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2.. 세계 철강 수급 동향 및 전망
3. 중국의 철강산업 구조와 전망
4. 세계 철강설비능력 및 가동상황
5. 결
2.. 세계 철강 수급 동향 및 전망
3. 중국의 철강산업 구조와 전망
4. 세계 철강설비능력 및 가동상황
5. 결
본문내용
(35.7)
3,840(28.9)
3,230(42.9)
930(▲7.9)
14,820(33.0)
일 본
8,017(7.9)
2,394(▲4.3)
1,414(▲8.9)
513(8.4)
13,214( 2.4)
자료: 일본철강신문, 2004.3
주: ( )안은 전년대비 증가율
□ 2005년에는 2억 톤 돌파 예상
○ 일본철강연맹은 2005년 중국의 조강생산이 2억 5,000만 톤에 이를 것으로 가정하고, 중국의 철광석 수입이 2억 톤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
- 중국철강공업협회는 지난해 9월, 2005년 중국이 조강 2억 5,000만 톤을 생산할 경우 철광석 수입은 1억 8,200만 톤에 이를 것으로 전망한 바 있음
- 그러나 일본철강연맹은 중국은 전력사정이 좋지 않기 때문에 전기로의 비중이 중국 철강협회가 예측한 만큼 늘어나지 않을 것이란 가정 하에 2005년 철광석 수입은 2억 톤에 이를 것으로 추정, 단 수입량의 추정에는 중국 자체 광석의 소비량을 2억 9,000만 톤으로 가정
- 스크랩 또한 2005년경에는 1,000~1,500만 톤 수입될 것으로 추정
○ 중국은 금년 들어 일본을 제치고 세계 최대의 철광석 수입국이 되었으며, 향후 조강생산이 예상대로 증가할 경우 2005년경에는 2억 톤 수준의 철광석 수입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세계적인 철광석 부족사태 우려
<표 14> 2005년 중국의 원료소요량 추정
단위: 백만톤
조강생산
원료 조달
전로제강
215
철광석: 국내 290, 수입 200
전기로제강
35
스크랩: 국내 35~45, 수입10~15
자료: 일본철강연맹, 2003. 12
4. 세계 철강설비능력 및 가동상황
□ OECD 주도의 생산설비 감축
○ 세계철강협회(IISI)에 의하면 2001년말 세계 철강과잉설비는 1억톤~2억톤 규모로 추정
- 2001년 세계 조강생산량은 8억 4,300만톤, 철강재 소비량은 7억 7,200만톤 규모였음
- OECD에 의하면, 2001년 세계 조강생산능력은 10억 7,000만톤 규모로 추정
○ 2002년 4월 제4차 OECD 철강고위급회의에서 미국을 비롯한 한국, 일본, 러시아 등 40개 주요 철강생산국 대표들은 세계 철강산업 및 시장동향을 평가하고 세계 철강문제에 대한 다자차원의 해결방안 모색하기로 합의
- 2001년 철강재 가격이 사상 최저치를 기록하고(<그림 1> 참조), 철강업체들의 어려움이 가중되자 철강설비 감축 등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OECD를 중심으로 논의 개시
- 본 회의에서는 참가국들이 제출한 자료에 따라 1998년~2005년간 총 1억 1,400만톤~1억 2,800만 톤의 설비 감축 계획 합의
· 기간별 감축계획 : 1998~2002년 : 91~95백만톤
2003~2005년 : 23~33백만톤
- 각국의 설비감축 동향에 대해서는 설비감축작업반(Capacity Working Group : GWG)회의를 개최하여 점검토록 함
○ 2003년 6월 제6차 고위급회의에 참석한 회원국들은 1998년~2002년 사이에 1억 500만 톤의 설비를 폐쇄되었음을 확인하고, 향후 2003년~2005년 사이에 3,600만 톤 추가폐쇄 논의
- 이러한 설비폐쇄는 세계적인 과잉설비규모가 적정선으로 줄어드는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
- 그러나 각국의 대표들은 세계철강소비가 빠른 속도로 늘어나면서 적정 설비규모에 근접하면서, 소비규모와 적정 설비규모간의 간격이 좁아지고 있는데 주목
<그림 1> 유럽 강재 수출가격 추이
자료: Metal Bulletin
□ 중국의 수요급증으로 공급부족 우려
○ OECD 주도로 비효율 설비가 폐쇄되면서 수급이 거의 균형상태에 이를 시점에 중국의 예상을 뛰어넘는 급속한 수요 증가로 세계 철강업계는 공급부족현상마저 대두
- 세계 철강공급능력은 2001년 10억 700만 톤에서 약 1억 톤이 삭감된 반면 중국, 인도, 브라질 등이 일부 신증설을 추진하였으므로 이를 감안하더라도 전세계 조강생산능력은 10억 톤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추정
- 지난 해 세계 조강생산능력이 9억 4,500만 톤이었으므로 세계 철강설비 가동률은 매우 높은 상태에 있는 것으로 추정
○ 한편, 중국, 일본, 한국, 대만 등 동북아 지역의 조강설비도 거의 완전 조업 상태
- 중국과 대만은 설비능력 이상의 생산이 계속되고 있고, 일본과 우리나라의 경우도 보수, 휴지 또는 폐쇄 설비를 제외할 경우 거의 완전가동 상태라고 할 수 있음.
