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시멘트 산업의 발전 현황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개 요

□ 중국 건설시장과 시멘트 산업

□ 고등급․고품질 시멘트에 대한 관심 급증

□ 중국의 시멘트 생산 및 판매

□ 중국의 시멘트 및 크링카 가격

□ 2001년, 중국의 시멘트 및 크링카 무역

□ 발전하고 있는 중국의 시멘트 설비 기술

□ 중국 시멘트 산업의 향후 과제

자료출처

본문내용


구식 입식키른 제거 및 현대식 건식 키른 건설 가속화
- 지난 3년(1999~2001)동안 상당수의 입식키른 철폐
기 폐쇄된 생산능력 : 94.5백만톤
구식 P325등급 시멘트 생산공장의 완전 철폐가 불가피
- 새로운 기준에서의 P42.5등급(구 P525등급과 동일) 시멘트 생산을 위한 건식 키른의 신설 확장 전망
중국의 시멘트 키른 시스템
- 현대적인 건식 키른에서부터 전통적인 입식키른으로 불리우는 구식 키른에 이르기 까지 12개의 타입 존재
- 사실상, 중국에서 운영되고 있는 입식키른 3가지
비교적 현대 기술 및 중간등급의 시멘트를 생산할 수 있으며 훌륭한 경영능력이 갖춰진 진보적 입식키른
중간 및 저등급의 혼합 시멘트를 생산하는 기계적 입식키른
단순 건설을 위한 가장 저급의 시멘트만을 생산하며 수작업으로 운영되는 전통적 부락단위 입식키른
신 건식키른 생산라인(2001, 2002)
년 도
일산규모(톤)
2001
2002
생산라인수
총생산능력
(백만톤)
생산라인수
총생산능력
(백만톤)
700
1,000
1,200
1,300
1,500
2,000
2,500
3,000
3,200
5,000
1
19
1
-
2
2
8
-
1
-
21
570
36
-
90
120
600
-
100
-
3
36
1
1
1
5
10
1
1
4
63
1,080
36
39
45
300
750
90
100
600
합 계
34
1,537
63
3,104

□ 중국의 시멘트 생산 및 판매
2001년, 시멘트 생산 전년대비 5.8% 증가한 620백만톤 기록
- 눈에 띄는 시멘트 생산량 증대
- 시멘트 품질 향상 및 시멘트 산업구조의 개선 반영
2001년, 벌크화율 포장 70.3%, 벌크 21.7% 기록
- 벌크 시멘트 운송 대리점들이 서서히 증가하고 있어 벌크화율은 올 해 25% 가까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
현재 운영중인 시멘트 업체 수 : 4,471개
- 기업형태별 시멘트 업체의 소유 현황
국유기업 952
공동소유기업 1,383
민간기업 726
다른 국내투자기업 1,258
외국기업 152
→ 대만소유기업, 홍콩소유 또는 제휴기업, Lafarge, CBR, Holcim 포함
중국 시멘트 기업 생산능력 추이
- 126개의 대규모 기업(년산 60만톤급 이상)
- 598개의 중규모 기업(년산 20만톤급 이상)
- 3,747개의 년산 20만톤 이하의 소규모 기업들
중국 10대 시멘트 그룹(2001) 년산능력
순위
사 명
년산능력
순위
사 명
년산능력
1
2
3
4
5
Anhui Conch
Hebei Jidong
Xinjiang Tiashan
Jilin Yatai
Guangdong Yuexiu
12.8
7
6.5
4.5
4
6
7
8
9
10
Beijing Zhonglian
Hubei Huaxin
Shanxi Qinling
Zhejiang ThreeLions
Guangxi Yufeng
4
3.6
3.5
3.2
3
(단위 : 백만톤)
□ 중국의 시멘트 및 크링카 가격
시장상황의 개선에도 불구하고, 가격(현재 국가통제를 받지 않음)은 과거 수년동안 제 자리 걸음
- 새로운 기준 P32.5의 가격, 소폭 상승
2001년 1월, 톤당 280중국위안(미화 34달러) → 2001년 12월, 톤당 300중국위안(미화 36달러)
- 더 높은 품질 등급인 P42.5 시멘트 가격, 상황 호전
2001년 1월, 톤당 310중국위안(미화 37달러) → 2001년 12월, 톤당 360중국위안(미화 44달러)
- 국내 업체들의 부정적 상황 인식
소폭의 가격 상승에 비해 생산비 더욱 상승
유연탄 가격 약 50% 상승
; 2001년 1월, 톤당 160중국위안(미화 19달러) → 2001년 12월, 톤당 250중국위안(미화 30달러)
일반적으로 시멘트 가격은 단기에 약간의 오름세에 이어 상당기간 안정세가 유지될 것으로 전망
- 크링카 생산비, 톤당 13중국위안(미화 1.6달러) 증가
- 반면 2001년, 평균 순이익은 톤당 3~5중국위안 증가에 그침 - 산업 이익은 여전히 매우 낮은 수준을 유지
평균 약 톤당 10~20중국위안 수준으로 그나마 생산 라인에서의 비용절감에 의존
□ 2001년, 중국의 시멘트 및 크링카 무역
수 입
- 크링카 물량(2.24백만톤)의 증가
원산지 : 주로 일본, 러시아 그리고 한국
가격대는 톤당 평균 미화 21~22달러선(CIF기준)에서 결정
유입물량은 해안 및 양자강을 따라 위치해 있는 수많은 분쇄공장들에서 높은 등급 시멘트의 생산에 활용
- 시멘트 및 크링카 수입, 최소규모 유지 전망
수 출
- 2001년, 시멘트 5.91백만톤 수출
톤당 평균 미화 31~32달러선에 수출됨
주로 태평양과 대우(산동) 공장에서 미국으로 전체 물량의 48.3% 수출
홍콩(27.7%), 대만(13.6%), 동아시아제국(2.9%)등으로 수출
- 수출규모는 단기에 크게 증가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
□ 발전하고 있는 중국의 시멘트 설비 기술
지난 20여 년간의 경제개발 이후 중국 시멘트 산업은 현대적 시멘트 공장의 설계 및 건설 능력을 더욱 강화, 시멘트 설비 제조에 집중
- 또한 현대적 시멘트 공장을 위탁하여 운영하고 경영할 수 있는 지식과 숙련된 기술을 겸비한 많은 경험 많은 기술자 보유
- 결과적으로 많은 새로운 공장들은 지금 거의 국내장치와 전문기술로 건설될 수 있음
- 단지 롤러 밀 및 기어 박스(때때로 크링카 쿨러 또는 키른 버너)와 같은 몇몇 주요 장치의 부품들만이 여전히 수입됨
중국 기술자에게 일산 2,500톤 규모의 공장 건설 계획은 설계, 건설, 구매, 설립, 등에 보통 18~20개월이 필요
- 일반적으로 전형적인 생산 공기는 12~15개월이 필요
□ 중국 시멘트 산업의 향후 과제
여전히 시멘트 품질 향상, 대규모 생산단위로의 생산구조 합리화, 환경보호 및 폐자원 활용에 집중
- 전 세계적인 추세에 발맞추어 롤러 밀이 장착된 2개의 정교한 슬래그 분쇄공장 운영
- 수많은 다른 유사한 계획들이 가능성 연구 단계에서부터 기록적인 증진을 보여주고 있음
자료출처 : International Cement Review (2002. 7월)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1.04.18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82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