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재벌의해체와재편성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전전의 일본 재벌의 구조
Ⅲ. 재벌해체
Ⅳ. 기업집단의 성립과 의의
Ⅴ. 결론: 재벌해체와 기업집단 형성의 의의

본문내용

관계자집단을 형성하고 경영위기의 극복과 전체 이익의 추진을 위해 노력한다. 따라서 일본의 경영자는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면, 미국의 경영자에 비교해서 보다 커다란 위험을 부담하고 보다 근본적인 기술혁신을 시도할 수 있다. 한마디로 기업가정신의 발휘에 유리한 기업시스템이다(吉森 賢 1996).
넷째, 경쟁자극적이다. 기업집단의 멤버기업은 거의 모든 경우 업종이 다르고, 각 기업은 자사가 속하는 산업분야에서 기업집단을 대표해서 타사와 경쟁한다. 과점적 시장구조에서 다업종을 포함한 기업집단을 배경으로 갖는 기업간의 경쟁은 그렇지 못한 기업간의 경쟁보다도 우열을 가리고 어렵고 보다 격렬한 경쟁으로 된다.
다섯째, 경영자의 종업원과 일체감을 기초로 企業一家 의식이 형성된다. 일본 기업의 실질적인 지배자인 경영자는 거의 대부분 내부승진에 의해서 선임된다. 그리고 경영자는 경영자로서 아무리 우수한 업적을 쌓아도 자본가계급의 일원으로 될 수 없고, 샐러리맨에 지나지 않는다. 경영자는 종업원 가운데서 내부 승진하였기 때문에 누구보다도 종업원이 무엇을 원하는가를 잘 알고, 심정적으로 종업원과 동일시하는 경향이 강하다. 따라서 경영자와 종업원의 사이의 의사소통이 원활하고 일체감이 형성된다. 경영자는 종업원을 어떻게 만족시키고 그들을 어떻게 활용하고, 어떻게 기능이나 경험을 축적시킬 것인가에 관심을 갖고 이 과정에서 인적 자본이 축적된다.
Ⅴ. 결론: 재벌해체와 기업집단 형성의 의의
이상의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전의 일본의 재벌은 가족(동족)의 소유·지배라는 전근대성에도 불구하고 '강렬한 공업화' 지향성을 보였다. 그것은 재벌의 소유·지배가 전일적인 것이 아니라, 총유제와 番頭政治의 전통에 의해서 제약된 소유·지배였기 때문이다. 즉 '제약된 소유·지배'로 인해 재벌동족의 사업경영 참여가 제한되고, 전문경영자의 발언력이 확대되었으며, 이들 전문경영자가 재벌의 다각경영과 공업화의 담당자 역할을 하였다.
둘째, 재벌이 해체되고 기업집단으로 재편성된 것은 재벌 해체 정책의 필연적 과정이었다. 미 점령군의 재벌 해체 정책의 두 가지 의도 즉 재벌 체제의 특권적 형태의 해체와 경제력집중배제 가운데서 전자는 철저하게 관철된 반면에 후자는 용두사미로 끝났다. 재벌 해체는 재벌의 기업집단에로의 재편성의 단서를 마련하였고, 경제력집중배제와 독점금지 정책의 좌절은 재편성의 법적 제도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즉 재벌해체 정책의 결과 재벌 체제는 해체되었지만, 대기업은 그대로 온존하였고, 그들은 기업집단이라는 새로운 형태로 결합되었다.
셋째, 재벌해체와 기업집단의 형성은 전후의 일본자본주의의 고도성장을 뒷받침하였다. 주식의 상호보유에 기초한 독특한 기업간 결합 시스템(기업집단)은 경영권의 장기적 안정, 메인 뱅크의 계열융자와 官 ·民 분업 시스템, 기업간 준통합, 기업간의 격렬한 경쟁, 경영자와 종업원의 일체감(회사주의) 등을 통해서 일본의 고도성장을 촉진한 것이다.Y
<參考文獻>
정진성 1996. 「재벌가족과 전문경영자-戰前의 일본재벌을 중심으로」『한일경상논집』제12권. 한일경상학회.