<표 15> 동북아 4국의 조강생산 및 생산능력
단위: 천톤
생 산
생산능력
2000
2001
2002
2003
중 국
126,316
141,392
181,688
220,115
148,930
일 본
106,444
102,863
107,745
110,510
132,403
한 국
43,107
43,851
45,390
46,306
48,883
대 만
16,842
17,078
18,230
18,903
17,566
자료: World Steel Dynamics, Core Report, 2002. 2
IISI Crude Steel Production, 각년호
각종 자료 참조
5. 결
○ 현재 진행되고 있는 원자재 수급불안과 가격 상승세는 구조적인 요인과 경기순환적인 요인이 맞물려 나타난 현상으로 분석
- 중국의 수요급등이 주요인이지만 세계경기 회복세와 해상운임 급등 등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임
○ 그러나 주요 요인은 무엇보다도 중국의 수요급등에 따른 공급부족이며 이는 단시간에 해소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님
- 공급확대 또는 수요둔화 가능성은 물론 대체재 활용 역시 매우 제한적인 것으로 판단됨
○ 다만 중국이 경제성장률을 하향조정하는 감속정책을 추진하고 있어서 하반기 이후에는 그 영향이 가시화할 가능성이 큼
- 중국은 최근 개최된 제10기 전국인민대표회의에서 금년도 경제성장률을 지난해의 9.1%에서 7%로 하향 조정하기로 함
○ 그렇더라도 원자재 수급상황을 고려할 때 현재의 높은 가격과 수급불안 현상은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됨
- 원자재 및 철강재의 가격이 역대 최고치에 근접하고 있기 때문에 단기적인 추가상승을 배제할 수 없으나, 가격 상승이 거의 한계에 다다른 것으로 생각됨
3,840(28.9)
3,230(42.9)
930(▲7.9)
14,820(33.0)
일 본
8,017(7.9)
2,394(▲4.3)
1,414(▲8.9)
513(8.4)
13,214( 2.4)
자료: 일본철강신문, 2004.3
주: ( )안은 전년대비 증가율
□ 2005년에는 2억 톤 돌파 예상
○ 일본철강연맹은 2005년 중국의 조강생산이 2억 5,000만 톤에 이를 것으로 가정하고, 중국의 철광석 수입이 2억 톤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
- 중국철강공업협회는 지난해 9월, 2005년 중국이 조강 2억 5,000만 톤을 생산할 경우 철광석 수입은 1억 8,200만 톤에 이를 것으로 전망한 바 있음
- 그러나 일본철강연맹은 중국은 전력사정이 좋지 않기 때문에 전기로의 비중이 중국 철강협회가 예측한 만큼 늘어나지 않을 것이란 가정 하에 2005년 철광석 수입은 2억 톤에 이를 것으로 추정, 단 수입량의 추정에는 중국 자체 광석의 소비량을 2억 9,000만 톤으로 가정
- 스크랩 또한 2005년경에는 1,000~1,500만 톤 수입될 것으로 추정
○ 중국은 금년 들어 일본을 제치고 세계 최대의 철광석 수입국이 되었으며, 향후 조강생산이 예상대로 증가할 경우 2005년경에는 2억 톤 수준의 철광석 수입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세계적인 철광석 부족사태 우려
<표 14> 2005년 중국의 원료소요량 추정
단위: 백만톤
조강생산
원료 조달
전로제강
215
철광석: 국내 290, 수입 200
전기로제강
35
스크랩: 국내 35~45, 수입10~15
자료: 일본철강연맹, 2003. 12
4. 세계 철강설비능력 및 가동상황
□ OECD 주도의 생산설비 감축
○ 세계철강협회(IISI)에 의하면 2001년말 세계 철강과잉설비는 1억톤~2억톤 규모로 추정
- 2001년 세계 조강생산량은 8억 4,300만톤, 철강재 소비량은 7억 7,200만톤 규모였음
- OECD에 의하면, 2001년 세계 조강생산능력은 10억 7,000만톤 규모로 추정
○ 2002년 4월 제4차 OECD 철강고위급회의에서 미국을 비롯한 한국, 일본, 러시아 등 40개 주요 철강생산국 대표들은 세계 철강산업 및 시장동향을 평가하고 세계 철강문제에 대한 다자차원의 해결방안 모색하기로 합의
