있다는 비판 외로, 더 이상 당위적 차원에서 진행될 수 없는 운동진영 간, 부문운동 간 논쟁점들이 점증하고 있음. 그럼에도 이에 대한 합리적 논쟁이 보장되지 않음.
- 따라서 ‘운동’적 당위와 조직주의에 경도된 연대운동을 21세기적 가치(생태적 평등, 평화, 사회연대)를 전면화한 네트워크형 연대로 재구조화 하는 문제를 지역운동차원에서 접근.
목표에 기반한 공동행동 → 자율성에 기반한 가치의 공유 (가치 연대)
‘느슨함’과 ‘공고함’을 넘어선 자율과 책임연대 (학습연대)
조직화된 단체연대 → 개인의 연대 (활동가 의사네트워크)
도덕적 우월주의, 가치일방주의, 획일적 보편주의에서 ‘겸손한 적극주의’
“스스로를 바꾸는 것이 다른 사람을 도울 수 있는 가장 좋은 길이다”
정서적 공유를 기반으로 한 블록화 (코드 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