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적어 거의 무시해도 좋을 만큼 성장세가 없는 실정이다.
표 8. 나리 및 난류의 수출 실적과 가격
년 도
나 리
난 (생화, 분화)
수출액
(만$)
단 가
($/송이)
수출액
(만$)
단 가
($/송이)
국내
수출
국내
수출
1995
0
-
-
591.5
7.67
8.17
1996
0
-
-
657.8
7.43
8.62
1997
34.2
0.38
0.43
670.6
7.21
8.44
1998
76.8
0.35
0.43
701.3
7.17
8.53
※ 자료: 중국 농업부 1999년, 농수산물유통공사 인터넷, 2000.
표 9. 연도별 백합 수입동향 (단위 : 톤, 백만엔)
구 분
1997
1998
1999
2000
2001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한 국
200
287
303
459
414
349
547
491
690
527
중 국
-
-
9
4
9
3
1
1
3
3
대 만
5
8
3
10
11
22
6
9
18
25
화 란
381
630
181
333
230
350
231
280
60
85
뉴질랜드
84
155
91
105
78
118
70
83
53
61
계
679
1,093
593
918
747
850
861
872
827
704
※ 자료 : 일본관세협회 무역월표
라) 난 류
가장 수출이 꾸준한 것은 난류로서 ’95년 592만 달러로 시작하여 ’99년 700만 달러를 넘어설 때까지 8.5 달러 내외의 단가로 기복없이 꾸준한 성장세를 유지하였다(표 8). 특히 난류는 연말 연시에 중국내의 수요가 많아 우리나라의 수출물량이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마) 카네이션
카네이션은 중국내 생산량이 많아 수출작목으로 거론되고 있는 품목이다. 우리나라에도 어버이날 수입되어 국내 가격을 흔들어 놓기도 한다. 일본시장에서도 최근 수출물량이 조금씩 늘어나고 있으나 아직은 미미한 수준이다.
표 10. 일본의 연도별 카네이션 수입동향 (단위 : 백만본)
구 분
‘95
‘96
‘97
‘98
‘99
물량
물량
물량
물량
물량
합 계
47.2
40.8
39.1
45.5
54.1
한 국
0.1
0.0
0.0
0.8
0.2
콜롬비아
28.8
29.0
21.9
25.4
31.6
중 국
0.1
0.2
0.3
1.0
3.6
화 란
6.3
3.6
4.0
3.4
2.4
뉴질랜드
0.7
0.7
0.9
0.6
1.3
기 타
9.8
6.4
10.6
13.9
13.9
※ 자료 : 일본꽃보급센타, 플라워 테이타북 2000.
4) 수입 동향
중국의 화훼수입에 대한 정보는 충분치 않다. ‘95년 610만 달러에서 1998년 1억 5,000만 달러로 무려 24.6배나 증가하였다. 주 품목은 실내장식용 분화를 중심으로 종구 등이 수입되고 있으며, 주요 수입국은 화란(97%)이고 벨기에 및 룩셈부르크 등에서 소량(3%) 이루어지고 있다.
○ 중국의 최근 화훼수입 실적
년 도
1995
1996
1997
1998
수입액(백만 달러)
6.1
-
0.9
150.0
5) 한국과의 화훼 무역
가) 한국으로의 수출
중국이 한국으로 수출하는 품목은 년차간 차이가 있으나 난초와 카네이션이 대부분이다. 2001년에는 1,325(그중 난초 1,075)천 달러를 기록했고 2002년 10월 현재에도 한국에 873 천불의 수출액을 기록하고 있으며 그 대부분은 난초이다.
