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위성개발현황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국내의 위성개발 개요

2. 국내 위성 시스템 개발기관 기술 현황

가.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www.kari.re.kr/total1.htm, 연구성과 참조)

나. 한국전자통신연구소(ETRI) (http://rblab.etri.re.kr, satellite communication 참조)

다. 인공위성연구센터(SATREC) (www.satreci.co.kr/index.htm 참조)

라. 한국항공우주산업(KAI) (www.kaispace.com/index02.html 참조)

마. 대한한공 (www.aerospace.re.kr/sub1/condition_2.html 참조)

바. 두원중공업 (www.doowonhi.com/aerospac.htm# 참조)

사. 한화 및 Space Technology (구 한라중공업)

아. 하이게인안테나 (www.highgain.co.kr/products.htm 참조)

자. KoSpace (구 현대전자산업) (www.kospace.com/korean, 제품소개 참조)

차. 한국통신 (www.kosat.com 참조)

3. 국내 위성개발 관련 기반시설의 현황

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http://sitc.kari.re.kr 참조)

나.한국전자통신연구소(ETRI)

다. 국내 위성개발 참여업체 보유 기반시설

본문내용

험설비는 인공위성을 비롯한 우주비행체의 개발에 필수적인 조립, 성능시험 및 환경 시험시설과 기술확보를 목표로 한다. 현재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인공위성 조립, 시험센타를 보유하고 있으며 위성개발 관련업체별로 각 서브시스템에 필요한 시험시설 및 조립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기반시설을 적극 활용하고 추가로 필요한 개발환경은 구축하거나 또는 국외 공동연구기관을 활용한다.
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http://sitc.kari.re.kr 참조)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다목적 실용위성의 개발을 수행하기 위하여 국내최초로 설치된 인공위성 조립 및 시험센터(SITC, Satellite Integration & Test Center)를 보유하고 있다. 다목적실용위성의 개발을 지원하기 위하여 1996년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내에 설치된 국내 유일의 우주비행체 조립 및 시험시설이다. 이 시설은 위성체 부품 및 시스템의 신뢰도를 보장하기 위한 시설로 위성체 조립시 10,000 class의 청정도를 유지하며, Theodolite를 이용한 정밀조립대, 최대 3.5톤급까지의 위성체에 대한 진동 및 질량특성 측정시험 시설, 우주궤도 환경을 모사하기 위한 열진공시험시설, EMI/EMC시험시설 등의 설비를 보유하고 있다. 현재 이곳에서는 지구 관측위성, 과학위성, 통신방송위성, 발사체 및 항공기 등과 같은 항공우주분야 개발은 물론 산.학.연 공동연구를 통한 국내 환경시험분야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1) 우주시험동
우주시험 분야의 연구는 인공위성을 비롯한 우주비행체의 개발에 필수적인 조립, 성능시험 및 환경 시험시설과 기술확보를 목표로 한다. 우주시험동은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하나의 건물내에서 인공위성의 정밀조립, 측정, 시험 및 우주환경과 지상모사를 수행할 수 있는 종합 환경시험 시설이다. 전체 건물면적은 약 10,000m2이고 전체 건물이 100,000이상의 청정조건을 만족한다. 우주시험동은 위성체 조립실, 궤도환경실험실, 발사환경실험실, 전자파 환경실험실로 구성되어 있다.
2) 위성체 조립실 (Satellite Integration Hall)
위성체 조립실은 동시에 두 개의 위성을 조립할 수 있도록 설비되어있다. 청정도(Cleanliness)는 10,000 Class (21.6 × 18m)를 유지하며 optical equipment (7 × 5.5m)에 대하여서는 100 Class의 청정도를 유지한다. 조립설비의 측정 가능한 각정확도(Angular accuracy)는 1/360°이며 위치정확도(Position accuracy)는 50μm 단위까지 측정가능하다.
3) 궤도환경 시험실(Orbit Environment Test Hall)
직경 3.6m에 길이 3m의 대형 열/진공챔버(Thermal/Vacuum Chamber)와 직경 0.7m와 길이 1m의 소형 열/진공챔버를 보유하고 있다. 챔버의 온도범위는 -180。C 에서 +120。C 이고 진공수준은 10-7 Torr 이다.
이외의 시험설비로 Thermal-shock Chamber, Thermal Cycle Chamber, Bake-out Chamber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설비의 제어와 데이터 획득을 위한 Control/Data Acquisition Room이 있다. [그림 18]은 궤도환경 시험실의 전경을 보여주고 있다.
4) 발사환경 시험실(Launch Environment Test Hall)
발사상의 환경을 모사하는 실험실로 수행하는 실험은 Vibration Test와 Mass Property Test가 있다. 이를 위한 설비로는 80kN, 150kN Base Shaking Ststem, Mass Property Measurement M/C 등이 있다. [그림 19]는 발사환경 시험실의 전경을 보여주고 있다.
5) 전자파환경 시험실(EMI/EMC Test Hall)
전자파환경 시험실은 [그림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청정도 10,000 Class를 유지하는 무반사실(Anechoic Chamber, 13(L)×12(W)×7(H)m)을 보유하고 있다. 무반사실의 차폐성능(Shielding Performance)은 다음과 같다. 자기장(magnetic field)에서의 감쇄는 15kHz에서 70dB이상이고 200kHz에서는 90dB이상이다. 전기장(electric field)에서의 감쇄는 200kHz와 50MHz에서 120dB이상이며 평면파(plane wave)에서의 감쇄는 50MHz와 1GHz에서 120dB이상이고 1MHz와 40GHz에서 100dB이상이다.
나.한국전자통신연구소(ETRI)
통신방송위성 탑재체의 설계 및 분석용 소프트웨어로 중계기 서브시스템 설계 툴인 Omnisys를 보유하고 있으며 3차원 CAD 모델링 및 도면 작성 툴인 I-DEAS을 보유하고 있다. 이외에 중계기 열 해석을 위한 Phoenics, CAD 설계 프로그램인 ACAD, 중계기 서브시스템 신뢰도 분석 툴인 Milstress를 보유하고 있다. 시험 및 검증용 하드웨어로 Ka 대역 위성통신 중계기 성능 시험 장비인 EGSE, MGSE와 각 부품 열 시험 장비 및 각종 RF 계측기를 구비하고 있다.
다. 국내 위성개발 참여업체 보유 기반시설
1) 한화
한화에는 아리랑 위성 1호의 추력기와 추진시스템의 조립을 위한 설비를 보유하고 있다. 한화는 청정도 1000 class를 유지하는 청정실과 고가의 추력기 조립장비와 추력기 조립동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추력기의 Hot-fire test를 위한 추력기 연소시험장과 진공챔버를 갖추고 있다.
2) 대한항공
보유설비는 15m×15m 규모의 조립장과 청정실을 보유하고 있다. 시험장비로는 Flatwise Tensial Test와 Insert/Bushing Pull Out Test를 위해 UTM(Universal Test Machine)을 보유하고 있다.
제작장비로는 기계가공을 위한 5축 Milling Machine과 NC Lathe, Band Saw과 판금가공을 위한 Shearing Maching, CNC Sheet Router등을 보유하고 있다. 이외에 접착가공을 위한 대형 Oven과 Autoclave 등이 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1.04.18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81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