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벽돌 구조 및 쌓기
길이쌓기
영식쌓기
느낀점....
길이쌓기
영식쌓기
느낀점....
본문내용
(구조학)
벽돌 구조 및 쌓기
길이쌓기
- 벽돌을 길이만 내보이게 쌓은것을 길이쌓기라고 한다.
- 벽돌 사이의 모르타르 부분을 줄눈이라고 하며, 가로줄눈과 세로줄눈의 구별이 있지만
줄눈의 너비는 모두 1cm를 표준으로 한다.
- 세로 줄눈에서 상 . 하 줄눈이 막힌것을 막힌줄눈이라고
한다..
- 이벽돌은 길이쌓기에 줄눈은 막힌줄눈으로 쌓아놓은
벽돌이다.
영식쌓기
-이벽돌은 영식쌓기로 시공이 간단하고 벽체가 튼튼하고 경제적이므로 널리 쓰인다.
- 이벽돌은 한 켜를 길이쌓기로 하면 다음 켜는 마구리쌓기로 하여 번갈아 쌓았다. 맨 윗부분을 모서리쌓기로 쌓아 마무리를 지었다.
- 이벽돌은 길이쌓기와 마구리쌓기와 모서리쌓기를 이용하여서 쌓은 벽돌이다.
- 모서리쌓기의 주의점
벽돌 벽의 끝 모서리쌓기를 할 때에는 통줄눈이 생기지 않도록 주 의하고, 토막이 적게 사용되도록 벽돌나누기를 하며 사춤 모르터도 충분히 채운다.
벽돌벽의 끝 또는 모서리 선은 정확히 수직으로 일직선이 되게 한다. 예각 또는 둔각 교차부의 치장쌓기에는 마름질한 벽돌을 금강사(金剛砂) 숫돌로 갈아 평활하게 하여 쌓는다.
- 특수목적이나 의장을 위해 벽체의 일부에 특수쌓기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세워쌓기 이외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 길이가 내보이게 쌓은것을 길이 세워쌓기라고 한다.
- 이벽돌쌓기는 한줄은 길이쌓기로 또 한줄은 길이세워쌓기 로 번갈아가면서 벽돌을 쌓아 올렸다.
- 이벽돌은 길이세워쌓기와 길이쌓기를 이용해서 쌓아놓은 벽돌이다.
- 이벽돌쌓기는 길이쌓기와 길이세워쌓기를 이용하여 쌓은 벽돌이다.
- 이벽돌쌓기는 3번째 벽돌쌓기와 다르게 맨위 한켜만 길이 세워쌓기를 이용하고 하중을 받는 벽돌들은 길이쌓기고
쌓아 놓았다.
- 완전 연소로 구운 붉은 벽돌을 사용하여 벽돌을 쌓아 올렸 다는것을 알수있다.
- 이벽돌쌓기는 길이쌓기를 이용하여 벽돌을 쌓아 올렸다.
- 이벽돌쌓기의 줄눈은 통줄눈이라는것을 볼수있다.
세로줄눈에서 상.하 줄눈이 연속된것을 통줄눈이라 한다
통줄눈으 하중을 분산시키지 못하므로 집중력(하중)을 받게 되어 벽체에 균열이 생겨 습기가 스며든다.
- 이벽돌쌓기는 마구리쌓기와 길이쌓기를 이용하여 벽돌을 쌓아 올렸다.
- 벽돌을쌓아 올린것을 보면 모양을 위해 길이쌓기를 이용하 여 쌓아 올리다가 마구리부분에 모서리를 바깥쪽으로
하여서 모양이 나오게 쌓아 올렸다..
- 이벽돌은 치장을 목적으로 마구리쌓기와 길이쌓기를
이용하여 쌓아 올린거 같다.
- 이벽돌쌓기는 마구리쌓기와 길이쌓기를 번갈아가면 쌓아
놓았다.
- 이벽돌은 불완전 연소로 구운 변색 벽돌로 구부이 되는거 같다.
- 이벽돌 쌓기를 처음 봤을때 이벽돌은 화린식쌓기를 이용하 여 쌓아 올린 벽돌인줄 알았지만 잘살펴보니 화린식쌓기가 아니라는것을 알수있었다..
- 화린식 쌓기는 칠오토막을 이용하여 쌓는 방법인데 이벽돌 쌓기는 길이쌓기를 이용하여 쌓다가 마무리되는 부분을
마구리쌓기로 쌓아 올렸다
- 이벽돌쌓기는 마구리쌓기와 길이쌓기를 이용하여
쌓아올렸다.
- 지금 사진에 나온 이부분은 치장을 목적으로 쌓아
올린 벽돌같다.