표 11. 중국의 대 한국 화훼수출 실적 (단위 : 톤, 천 달러)
1996
1997
1998
1999
2000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난 초
107
2,366
78
1,839
23
272
91
886
70
650
양 란
-
-
1
12
-
-
-
-
-
-
선 인 장
-
-
-
-
-
-
-
-
-
-
장 미
-
-
7
13
6
2
5
6
0
1
국 화
2
34
9
29
-
-
0
1
7
11
백 합
-
-
-
-
-
-
-
-
-
-
카네이션
-
-
16
66
-
-
15
28
104
223
기 타
12
109
15
48
260
441
3
46
17
109
중국수출
121
2,509
126
2,007
289
715
114
967
198
994
※ 자료 : www.kati.net
나) 한국으로부터의 화훼 수입
표 12. 중국의 대 한국 화훼수입 실적 (단위 : 톤, 천 달러)
1996
1997
1998
1999
2000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난 초
-
-
-
-
120
116
262
319
679
1,233
양 란
-
-
-
-
2
7
1,290
566
927
431
선 인 장
2
151
2
6
23
80
186
385
223
466
장 미
-
-
-
-
2
3
16
122
-
-
기 타
1
25
1
3
24
64
468
899
236
304
총수입
3
176
3
9
171
270
2,222
2,291
2,083
2,434
한국으로부터의 화훼 수입은 대부분 난류(난초, 양란)이고 선인장이 소량 있다. 2001년 한국으로 부터의 수입액은 2,984 천불이고 그중 난초 수출이 2,158로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2002년 10월 현재 수출액도 2,983 천불로서 대부분이 난초가 차지하며 지속적으로 수출액이 증가하고 있다.
6) 주요 품목별 경쟁력 평가
우리나라와 중국간의 국제 경쟁력에서 품목간 경쟁력은 난, 선인장이 우위에, 장미, 카네이션은 열세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도 있다(표 13).
표 13. 우리나라 주요 화종의 대중국 경쟁력 평가
구 분
대 중국 화훼 경쟁력
대 중국
수출입
비고
가격
품질
카네이션
*
***
수입
성수기인 5월에 일부 수입
장 미
*
***
수입
성수기인 졸업시즌에 일부 수입
일반선인장
*
*
수출
소량 수출
접목선인장
**
***
수출
수출 확대 중
호 접 란
*
**
수출
소량 수출
심비디움
**
***
수출
수출 확대 중
※ 주: 경쟁력 열위*, 경쟁력 비슷 **, 경쟁력 우위 ***
자료: 화훼 전문가 및 중국 수출 화훼기업 종사자 30인 평가결과
이러한 판단은 여러 가지 기후, 인적, 물적 여건을 감안하여 내린 결론이지만 열세 작목의 부단없는 기술 및 품종 개발, 우위작목의 집중 개발 등으로 어려움을 타개해 나가야 할 것이다.
표 8. 나리 및 난류의 수출 실적과 가격
년 도
나 리
난 (생화, 분화)
수출액
(만$)
단 가
($/송이)
수출액
(만$)
단 가
($/송이)
국내
수출
국내
수출
1995
0
-
-
591.5
7.67
8.17
1996
0
-
-
657.8
7.43
8.62
1997
34.2
0.38
0.43
670.6
7.21
8.44
1998
76.8
0.35
0.43
701.3
7.17
8.53
※ 자료: 중국 농업부 1999년, 농수산물유통공사 인터넷, 2000.
표 9. 연도별 백합 수입동향 (단위 : 톤, 백만엔)
구 분
1997
1998
1999
2000
2001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한 국
200
287
303
459
414
349
547
491
690
527
중 국
-
-
9
4
9
3
1
1
3
3
대 만
5
8
3
10
11
22
6
9
18
25
화 란
381
630
181
333
230
350
231
280
60
85
뉴질랜드
84
155
91
105
78
118
70
83
53
61
계
679
1,093
593
918
747
850
861
872
827
704
※ 자료 : 일본관세협회 무역월표
라) 난 류
가장 수출이 꾸준한 것은 난류로서 ’95년 592만 달러로 시작하여 ’99년 700만 달러를 넘어설 때까지 8.5 달러 내외의 단가로 기복없이 꾸준한 성장세를 유지하였다(표 8). 특히 난류는 연말 연시에 중국내의 수요가 많아 우리나라의 수출물량이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마) 카네이션
카네이션은 중국내 생산량이 많아 수출작목으로 거론되고 있는 품목이다. 우리나라에도 어버이날 수입되어 국내 가격을 흔들어 놓기도 한다. 일본시장에서도 최근 수출물량이 조금씩 늘어나고 있으나 아직은 미미한 수준이다.
