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語 속의 仁에 대한 小考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인이란 무엇인가?

3. 전통적 仁의 현대적 복원

본문내용

그렇다 하더라도 현대사회에서 유교적 仁은 폐기되어야 할 것이라고도 생각하지 않는다. 많은 유교 논리들이 존재한다. 내가 생각하기에 유교는 사회적 강자를 위한 논리를 생산해낸다고 생각된다. 충은 국가에 대한 끊임없는 복종을 의미한다. 한국에서 유신체제를 거치면서 제일 강조된 덕목 가운데 하나이다. 유교는 개인의 마음을 중요시 한다. 개인의 수양이 가장 중요한 문제이다. 내가 어렵게 산다고 했어도 마음속으로 그것을 즐거이 생각하라고 한다. 결코 현실에 불만을 나타내서는 안된다. 언제나 지금 이대로를 중요하게 생각한다. 그렇게 해서는 변하는 것은 아무것도 없을 것이다. 하지만 유교에서도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 있다. 仁이 바로 그것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모조리 개인의 마음 때문이라는 논리가 아니라 삶에 여유를 찾게 해줄수 있는 것이 현대적인 仁의 모습이 아닐까 생각한다. 사회속에서 사회구조의 영향을 벗어나기는 힘들지만, 개인이 모여 큰힘을 이루게 되면 조금은 변화할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많은 사람들이 仁이 가지고 있는 희생정신, 이타심을 조금이나마 가진다면 삭막한 현대사회라 할 지라도 조금의 따뜻함은 존재할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1.04.18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82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