- 솔직히 말하면 다른부분을 마구리쌓기와 길이쌓기를 이용하여 쌓아 올린다음 남은벽돌을 써서 벽돌을 쌓아 올린거같다.
- 붉은 벽돌을 이용하여 쌓아 올린것을 알수있다.
- 이벽돌쌓기는 길이 쌓기와 옆세워쌓기를 이용하여
쌓은 벽돌 쌓기다.
- 맨위 한줄만 옆세워쌓기를 이용하여 쌓아 올린것을
알수있다.
- 다른 부분들은 이전벽돌쌓기와 마찬가지로 길이쌓기를
이용하여 쌓아 올린것을 알수있다.. 마무리 부분은 벽돌의
반토막을 이용하여 마무리를 했다는것을 알수있다..
- 이벽돌쌓기는 길이쌓기와 길이세워쌓기를 이용하여 쌓아 올린 벽돌쌓기이다.
- 이벽돌쌓기는 맨윗줄은 길이세워쌓기를 이용하여 쌓아올렸고 다른 켜들은 길이쌓기와 길이세워쌓기를 번갈이 이용하여 쌓아올렸다는것을 알수있다.
- 이벽돌쌓기 치장을 하면서 벽돌을 쌓아 올린것 같다.
느낀점....
이번 구조학과제를 하면서 내가 사는동네에 벽돌을 이용하여 집을 쌓은곳이 많다는것을 알았다..벽돌에도 여러 가지의 종류가있다는것을 처음으로 알수있었다..난 벽돌은 다 똑같은것만 있는줄 알았다..하지만 모양 크기 다 다르다는것을 알수있었다. 벽돌을 어떻게 쌓아 올리는것에 따라 하중이 분포된다는것을 알수있었다. 벽돌을 하루에 18장정도를 효준으로 쌓고 최고 22장 정도를 쌓는것을 알수 있었다.
지금 건축을 하는 사람들중에서도 벽돌의 크기와 종류를 알지 못하는사람이 있다고 교수님께서 말씀하신것이 생각났다.
나는 아직 건축을 시작한지 얼마 않되고 아직 기초도 잘 모르지만 하나 하나 잘 배워가면서 기초를 잘 다져서 건물을 지을때 밑바닥부터 잘 다지는것처럼 나도 기초를 열심히해서 정말 우리나라에서 아니 세계에서 인정받을수있는 건축가되겠다고 생각했다...
벽돌 구조 및 쌓기
길이쌓기
- 벽돌을 길이만 내보이게 쌓은것을 길이쌓기라고 한다.
- 벽돌 사이의 모르타르 부분을 줄눈이라고 하며, 가로줄눈과 세로줄눈의 구별이 있지만
줄눈의 너비는 모두 1cm를 표준으로 한다.
- 세로 줄눈에서 상 . 하 줄눈이 막힌것을 막힌줄눈이라고
한다..
- 이벽돌은 길이쌓기에 줄눈은 막힌줄눈으로 쌓아놓은
벽돌이다.
영식쌓기
-이벽돌은 영식쌓기로 시공이 간단하고 벽체가 튼튼하고 경제적이므로 널리 쓰인다.
- 이벽돌은 한 켜를 길이쌓기로 하면 다음 켜는 마구리쌓기로 하여 번갈아 쌓았다. 맨 윗부분을 모서리쌓기로 쌓아 마무리를 지었다.
- 이벽돌은 길이쌓기와 마구리쌓기와 모서리쌓기를 이용하여서 쌓은 벽돌이다.
- 모서리쌓기의 주의점
벽돌 벽의 끝 모서리쌓기를 할 때에는 통줄눈이 생기지 않도록 주 의하고, 토막이 적게 사용되도록 벽돌나누기를 하며 사춤 모르터도 충분히 채운다.
벽돌벽의 끝 또는 모서리 선은 정확히 수직으로 일직선이 되게 한다. 예각 또는 둔각 교차부의 치장쌓기에는 마름질한 벽돌을 금강사(金剛砂) 숫돌로 갈아 평활하게 하여 쌓는다.
- 특수목적이나 의장을 위해 벽체의 일부에 특수쌓기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세워쌓기 이외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 길이가 내보이게 쌓은것을 길이 세워쌓기라고 한다.
- 이벽돌쌓기는 한줄은 길이쌓기로 또 한줄은 길이세워쌓기 로 번갈아가면서 벽돌을 쌓아 올렸다.
- 이벽돌은 길이세워쌓기와 길이쌓기를 이용해서 쌓아놓은 벽돌이다.
- 이벽돌쌓기는 길이쌓기와 길이세워쌓기를 이용하여 쌓은 벽돌이다.