표 10. 일본의 연도별 카네이션 수입동향 (단위 : 백만본)
구 분
‘95
‘96
‘97
‘98
‘99
물량
물량
물량
물량
물량
합 계
47.2
40.8
39.1
45.5
54.1
한 국
0.1
0.0
0.0
0.8
0.2
콜롬비아
28.8
29.0
21.9
25.4
31.6
중 국
0.1
0.2
0.3
1.0
3.6
화 란
6.3
3.6
4.0
3.4
2.4
뉴질랜드
0.7
0.7
0.9
0.6
1.3
기 타
9.8
6.4
10.6
13.9
13.9
※ 자료 : 일본꽃보급센타, 플라워 테이타북 2000.
4) 수입 동향
중국의 화훼수입에 대한 정보는 충분치 않다. ‘95년 610만 달러에서 1998년 1억 5,000만 달러로 무려 24.6배나 증가하였다. 주 품목은 실내장식용 분화를 중심으로 종구 등이 수입되고 있으며, 주요 수입국은 화란(97%)이고 벨기에 및 룩셈부르크 등에서 소량(3%) 이루어지고 있다.
○ 중국의 최근 화훼수입 실적
년 도
1995
1996
1997
1998
수입액(백만 달러)
6.1
-
0.9
150.0
5) 한국과의 화훼 무역
가) 한국으로의 수출
중국이 한국으로 수출하는 품목은 년차간 차이가 있으나 난초와 카네이션이 대부분이다. 2001년에는 1,325(그중 난초 1,075)천 달러를 기록했고 2002년 10월 현재에도 한국에 873 천불의 수출액을 기록하고 있으며 그 대부분은 난초이다.
표 11. 중국의 대 한국 화훼수출 실적 (단위 : 톤, 천 달러)
1996
1997
1998
1999
2000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난 초
107
2,366
78
1,839
23
272
91
886
70
650
양 란
-
-
1
12
-
-
-
-
-
-
선 인 장
-
-
-
-
-
-
-
-
-
-
장 미
-
-
7
13
6
2
5
6
0
1
국 화
2
34
9
29
-
-
0
1
7
11
백 합
-
-
-
-
-
-
-
-
-
-
카네이션
-
-
16
66
-
-
15
28
104
223
기 타
12
109
15
48
260
441
3
46
17
109
중국수출
121
2,509
126
2,007
289
715
114
967
198
994
※ 자료 : www.kati.net
나) 한국으로부터의 화훼 수입
표 12. 중국의 대 한국 화훼수입 실적 (단위 : 톤, 천 달러)
1996
1997
1998
1999
2000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난 초
-
-
-
-
120
116
262
319
679
1,233
양 란
-
-
-
-
2
7
1,290
566
927
431
선 인 장
2
151
2
6
23
80
186
385
223
466
장 미
-
-
-
-
2
3
16
122
-
-
기 타
1
25
1
3
24
64
468
899
236
304
총수입
3
176
3
9
171
270
2,222
2,291
2,083
2,434
한국으로부터의 화훼 수입은 대부분 난류(난초, 양란)이고 선인장이 소량 있다. 2001년 한국으로 부터의 수입액은 2,984 천불이고 그중 난초 수출이 2,158로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2002년 10월 현재 수출액도 2,983 천불로서 대부분이 난초가 차지하며 지속적으로 수출액이 증가하고 있다.
6) 주요 품목별 경쟁력 평가
우리나라와 중국간의 국제 경쟁력에서 품목간 경쟁력은 난, 선인장이 우위에, 장미, 카네이션은 열세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도 있다(표 13).
표 13. 우리나라 주요 화종의 대중국 경쟁력 평가
구 분
대 중국 화훼 경쟁력
대 중국
수출입
비고
가격
품질
카네이션
*
***
수입
성수기인 5월에 일부 수입
장 미
*
***
수입
성수기인 졸업시즌에 일부 수입
일반선인장
*
*
수출
소량 수출
접목선인장
**
***
수출
수출 확대 중
호 접 란
*
**
수출
소량 수출
심비디움
**
***
수출
수출 확대 중
※ 주: 경쟁력 열위*, 경쟁력 비슷 **, 경쟁력 우위 ***
자료: 화훼 전문가 및 중국 수출 화훼기업 종사자 30인 평가결과
이러한 판단은 여러 가지 기후, 인적, 물적 여건을 감안하여 내린 결론이지만 열세 작목의 부단없는 기술 및 품종 개발, 우위작목의 집중 개발 등으로 어려움을 타개해 나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