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텅스텐을 타게트로 쓰는 이유?
2)텅스텐의 타겟은 왜 장방형인가?
3)구리봉이 기울어져 있는 이유?
2)텅스텐의 타겟은 왜 장방형인가?
3)구리봉이 기울어져 있는 이유?
본문내용
때리는 electron stream의 크기와 모양이고 이 전자속은 필라멘트 텅스텐 wire coil의 크기, 집속통의 구조, 집속통 내 필라멘트의 위치등에 의해 결정된다. 각각의 X-선관마다 양극의 경사도는 달라 대개 6-20° 정도이다. 일반적인 진단용 X-선 사진촬영을 위해서는 40 inch focus film 거리에서 target angle은 대개 15°보다 작지 않은 것을 사용한다. 초점크기는 실효초점으로 주로 얘기하고 0.3, 0.6, 1.0, 1.2 mm등이 사용된다.
②Heel effect
- X-선관에 발생된 X-선의 강도는 선속의 모든 부위에 걸쳐 균일하지 않다. 선속의 강도는 focal spot에서 방출된 X선의 각도에 따라 다르다. 즉 경사진 양극의 표면에 평행하게 방출되는 X-선이 표적 그 자체에 의해 좀더 많이 흡수되므로 표적부위에서의 X-선 강도가 음극쪽보다 강도가 낮기 때문이다. 이런 변이를 Heel effect라 부른다.
그림4. Heal effect
- 임상적 의의.
* 양극측의 X-선 강도가 음극쪽보다 작다.
* Target-film 거리가 크면 heel effect의 영향이 적다
* 같은 target-film 거리에서는 film 크기가 작으면 heel effect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
왜냐하면 central ray (중심X선)에 가까운 X-선의 강도는 주변부위보다 균일하기 때문이다.
- 해결점
* 동일한 촬영 거리에서는 작은 film을 사용
* 동일 크기의 film을 사용할 때는 촬영거리를 멀게 한다.
* Cathode쪽에 X-선 흡수율이 높은 부위가 오게 한다.
②Heel effect
- X-선관에 발생된 X-선의 강도는 선속의 모든 부위에 걸쳐 균일하지 않다. 선속의 강도는 focal spot에서 방출된 X선의 각도에 따라 다르다. 즉 경사진 양극의 표면에 평행하게 방출되는 X-선이 표적 그 자체에 의해 좀더 많이 흡수되므로 표적부위에서의 X-선 강도가 음극쪽보다 강도가 낮기 때문이다. 이런 변이를 Heel effect라 부른다.
그림4. Heal effect
- 임상적 의의.
* 양극측의 X-선 강도가 음극쪽보다 작다.
* Target-film 거리가 크면 heel effect의 영향이 적다
* 같은 target-film 거리에서는 film 크기가 작으면 heel effect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
왜냐하면 central ray (중심X선)에 가까운 X-선의 강도는 주변부위보다 균일하기 때문이다.
- 해결점
* 동일한 촬영 거리에서는 작은 film을 사용
* 동일 크기의 film을 사용할 때는 촬영거리를 멀게 한다.
* Cathode쪽에 X-선 흡수율이 높은 부위가 오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