- 이벽돌쌓기는 3번째 벽돌쌓기와 다르게 맨위 한켜만 길이 세워쌓기를 이용하고 하중을 받는 벽돌들은 길이쌓기고
쌓아 놓았다.
- 완전 연소로 구운 붉은 벽돌을 사용하여 벽돌을 쌓아 올렸 다는것을 알수있다.
- 이벽돌쌓기는 길이쌓기를 이용하여 벽돌을 쌓아 올렸다.
- 이벽돌쌓기의 줄눈은 통줄눈이라는것을 볼수있다.
세로줄눈에서 상.하 줄눈이 연속된것을 통줄눈이라 한다
통줄눈으 하중을 분산시키지 못하므로 집중력(하중)을 받게 되어 벽체에 균열이 생겨 습기가 스며든다.
- 이벽돌쌓기는 마구리쌓기와 길이쌓기를 이용하여 벽돌을 쌓아 올렸다.
- 벽돌을쌓아 올린것을 보면 모양을 위해 길이쌓기를 이용하 여 쌓아 올리다가 마구리부분에 모서리를 바깥쪽으로
하여서 모양이 나오게 쌓아 올렸다..
- 이벽돌은 치장을 목적으로 마구리쌓기와 길이쌓기를
이용하여 쌓아 올린거 같다.
- 이벽돌쌓기는 마구리쌓기와 길이쌓기를 번갈아가면 쌓아
놓았다.
- 이벽돌은 불완전 연소로 구운 변색 벽돌로 구부이 되는거 같다.
- 이벽돌 쌓기를 처음 봤을때 이벽돌은 화린식쌓기를 이용하 여 쌓아 올린 벽돌인줄 알았지만 잘살펴보니 화린식쌓기가 아니라는것을 알수있었다..
- 화린식 쌓기는 칠오토막을 이용하여 쌓는 방법인데 이벽돌 쌓기는 길이쌓기를 이용하여 쌓다가 마무리되는 부분을
마구리쌓기로 쌓아 올렸다
- 이벽돌쌓기는 마구리쌓기와 길이쌓기를 이용하여
쌓아올렸다.
- 지금 사진에 나온 이부분은 치장을 목적으로 쌓아
올린 벽돌같다.
- 솔직히 말하면 다른부분을 마구리쌓기와 길이쌓기를 이용하여 쌓아 올린다음 남은벽돌을 써서 벽돌을 쌓아 올린거같다.
- 붉은 벽돌을 이용하여 쌓아 올린것을 알수있다.
- 이벽돌쌓기는 길이 쌓기와 옆세워쌓기를 이용하여
쌓은 벽돌 쌓기다.
- 맨위 한줄만 옆세워쌓기를 이용하여 쌓아 올린것을
알수있다.
- 다른 부분들은 이전벽돌쌓기와 마찬가지로 길이쌓기를
이용하여 쌓아 올린것을 알수있다.. 마무리 부분은 벽돌의
반토막을 이용하여 마무리를 했다는것을 알수있다..
- 이벽돌쌓기는 길이쌓기와 길이세워쌓기를 이용하여 쌓아 올린 벽돌쌓기이다.
- 이벽돌쌓기는 맨윗줄은 길이세워쌓기를 이용하여 쌓아올렸고 다른 켜들은 길이쌓기와 길이세워쌓기를 번갈이 이용하여 쌓아올렸다는것을 알수있다.
- 이벽돌쌓기 치장을 하면서 벽돌을 쌓아 올린것 같다.
느낀점....
이번 구조학과제를 하면서 내가 사는동네에 벽돌을 이용하여 집을 쌓은곳이 많다는것을 알았다..벽돌에도 여러 가지의 종류가있다는것을 처음으로 알수있었다..난 벽돌은 다 똑같은것만 있는줄 알았다..하지만 모양 크기 다 다르다는것을 알수있었다. 벽돌을 어떻게 쌓아 올리는것에 따라 하중이 분포된다는것을 알수있었다. 벽돌을 하루에 18장정도를 효준으로 쌓고 최고 22장 정도를 쌓는것을 알수 있었다.
지금 건축을 하는 사람들중에서도 벽돌의 크기와 종류를 알지 못하는사람이 있다고 교수님께서 말씀하신것이 생각났다.
나는 아직 건축을 시작한지 얼마 않되고 아직 기초도 잘 모르지만 하나 하나 잘 배워가면서 기초를 잘 다져서 건물을 지을때 밑바닥부터 잘 다지는것처럼 나도 기초를 열심히해서 정말 우리나라에서 아니 세계에서 인정받을수있는 건축가되겠다고 생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