岡崎哲二 1992.「資本自由化以後の企業集團」橋本壽郞·武田晴人編 『日本經濟の發展と企業集團』東京大學出版會.
公正取引委員會事務局 1994. 『企業集團の實態について』-第5次調査報告書- .
宮島 英昭 1992. 「財閥解體」橋本壽郞·武田晴人編 『日本經濟の發展と企業集團』東京大學出版會.
橘川武郞 1992. 「戰後型企業集團の形成」橋本壽郞·武田晴人編 『日本經濟の發展と企業集團』 東京大學出版會.
1995. 「戰前日本の産業發展と財閥」(一, 二). 東京大學社會科學硏究所『社會科學硏究』47卷3號 및 6號.
吉森 賢 1996 『日本の經營·歐美の經營』
島田克美 1993. 『系列資本主義』. 日本經濟評論社
武田晴人 1985.「資本蓄積(3) 財閥」 大石嘉一郞編 『日本帝國主義史1』東京大學出版會.
1992. 「多角的事業部門の定着とコンツエルン組の整備」 橋本壽郞·武田晴人編 『日本經濟の發展と企業集團』東京大學出版會.
1995. 『財閥の時代』-日本型企業の源流をさぐる-. 新曜社.
北原 勇 1984.『現代資本主義における所有と決定』. 岩波書店.
山崎廣明 1991. 「日本企業史序說-大企業ランキングの安定と變動」 東京大學社會科學硏究所編 『現代日本社會硏究第五卷構造』 東京大學出版會.
森川英正 1978. 『日本財閥史』.ニュ-トンプェス.
1981.『日本經營史』. 日本經濟新聞社.
1991. 『經營者企業の時代』. 有斐閣.
石井寬治 1992. 『日本の産業化と財閥』. 岩波書店.
小田切宏之 1992.『日本の企業戰略と組織』. 東洋經濟新報社.
小池和男 1977. 『職場の勞動組合と參加』.東洋經濟新報社.
1981. 『日本の熟練』. 有斐閣.
柴垣和夫 1974.「財閥解體와 集中排除」東京大學社會科學硏究所編 『戰後改革7 經濟改革』東京大學出版會.
市川兼三 1994.『大企業の所有と支配-相互參加規制を考える』.成文堂
阿部武司 1992. 「政商から財閥へ」橋本壽郞·武田晴人編 『日本經濟の發展と企業集團』東京大學出版會.
安岡重明 1978. 『財閥の經營史』. 日本經濟新聞社.
安藤良雄編 1990.『近代日本經濟史要覽』第2版. 東京大學出版會.
鈴木邦夫 1986. 「財閥から企業集團·企業系列へ-1940年代後半企業間結合の解體·再編成過程-」『土地制度史學』135號.
奧村 宏 1984. 『法人資本主義-「會社本位」の體系』. 御茶の水書房.
1991. 『新版 法人資本主義の構造』. 社會思想史.
1993. 「日本的經營の'死と再生」, 『週刊東洋經濟』. 1993.5.1.
汪志平 1995. 『日本巨大企業の行動樣式-1980年代の所有と支配』北海道大學圖書刊行會.
伊藤邦雄 1993. 「株式持ち合い-その螺旋形ロジック·シフト」伊丹敬之他 『日本の企業システム 1-企業とは何か』.
持株會社整理委員會 1951. 『日本財閥とその解體』.
春日豊 1982.「戰時體制への移行と財閥の再編成」『三井文庫論叢』.
八城政基 1992. 『日本の經營· アメリカの經營』. 日本經濟新聞社.
Hadley, E.M. 1970. Antitrust in Japan. Princeton University Press. (小原敬士·有賀美智子監驛 『日本財閥の解體と再編成』. 東洋經濟新報社 1973.)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1.04.18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84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