- 2001년 철강재 가격이 사상 최저치를 기록하고(<그림 1> 참조), 철강업체들의 어려움이 가중되자 철강설비 감축 등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OECD를 중심으로 논의 개시
- 본 회의에서는 참가국들이 제출한 자료에 따라 1998년~2005년간 총 1억 1,400만톤~1억 2,800만 톤의 설비 감축 계획 합의
· 기간별 감축계획 : 1998~2002년 : 91~95백만톤
2003~2005년 : 23~33백만톤
- 각국의 설비감축 동향에 대해서는 설비감축작업반(Capacity Working Group : GWG)회의를 개최하여 점검토록 함
○ 2003년 6월 제6차 고위급회의에 참석한 회원국들은 1998년~2002년 사이에 1억 500만 톤의 설비를 폐쇄되었음을 확인하고, 향후 2003년~2005년 사이에 3,600만 톤 추가폐쇄 논의
- 이러한 설비폐쇄는 세계적인 과잉설비규모가 적정선으로 줄어드는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
- 그러나 각국의 대표들은 세계철강소비가 빠른 속도로 늘어나면서 적정 설비규모에 근접하면서, 소비규모와 적정 설비규모간의 간격이 좁아지고 있는데 주목
<그림 1> 유럽 강재 수출가격 추이
자료: Metal Bulletin
□ 중국의 수요급증으로 공급부족 우려
○ OECD 주도로 비효율 설비가 폐쇄되면서 수급이 거의 균형상태에 이를 시점에 중국의 예상을 뛰어넘는 급속한 수요 증가로 세계 철강업계는 공급부족현상마저 대두
- 세계 철강공급능력은 2001년 10억 700만 톤에서 약 1억 톤이 삭감된 반면 중국, 인도, 브라질 등이 일부 신증설을 추진하였으므로 이를 감안하더라도 전세계 조강생산능력은 10억 톤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추정
- 지난 해 세계 조강생산능력이 9억 4,500만 톤이었으므로 세계 철강설비 가동률은 매우 높은 상태에 있는 것으로 추정
○ 한편, 중국, 일본, 한국, 대만 등 동북아 지역의 조강설비도 거의 완전 조업 상태
- 중국과 대만은 설비능력 이상의 생산이 계속되고 있고, 일본과 우리나라의 경우도 보수, 휴지 또는 폐쇄 설비를 제외할 경우 거의 완전가동 상태라고 할 수 있음.
<표 15> 동북아 4국의 조강생산 및 생산능력
단위: 천톤
생 산
생산능력
2000
2001
2002
2003
중 국
126,316
141,392
181,688
220,115
148,930
일 본
106,444
102,863
107,745
110,510
132,403
한 국
43,107
43,851
45,390
46,306
48,883
대 만
16,842
17,078
18,230
18,903
17,566
자료: World Steel Dynamics, Core Report, 2002. 2
IISI Crude Steel Production, 각년호
각종 자료 참조
5. 결
○ 현재 진행되고 있는 원자재 수급불안과 가격 상승세는 구조적인 요인과 경기순환적인 요인이 맞물려 나타난 현상으로 분석
- 중국의 수요급등이 주요인이지만 세계경기 회복세와 해상운임 급등 등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임
○ 그러나 주요 요인은 무엇보다도 중국의 수요급등에 따른 공급부족이며 이는 단시간에 해소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님
- 공급확대 또는 수요둔화 가능성은 물론 대체재 활용 역시 매우 제한적인 것으로 판단됨
○ 다만 중국이 경제성장률을 하향조정하는 감속정책을 추진하고 있어서 하반기 이후에는 그 영향이 가시화할 가능성이 큼
- 중국은 최근 개최된 제10기 전국인민대표회의에서 금년도 경제성장률을 지난해의 9.1%에서 7%로 하향 조정하기로 함
○ 그렇더라도 원자재 수급상황을 고려할 때 현재의 높은 가격과 수급불안 현상은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됨
- 원자재 및 철강재의 가격이 역대 최고치에 근접하고 있기 때문에 단기적인 추가상승을 배제할 수 없으나, 가격 상승이 거의 한계에 다다른 것으로 생각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