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맞 춤
1. 가름장 장부
2. 쌍턱장부
3. 턱걸침 맞춤
4. 통맞춤
5. 허리맞춤
이 음
1. 주먹장이음
2. 나무산지 맞댄이음
3. 겹친이음
4. 손가락이음
쪽 매
1. 제혀쪽매
2. 틈막이대쪽매
1. 가름장 장부
2. 쌍턱장부
3. 턱걸침 맞춤
4. 통맞춤
5. 허리맞춤
이 음
1. 주먹장이음
2. 나무산지 맞댄이음
3. 겹친이음
4. 손가락이음
쪽 매
1. 제혀쪽매
2. 틈막이대쪽매
본문내용
. 나무산지 맞댄이음
맞춤장부이면서 기둥 가운데를 홈을파고 보를 이음으로 두면서 더욱 견고하게 하기위해 나무못으로 고정을 하였다.
기둥에 홈을 파고 남은 양쪽 부분이 나무를 댄 것처럼 쪽매의 역할을 한다.(나무신지)
겹친이음처럼 두부재를 나무못이나 볼트, 못으로 쥠
3. 겹친이음
두 부재를 못이나 볼트로 죔
나무의 각이 용이하기 때문에 지붕아래에 받치는 쪽에 많이 쓰인다
이단겹친이음은 나무신지 맛댄이음처럼 한부재를 잡고있는 두 부재가 나무신지(쪽매)역할을 한다.
4. 손가락이음
손가락이음은 주로 가구쪽에 많이 쓰인다
다른 좌우의 힘을 받는 이음보다 더욱 견고하고 외관상 깔끔하다
이음 부분이 정밀성 요구로 수공공작이 힘들다
(공작기계사용)
쪽 매
1. 제혀쪽매
제혀쪽매는 요즘 주거시설 바닥재로 이용되고 있다.
나무판에 주먹이음처럼 좌우가 흔들리지 않도록 하였다
공장에서 가공되기 때문에 시공시 간편하다.
2. 틈막이대쪽매
틈막이대쪽매는 체육관, 강당 상업시설등 이용 되고 있다.
다수의 인원이 이용되는 공간에 사용되므로 바닥에 다른쪽매보다 힘을 받을수 있는 부분이 필요하므로 판자사이에 부재를 대었다.
틈막음으로 맞댄쪽매보다 벌레나 바람의 유입방지에 용이하다.
맞춤장부이면서 기둥 가운데를 홈을파고 보를 이음으로 두면서 더욱 견고하게 하기위해 나무못으로 고정을 하였다.
기둥에 홈을 파고 남은 양쪽 부분이 나무를 댄 것처럼 쪽매의 역할을 한다.(나무신지)
겹친이음처럼 두부재를 나무못이나 볼트, 못으로 쥠
3. 겹친이음
두 부재를 못이나 볼트로 죔
나무의 각이 용이하기 때문에 지붕아래에 받치는 쪽에 많이 쓰인다
이단겹친이음은 나무신지 맛댄이음처럼 한부재를 잡고있는 두 부재가 나무신지(쪽매)역할을 한다.
4. 손가락이음
손가락이음은 주로 가구쪽에 많이 쓰인다
다른 좌우의 힘을 받는 이음보다 더욱 견고하고 외관상 깔끔하다
이음 부분이 정밀성 요구로 수공공작이 힘들다
(공작기계사용)
쪽 매
1. 제혀쪽매
제혀쪽매는 요즘 주거시설 바닥재로 이용되고 있다.
나무판에 주먹이음처럼 좌우가 흔들리지 않도록 하였다
공장에서 가공되기 때문에 시공시 간편하다.
2. 틈막이대쪽매
틈막이대쪽매는 체육관, 강당 상업시설등 이용 되고 있다.
다수의 인원이 이용되는 공간에 사용되므로 바닥에 다른쪽매보다 힘을 받을수 있는 부분이 필요하므로 판자사이에 부재를 대었다.
틈막음으로 맞댄쪽매보다 벌레나 바람의 유입방지에 용이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