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1.5
2. 1.6
3. 보충문제 1
References.
2. 1.6
3. 보충문제 1
References.
본문내용
+= 1;
장점
x = x + 1; 을 줄인 형태이다. 한층 간결해진다. 1외에 다른 수를 더할때에 숫자만 바꾸면 가능하다.
단점
직관적이지 못하다.
보충문제 1
조건검사 - 강의자료 01의 8페이지 프로그램에 대하여 최대한 조건코드를 삽입해 보라.의 assert를 활용하여 삽입한다.
Source Code
#include
#include
#include
void print(int value){
printf("%d\n",value);
}
char *strcpy(char dst[], const char src[]){
assert(dst != src); // 원본과 복사될 것이 다른지 확인한다.
int i=0;
assert(i==0); // i가 0인지 확인
for(i = 0; src[i] != '\0'; ++i){
dst[i] = src[i];
assert(dst[i]==src[i]); // 복사가 제대로 이루어 지는지 확인
}
dst[i] = '\0';
assert(dst[i] == '\0'); // 마지막에 NULL 문자 확인
return dst;
}
int main() {
char s[]="This is test";
char d[20];
strcpy(d,s);
printf("%s\n",d);
return 0;
}
결과
디버깅을 하기위해 의도적으로 assert(dst != src); 구문을 assert(dst == src); 으로 바꿔서 실행하면 assert()안의 내용이 false가 되므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출력한다.
검토
assert()는 특정위치에서의 검사를 하기위해 사용한다. 인자로 사용되는 expression이 true 일경우 assert()문을 통과하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위와 같은 경고창을 보여준다. 보통 이런 값을 확인하기 위해 printf()를 사용하지만 assert()를 사용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References.
임백준, 누워서 읽는 알고리즘 ,한빛미디어, p.54~55
김지원 / Ji-won, Kim
2003년 부산 부산진고등학교를 졸업하고 2003년 부산대학교 전자전기정보컴퓨터공학부에 입학. 현재 3학년 1학기를 보내고있다. 야심찬 마음으로 뭐든 할려고 하는 젊은이. 앞으로 어떤 일이 벌어질지 흥미진진해 하고 있음. 현재 개인 블로그 http://wwww7.net 운영중.
장점
x = x + 1; 을 줄인 형태이다. 한층 간결해진다. 1외에 다른 수를 더할때에 숫자만 바꾸면 가능하다.
단점
직관적이지 못하다.
보충문제 1
조건검사 - 강의자료 01의 8페이지 프로그램에 대하여 최대한 조건코드를 삽입해 보라.
Source Code
#include
#include
#include
void print(int value){
printf("%d\n",value);
}
char *strcpy(char dst[], const char src[]){
assert(dst != src); // 원본과 복사될 것이 다른지 확인한다.
int i=0;
assert(i==0); // i가 0인지 확인
for(i = 0; src[i] != '\0'; ++i){
dst[i] = src[i];
assert(dst[i]==src[i]); // 복사가 제대로 이루어 지는지 확인
}
dst[i] = '\0';
assert(dst[i] == '\0'); // 마지막에 NULL 문자 확인
return dst;
}
int main() {
char s[]="This is test";
char d[20];
strcpy(d,s);
printf("%s\n",d);
return 0;
}
결과
디버깅을 하기위해 의도적으로 assert(dst != src); 구문을 assert(dst == src); 으로 바꿔서 실행하면 assert()안의 내용이 false가 되므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출력한다.
검토
assert()는 특정위치에서의 검사를 하기위해 사용한다. 인자로 사용되는 expression이 true 일경우 assert()문을 통과하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위와 같은 경고창을 보여준다. 보통 이런 값을 확인하기 위해 printf()를 사용하지만 assert()를 사용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References.
임백준, 누워서 읽는 알고리즘 ,한빛미디어, p.54~55
김지원 / Ji-won, Kim
2003년 부산 부산진고등학교를 졸업하고 2003년 부산대학교 전자전기정보컴퓨터공학부에 입학. 현재 3학년 1학기를 보내고있다. 야심찬 마음으로 뭐든 할려고 하는 젊은이. 앞으로 어떤 일이 벌어질지 흥미진진해 하고 있음. 현재 개인 블로그 http://wwww7.net 운영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